•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성능척도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3-41)

본 장에서는 앞서 구한 결과를 이용하여 평균 성능척도를 유도한다. 식 (3.4.1) 과 (3.4.2)로부터 안정상태 고객수 확률분포는 재고량의 확률분포와 독립이며 일 반적인 M/M/1과 동일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을 고객수 평균이라 정의하 면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3.5.1)

이제 평균재고량을 유도하자. 먼저 저속 생산 기간 동안의 평균재고량을

라 정의하면, 식 (3.4.17)을 이용하여 다음을 얻는다.



    

⋅ (3.5.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는 정규화 상수로 식 (3.4.28)로부터 얻는다.

식 (3.5.2)는 임의시점의 관찰시점에 시스템이 저속 생산 기간에 있을 확률을 포함하는 평균이다. 식 (3.4.9)를 이용하면 고속 생산 기간 동안의 평균재고량을 유도할 수 있다. 고속 생산 기간 동안의 평균 재고량을 라고 정의하자.

그러면 다음을 얻는다.



  

  

⋅ (3.5.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식 (3.5.3) 역시 임의시점의 관찰시점에 시스템이 고속 생산 기간에 있을 확률 을 포함하는 평균이다. 따라서 안정상태 임의의 시점에서의 재고량의 평균을

라 정의하면 식 (3.5.2)와 식 (3.5.3)을 더하여 다음을 얻는다.

  (3.5.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 4 장 수치예

본 장에서는 3장의 결과를 이용하여 수치예를 보인다. 우선 변화에 따른 평 균재고량과 평균고객수에 대한 수치예를 보인다. 따라서   ,   ,   ,

  ,  로 고정한 채 를 변화시켜 평균을 구하면 다음의 표를 얻는다.

     

1

2.33333

4.16435 1.50982 5.67417

2 4.41632 1.67739 6.09371

3 4.66808 1.86581 6.53389

4 4.90772 2.07411 6.98183

5 5.12192 2.30663 7.42855

6 5.29161 2.57452 7.86613

7 5.38439 2.90117 8.28556

8 5.33681 3.33681 8.67362

9 5.00244 4.00293 9.00537

<표 4.1> 변화에 따른 평균재고량과 평균고객수

<표 4.1>에서 고객수의 평균에 변화가 없는 까닭은 안정상태 하에서 고객수 분포와 재고량의 분포는 서로 독립이 때문이다. 따라서 값이 고정된 경우 는 생산속도 및 , 와 관계없이 동일한 결과를 얻게 된다.

이제 평균 비용을 최소화 하는 와 를 찾기 위한 비용함수를 정의하고 관련 된 수치예를 보인다. 비용함수를 위해 다음과 같은 단위시간 당 비용을 정의하 자.

-  : 단위시간 당 단위 재고를 유지하는데 드는 유지비용, -  : 저속 생산 기간에 단위시간 머무는데 드는 비용, -  : 고속 생산 기간에 단위시간 머무는데 드는 비용, -  : 단위 고객당 판매 손실 비용.

이제 를 시스템을 단위시간 당 운용하는데 드는 평균운용비용으로 정의하

면, 다음과 같은 비용함수를 정의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4.1.1)

식 (4.1.1)에서  와 는 각각 안정상태의 임의 시점에 저속 생산 기간 및 고속 생산 기간을 관찰할 확률이므로, 식 (3.4.9)과 (3.4.17)을 이용하여 다음을 얻는다.



    

 (4.1.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1.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제 식 (3.5.4), (4.1.2) 및 (4.1.3)을 식 (4.1.1)에 이용하여 단위시간 당 운용비용 을 최소화 하는 최적의 및 를 결정하는 수치예를 보인다.

우선 고속 생산 기간에 단위시간 머무는데 드는 비용이 전체 운용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피기 위해 를 제외한 나머지 값을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설정 1)   ,   ,   ,   ,  ,   ,  

아래의 그림은 위의 설정에    로 설정하여 비용을 그린 것이며, 평 균비용 값이 와 값에 따라 볼록 함수 (convex function)가 된다는 것을 보이고 있으며, 표 <4.2>는 를 100, 125, 150, 175로 설정하였을 경우의 최적의

및 그 때의 평균 운용비용 를 보인 것이다.

<그림 4.1>   ,   ,   ,   ,  ,

   ,   ,  인 경우의 평균 비용

  

100 7 12 203.34

125 7 12 222.89

150 6 12 242.12

175 5 12 280.54

<표 4.2>  값의 변화에 따른 최적 평균 비용

제 5 장 결론

본 연구에서는 가변 생산속도 및 판매상실을 갖는 생산-재고 모형을 분석하였 다.

가변 생산속도를 갖는 생산-재고 모형의 분석을 위한 안정상태 방정식을 유도 하였고 고객수 및 재고량에 대한 결합확률분포를 유도하였다. 기존의 밝혀진 안 정상태 하의 결합확률분포는 고객수 확률과 재고량 확률이 분해된 형태로 나타 낼 수 있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고객수 조건에 상관없이 재고량에 대한 안정상태 방정식을 구하였다. 이로부터 가변 생산속도를 갖는 ‘변조된 재고모형’을 정의하 여 저속 생산 기간과 고속 생산 기간의 재고량에 대한 확률을 구하였다. 이를 이 용하여 임의시점에서 평균재고량을 유도하였다. 단위시간당 시스템을 운용하는데 드는 평균운용비용을 정의하여 평균비용을 최소화하는 와 를 유도하였다.

참고문헌

1. Artalejo, J.R. “On the M/G/1 queue with D-policy”, Applied Mathematical Modelling, 25, 1055-1069, 2001.

2. Artalejo, J.R. (2002), “A note on the optimality of the N- and D-policies for the M/G/1 queue”, Operations Research Letters, 30, 375-376, 2002.

3. Baek, J. W., Moon, S. K., “The M/M/1 queue with a production-inventory system and lost sales”, Applied Mathematics and Computation, Vol. 233, pp.534-544, 2014.

4. Baek, J. W., Bae, Y. H., Lee, H.W. and Ahn, S., “Continuous-type (s,Q)-inventory model with and attached M/M/1 queue and lost sales”, Performance Evaluation, Vol. 125, pp.68-79, 2018.

5. Balachandran, K.R., “Control Policies for a single server system”, Mgmt. Sci., 19, 1013-1018, 1973.

6. Balachandran, K.R. and Tijms, H., “On the D -policy for the M/G/1 queue”, Mgmt. Sci., 21(9), 1073-1076, 1975.

7. Boxma, O.J., “Note on a control problem of Balachandran and Tijms”, Mgmt.

Sci., 22(8), 916-917, 1976.

8. Barron Y., Hermel D., “Shortage decision policies for a fluid production model with map arrivals”,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Research, Vol. 55, pp.3946-3969, 2017.

9. Berman, O, Kim, E., “Stochastic models for inventory management at service facilities”, Stochastic Models, Vol. 15, No. 4, pp.695-718, 1999.

10. Bermand, O, Sapna, K., “Inventory management at service facilities for systems

with arbitrarily distributed service times”, Stochasti Models, Vol. 16, No. 3&4, pp.343-360, 2000.

11. Bermand, O., Kaplan, E. H., Shevishak, D. G., “Deterministic approximations for inventory management at service facilities”, IIE transactions, Vol. 25, No. 5, pp.98-104, 1993.

12. Bozer, Y. A., McGinnis, L. F., “Kitting versus line stocking: a conceptual framework and a descriptive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Economics, Vol. 28, No. 1, pp.1-19, 1992.

13. Brynzer, H., Johansson, M. I, “Design and performance of kitting and order picking systems”,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economics, Vol. 41, No. 1, pp.115-125, 1995.

14. Doshi, B.T., “Single server queues with vacations”, Stochastic Analysis of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 (H. Takagi, ed), North-Holland, Amsterdam, 217-265, 1990.

15. Doshi, B.T., “Generalizations of the stochastic decomposition results for single server queues with vacations”, Stochastic Models, 6(2), 307-333, 1990.

16. Harrison, J. M., “Assembly-like queues”, Journal of Applied Probability, pp.354-367, 1973.

17. He, Q.-M., Jewkes, E., “Performance measures of a make-to-order inventory-production system”, IIE Transactions, Vol. 32, No. 5, pp.409-419, 2000.

18. Heyman, D.P., “T-policy for the M/G/Q queue”, Mgmt. Sci., 23, 775-778, 1977 19. Krishnamoorthy, A., Lakshmy, B., Manikandan, R., “A survey on inventory

models with positive service time”, OPSEARCH, Vol. 48, No. 2, pp.153-169, 2011.

20. Krishnamoorthy, A., Narayanan, V. C., “Production inventory wirh service time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3-4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