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선행연구 고찰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3-36)

I. 서론

3. 선행연구 고찰

본 연구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김선양(2013)은 전국에 있는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 장애아 통합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유아 특수교사와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누리과정 5개 영역을 중심으로 유 아 특수교사와 보육교사의 중요도 인식의 연구 결과는, 보육교사가 유아 특수교사 보다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의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같은 유아를 교육하는 두 교 사집 단이 누리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정도가 상이하다면, 교육과정 운영과 교사·

유아·학부모가 기대하는 교육적 결과를 이루는데 어려움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그래서 유아 특수교육 현장에서 누리과정의 성공적인 적용과 일관성 있는 교육을 위해서는 장애 유아교육을 담당하는 유아 특수교사와 보육교사가 누리과정에 대해 같은 수준의 인식을 하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나타났다.

윤진주, 김지영(2020)은 사립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영 역별 내용 중요도와 현장 적합성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의 학력과 경력은 영역별 내용 중요도와 현장 적합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 다. 그러나 교사가 담당한 학급 유아의 연령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교사는 영역별 내용 중요도와 현장 적합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함으로, 내용 중요도와 현장 적합성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 연구는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영역별 내용에 대한 중요도와 현장 적절성 정도를 판단하여, 교육과정 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박순자(2020)는 유치원 및 국공립·직장·민간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를 대 상으로 누리과정에 대한 영역별 내용 범주에 대한 인식과 실행 정도의 차이의 연 구 결과 5개 모든 영역에 있어 인식은 높으나 실행은 그보다 낮게 나타나 인식과 현장 적용 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누리과정에 대한 교 사의 관심, 이해, 적절성 수준은 높게 평가하였으나, 실행 수준은 부족하다고 나타 났다. 이를 통해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 교사들의 인식과 적용 실태를 파악함으로 개정 누리과정의 보급 및 적용이 더 효율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하 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대욱, 신수진(2021)은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요구를 파 악하기 위해서 문헌을 분석하고, 전문가 집단, 교사 및 부모와의 협의를 통해 설문 지를 개발한 후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인식은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개정된 누리과정에 대한 어머니의 다양한 요구가 있는 것이 나타났다.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 시 행 1년 차에 접어드는 시기에 부모들의 개정된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대 해 살펴볼 수 있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향후 어머니들에게 2019 개정 누리과 정에 대해 이해와 협력을 구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개정된 교육 과정이 잘 안착할 수 있도록 방향성을 제시한 데에 의의가 있고, 특히 개정된 누리 과정에 대해 부모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싶다는 의사를 발견하고 이에 대한 논의 를 끌어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진미(2021) 놀이 중심교육의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장애 전문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연구는 전반적인 인식과 기대, 어려움 및 요구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과 기대, 운영에 따른 어려움, 누리과정 안착을 위한 요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는 놀이 중심의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장애 전문 어린이집 교사의 전반적인 인식과 교육과정 실행에 따른 현장에서의 어려움 및 그에 따른 교사들의 요구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이해도와 실행 여부를 살펴보고 유아・

놀이 중심의 교육과정이 현장에서 안정적으로 적용되기 위한 요구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또한, 장애 전문 어린이집 기관과 교사 및 장애 유아를 담당하는 협력 전 문가와 정책담당자들의 원활한 교육과정의 실행을 위해 지원해야 하는 부분이 무 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유치원 누리 교육과정은 장애 유아들에게도 동일하 게 적용되는 교육과정이기에 장애 유아들을 교육하고 지도하는 유치원 교사 즉 일 반교사 특수교사 포함하여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 수준은 중요한 요소이며, 일반유 아를 교육하는 교사에 관한 연구에 대한 것만큼이나 장애 유아를 교육하는 교사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은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다른 연구를 통해서 2019 누리과정에 있어서 장애 유아 교사의 인식 에 관한 연구뿐만 아니라, 장애 유아 부모의 인식 및 요구에 관한 연구도 필요하다 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II. 연구 방법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3-3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