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Ⅱ. 이론적 배경

3. 선행연구의 고찰

최근 미술교육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연구 자료를 통해 본 연구 를 위한 시사점을 찾아보았다.

가. 초등학교 미술교육에 대한 창원 지역의 학생, 학부모, 교사 인식 비교 연구(한형임,2009:1-97)

미술교육에 대한 학생, 학부모, 교사의 인식을 비교하여 현행 미술교육의 문제 점을 밝히고, 개선점을 찾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창원 지역의 학 생, 학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초등학교 미술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연구이 다. 초등미술교육에 대한 인식,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인식, 학습지도에 대한 인 식, 학습평가에 대한 인식으로 영역을 세분화 하여 조사하고 있다. 본 연구자의 주제와 상충하는 내용으로 학생들이 갖고 있는 인식의 내용을 주로 살펴보면, 학 생들은 미술교육의 필요성, 효과, 관심도에 대해서 보통정도로 인식하고 있으며 다른 교과에 비해 중요교과가 아니고 실생활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미술교육에 대한 만족도, 교육과정 운영면에서는 긍정적인 인 식을 보였다. 이 연구물에서는 교육과정, 학습지도, 학습평가 등 미술 수업에서 보여 지는 자세하고 구체적인 요소들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정도를 확인할 수 있 었다. 인식정도의 확인에서 더 나가 초등학생들의 원하는 미술교육에 대한 의견 조사가 더 해졌으면 하는 생각이 든다.

나. 중학교 미술교육에 대한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인식 및 기대 (손윤정,2007:1-101)

중학생들의 입장에서 중학교 미술과 교육, 미술교사, 미술과 수업의 환경에 대 한 현재의 인식 및 앞으로의 기대를 밝혀서 학생들의 요구가 반영된 의미 있는 중학교 미술교육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실시한 연구이다. 중학교 학생들은 개 성․창의성을 자유롭게 나타낼 수 있는 표현능력을 계발하기 위해서 미술과목을 배워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연구대상 중 32%만이 미술교육에 대해 흥미를 느끼고 있었다. 미술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던 초등학교의 연구 결과 는 사뭇 다른 부분이었다. 중학교와 초등학교 간에 교육과정 운영에 차이가 있음 을 알 수 있었다. 중학생들은 미술교사의 수업 능력 중 재미있게 가르치는 교수 방법에 가장 만족하였으며 만족하지 못하는 부분은 학생과 학생작품에 대해서 관 심을 갖고 이해하는 마음, 수업 진행과정 및 평가에 있어서의 공정성, 성실한 수 업준비와 열정적인 수업자세 순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문항수가 상당히 많았 으며 구체적으로 세분화 되어 있었으며 초등학교 수준에 맞게 문항의 용어, 문장 들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었다.

다. 초등학생의 학년별 미술과 학업성취도, 인식도 및 효능감의 관 계분석(윤쌍웅,2009:125-147)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 인식도에 따라 미술에 대한 효능감이 어떻게 나타나는 지를 보여주는 연구였다. 4,5,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학년이 올라 갈수록 미술에 대한 성취도, 인식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며, 이에 따라 미술 에 대한 자기 효능감도 떨어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 결과로 보면 학년이 올 라갈수록 미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다고 해석되어진다. 학생들의 학 교 미술교육의 문제점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학생들이 원하는 미술교육 의 방향에 대한 조사의 필요성을 느꼈다.

라. 미술교육에 대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인식 (이종길, 2010:1-55)

미술교육의 목적과 필요성, 수업시수와 수업방식 및 수업환경, 미술교육의 효 과와 문제점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연구이다. 고등학교 학생들은 미술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창의력배양을 위해 필요하 다는 인식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미술교육에서 미술교육의 목적에 대해서 도 창의력 개발에 있다는 의견이 많았으며 미술교육의 발전 방향에 대해서도 고 등학교 학생들은 창의성 계발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미술교육과 창의성과의 긴 밀한 관계는 교육을 책임지고 있는 교사에게 있어서 깊이 생각해야할 문제인 것 같다. 지금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미술교육이 정말 학생들의 창의성 계발에 큰 기여를 하고 있을 지에 대해 깊이 생각해 봐야 할 것이다. 실기위주의 수업, 야외 수업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으며 중요과목이 아니라는 인식이 미술교육의 큰 문제 점으로 지적하고 있었다. 또한, 학생들의 흥미를 가질 수 있는 미술 수업을 원하 고 있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