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3.1. 연구방법

○ 앞서 언급하였듯이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축산의 사회적 수요를 계측 하기 위해 선택실험법을 이용함.

○ 지속가능한 축산은 동물과 사람이 자연의 일부라는 인식하에 자연과 더불 어 사는 가축 사육 방식임. 이에 따라 지속가능한 축산의 속성 역시 동물과 인간 그리고 주변 자연환경과 연관된 속성들을 선택하였음. 구체적으로 본 설문에 이용된 지속가능한 축산의 속성은 적절한 사육 여건(동물), 고품질 안전식품 공급(인간), 환경부하 최소화(주변 환경)임.

○ 본 연구에서는 연구진과 국내 전문가들과의 협의를 통해 지속가능한 축산 의 속성에 대응되는 지표 혹은 대리변수를 결정함. 구체적으로 적절한 사육 여건 제공은 동물 복지 기준에 준하는 사육 여건 제공, 고품질 안전식품 공 급은 유기 축산물 공급 확대, 마지막으로 환경부하 최소화는 경축 순환 농 업을 통한 가축 분뇨 감소로 설정함.16

16 고품질 안전식품 공급과 관련하여 ‘안전’이라는 요소는 일부 축산물의 시장 가격에

반영되기 때문에 지속가능한 축산의 사회적 수요와 실제 다원적 기능의 가치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음. 하지만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한 축산을 구성하는 속성에

대한 사회적 수요 계측에 방점이 있음. 즉, 선택실험법의 결과는 지속가능한 축산

정책의 필요성과 그 방향 설정을 위한 것임. 따라서 비록 시장재를 포함하더라도 식

품 안전과 관련된 실제 다원적 기능의 가치보다는 축산물 안전에 대한 사회적 수요

를 계측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에 부합함. 또한 현재 낙농품과 달걀을 제외한 유기농

축산물의 비중은 0%에 가까움. 이는 양돈의 사회적 수요는 실제 다원적 기능의 가

치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음을 의미함. 또한 제2장 1절에서 제시했듯이 다수의

국제기구와 국내 연구가 식량 안전성을 다원적 기능에 포함하고 있어 고품질 안전

식품 공급을 다원적 기능에 포함해도 큰 무리가 없다고 판단됨.

○ 각 속성의 수준은 범위 효과(scope effect)나 합산의 문제(adding-up

다면, 이에 필요한 추가적인 재정을 확보하기 위해 매년 추가적인 세금

후 정책에 반영하는 것이기 때문에 연간으로 계측된 지속가능한 축산의 가치 역시 큰 정책적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됨.

<그림 3-3> 선택형 질문 예시

자료: 저자 작성.

○ 선택형 설문은 현재 상태와 2개의 대안으로 구성하였으며, 총 선택형 질문 의 구성은 STATA의 dcreate(Hole 2015)를 이용하였음.19

19 일반적으로 유인일치성(incentive compatibility)을 가지기 위해서는 현 상태와 대안 하나 로 구성된 선택형 질문을 응답자에게 한 번만 설문하는 것임(Collins et al. 2009; Vossler et al. 2012; Johnston et al. 2017). 따라서 본 연구에서 이용한 선택형 질문의 형태는 유 인일치성이 떨어지는 형태이며, 이는 본 연구의 한계점임. 하지만 선택형 질문에 포함된 대안의 수에 따라 결과 값이 민감하다는 연구는 있지만(Oehlmann et al. 2017), 선택실험 법의 선택형 질문의 구성에 대한 논의는 매우 부족함(de Bekker-Grob et al. 2012).

Johnston et al.(2017)은 선택실험법의 경우, 선택형 질문의 구성은 유인일치성과 더불어 응답자와 시나리오의 특징을 반영한 유동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함. 본 연구의 설문형 질 문 형태는 우선 선택실험법을 이용하여 농업의 다원적 기능을 계측한 문헌들은(Bennet et al. 2004; Colombo et al. 2005; Kallas et al. 2007; Grammatikopoulou et al. 2012;

Sangkapitux et al. 2017; Jourdain et al. 2017) 모두 현 상태와 두 가지 대안으로 구성된

선택형 질문을 이용함. 또한 사전 조사결과를 연구진과 협의한 결과, 현 상태와 대안 하

나만을 제시하는 설문 형태의 경우, 응답자들이 정책을 선택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는 것

으로 판단되었음.

- 구체적으로 이에 따라 선택형 질문을 구성할 수 있는 총 질문조합의 수 는 × 임. 이 중 본 연구에서는 전체 질문 조합 중 D-efficiency를 기 준으로 16개 최적 조합을 선택하였으며, 이를 4개의 블록(block)으로 나 누어 응답자에게 4개의 선택형 질문을 제공함. <그림 3-3>은 응답자에게 제공된 선택형 질문 중 하나임.

- 마지막으로 순서 효과(order effect)를 통제하기 위해 선택형 질문의 순서 는 각 응답자에게 무작위로 제공하였으며, 각 선택형 질문에 대한 응답 자의 독립적 응답을 위해 “4개의 선택형 질문 각각에 대한 응답은 독립 적으로 연구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응답자께서는 전후 선택형 질문에 대 한 응답과 관계없이 각각의 질문에서 가장 선호하는 대안을 선택해 주십 시오.”라는 문구를 선택형 질문 앞에 제시하였음.

○ 설문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 논문을 바탕으로 아 래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였음.

- 우선, 수요 효과(demand effect)는 응답자가 자신의 선호가 아닌 도덕적 인 기준이나 전문가의 의견, 설문지 안에 포함되어 있는 자료들에 간접 적으로 나타나 있는 설문자의 의도 등을 기준으로 선택형 질문에 응답하 는 것을 의미함.

- 따라서 본 설문 주제와 같이 기존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응답자의 진정한 선호를 끌어내기 위해 아래 <그림 3-4>와 같은 문단을 선택형 질문 앞에 제시함(Carlsson et al. 2018).

<그림 3-4> 수요효과를 통제하기 위한 도구

자료: 저자 작성.

- 두 번째로는 본 설문의 실효성(consequentiality)을 높이기 위해 분석 결 과가 정부 정책에 직접적으로 반영될 수 있음을 반복적으로 강조하였음 (Czajkowski et al. 2017). 구체적으로 설문지의 시작 부분과 지속가능한 축산에 대한 서술이 시작되는 부분, 그리고 선택형 질문 앞에 “본 설문의 목적은 정부가 추진하고자 하는 지속가능한 축산 정책에 대한 응답자의 선호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설문 결과는 정부의 축산 정책의 목표와 예 산 등을 수립하는 데에 중요한 자료로 이용됩니다.”와 비슷한 내용의 문 구를 반복적으로 제시함.

- 또한 선택형 질문 뒤 설문 결과가 정책에 어느 정도 반영될 것이라 예상 하는 지를 응답자에게 추가적으로 설문함으로써, 응답자가 실제 느끼고 있는 실효성을 점검함(Vossler et al. 2012; Czajkowski et al, 2017).

- 설문 결과 응답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안이 정책에 가장 우선적으로 반 영된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응답자들은 자신들이 가장 싫어하는 대안이 선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현재 상황이나 선호하지 않는 대안을 선택할 수 있음(Collins et al. 2009; Johnston et al. 2017).

- 따라서 본 설문에서는 이러한 전략적 선택을 점검하기 위해 선택형 질문 뒤에 선택형 질문 응답 시 다른 응답자의 예상 설문 결과를 고려했는지 여부와 선택형 질문 각각을 독립적으로 간주하였는지 여부를 추가적으 로 설문함(Vossler et al. 2012).

○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축종별 사육 여건, 유기 축산물 기준 등의 특징 을 고려하기 위해 축종별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음.

3.2. 분석 자료

○ 설문조사 대상은 전국 만 19~69세 남녀로 주민등록인구통계(2018년 11월 말 기준)를 반영하여 지역별, 성별, 연령별로 비례 할당하였으며, (주)마크

로밀엠브레인의 온라인 패널을 이용함. 응답자 수는 각 축종별로 800명이 며, 조사기간은 2018년 12월 10일부터 2018년 12월 24일까지임.20

○ 본 연구에서는 비합리적인 응답을 한 응답자의 설문은 제외하였음. 예를 들 어 <그림 3-5>와 같은 질문에 대안 2를 선택한 응답자는 설문에서 제외함.

<표 3-4>는 설문조사 응답자의 기초통계량을 나타냄.

<그림 3-5> 비합리적 의사결정 예시

자료: 저자 작성.

20 본 연구에서 작성한 설문 대상의 모집단은 국내 경제활동인구임. 하지만 국내 온라

인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경제활동인구를 모집단으로 한 표본들을 추출하기에는 한

계가 있음. 이는 국내 온라인 설문조사가 사후적으로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인구학

적 특징에 따라 사후적으로 표본을 배분하기 때문임.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경제활동이 가능한 연령대를 이용하였음. 하지만 경제활동인구와 전국

만 19~69세 남녀는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으며, 이는 본 연구의 한계임.

변수 변수 설명

3.915 0.585 3.942 0.616 3.925 0.593

소득 수준

4.041 2.283 4.170 2.416 4.085 2.228

축사 주변 거주지 주변에 축사가 있으면 1,

2.929 0.892 2.875 0.861 2.959 0.835

유효 응답자 수 709 713 708

응답

잘 모른다(4) 153(21.6) 175(24.7) 84(11.9)

총계 708(100.0) 708(100.0) 708(100.0)

잘 모른다(4) 160(22.4) 172(24.1) 74(10.4)

총계 713(100.0) 713(100.0) 713(100.0)

- 또한 선택형 질문이 유인일치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응답자의 전략적 행

하지만 설문지의 난이도가 조금 높았다는 응답이 30% 이상을 차지함. 이러 한 난이도는 지속가능한 축산 관련 설명자료보다 선택형 질문에서 높게 나 타남. 이러한 선택형 질문의 난이도는 앞서 언급한 전략적 행위의 원인 중 하나일 수 있음.

3.3. 분석 모형

○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축산에 대한 응답자들의 지불의사를 분석하기 위해 혼합로짓모형(mixed logit model)을 이용하였음.

- 혼합로짓모형은 선택 확률이 특정 형태로 나타나는 모든 모형 구성 (specification)을 지칭하는 용어임(Train 2009: 134). 구체적으로 응답자 n이 J개의 대안 중 i번째 대안을 선택할 확률이 아래 식 (3-1)과 같은 형 태로 표현되는 모든 모형 구성 혼합로짓모형이라 일컬음. 여기서 는 관찰자가 발견할 수 있는 자료이며 는 의 확률 분포를 뜻함.

식 (3-1) 

  

 

 



○ 혼합로짓모형은 매우 유동적인(flexible) 모형으로서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 짐(Train 2009: 134-143).

- 우선, 각 변수에 대한 개인의 서로 다른 선호를 반영할 수 있으며, 로짓 모형 혹은 다항로짓모형의 한계점인 IIA(Independence from Irrelevant Alternatives)와 조건부 로짓에서 볼 수 있는 제한적인 대체관계를 극복할 수 있음.

- 또한 응답자의 선택이 반복적으로 일어날 경우, 각 선택 간의 존재할 수 있는 눈에 보이지 않는 요소(unobserved factor)를 통제해 줄 수 있음.

- 마지막으로 혼합로짓모형을 통해 어떠한 형태의 임의효용모형(random utility model)을 근사할 수 있어, (임의) 효용극대화를 가정한 선택형 모 형에 특별한 가정 없이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음.

○ 본 연구에서는 특정 파라미터가 임의파라미터(random parameter)라 가정하 는 임의파라미터 접근법을 이용하여 임의로짓모형을 도출하였음.

- 구체적으로 N명의 응답자가 J대로 구성된 T개의 설문형 질문에 응답하 며, 개인 n이 t번째 선택형 질문 포함된 j 번째 대안을 선택할 때 얻을 수 있는 효용()은 아래와 같은 임의효용함수로 가정하였음.

- 여기서 은 확정적인(deterministic) 혹은 연구자에게 관찰되는 부분,

은 확률적인(random)인 혹은 연구자에게 관찰되지 않는 부분을 나타 내며, 극단값 분포(extreme value distribution)를 가지며, 선택형 질문과 대안 그리고 응답자들 사이에 독립적이며 동일하게 분포한다고 가정하 였음.

식 (3-2)   

- 응답자 n은 자신의 과 를 알기 때문에 t번째 선택형 질문 포함된 j 번째 대안은     ≠  일 경우에만 선택하게 됨. 따라서 만약

  ∼   이라 가정하면, 응답자 n이 t번째 선택형 질문 에서 대안 j를 선택할 확률은 아래 식 (3-3)과 같이 나타낼 수 있음.

식 (3-3)   

  

′

′

- 따라서 응답자 n이 T번 응답했을 때의 확률은 식 (3-4)와 같이 나타낼 수 있음.

식 (3-4)  

○ 추정에는 시뮬레이션 최우추정치(Maximum Simulated Likelihood Estimator:

MSLE)를 이용함(Train 2009: 144). 우도함수(simulated log-likelihood function)은 식 (3-7)과 같음. 본 연구에 서는 식 (3-7)을 극대화시키는 를 추정하였음.

구의 임의확률모형(random utility model)은 식 (3-8)과 같으며, 는 정규분 포를 따른다고 가정하였음.

식 (3-8)   ′ 

○ 지속가능한 축산의 각 속성에 대한 지불의사는 식 (3-9)를 통해 계측하였음.

단, 본 연구에서는 각 속성에 대한 지불의사의 통계학적 유의성을 검정하기 위해 Krinsky & Robb(1986)이 제안한 모수적 부트스트랩핑(parametric bootstrapping)을 이용하였음. 여기서 는 지속가능한 농업의 k 번째 속성 과 대응되는 추정계수임. 분석에는 STATA의 mixlogit(Hole 2007) 패키지를 이용하였음.

식 (3-9)   



○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응답자들의 개인적인 특성과 지속가능한 축산을 구성하는 세 가지 속성 간의 교차항을 통해 응답자들의 개인적인 특성이 응 답자들의 지불의사나 지속가능한 축산을 구성하는 속성에 대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통제하였음.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특성을 나타 내는 변수로 응답자의 소득과 성별, 주지 주변 축사 여부, 축산물 주 구입자 여부, 각 속성을 대표하는 지표에 대한 사전 지식을 이용하였음.

식 (3-10)   



  

○ 만약 교차항이 있을 경우, 각 속성에 대한 지불의사는 식 (3-10)을 통해 계 측하였으며, 지불의사의 통계적 유의성은 500번의 비모수적 부트스트랩핑

(non-parametric bootstrapping)을 이용하였음. 여기서 는 지속가능한 농업 의 k 번째 속성과 대응되는 추정계수이며,  는 k 번째 속성과 j 번째 개인 의 특징으로 구성된 교차항의 추정계수를 나타냄. N은 k 번째 속성과 연관 된 총 교차항 수를 의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