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선박관리감독 역량의 인식차이 분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1-82)

3) 일본

4.3 선박관리감독 역량의 인식차이 분석

출신해상부서 간 역량의 중요도 인식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응답자를 갑판부 출신(해무감독), 기관부 출신(공무감독)의 두 집단으로 분류하고, 이들의 중요도 인식 차이를 검정하였다.

Table 2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갑판부 출신과 기관부 출신의 선박관리감독이 인식하 고 있는 각 역량의 중요도 중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역량은 ‘사고예방 및 대응’, ‘갈등관리’,‘고객지향’,‘유연성’으로 나타났으며 기관부 출신의 공무감 독보다 갑판부 출신의 해무감독이 4가지 역량을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도 인식의 차이는 0.15점에서 0.23점 사이로 아주 큰 차이를 보이고 있 지는 않으나, ‘사고예방 및 대응’과 ‘유연성’ 역량의 경우, 해무감독이 각 사의 안 전품질관리, 본선의 안전관리를 위한 선원 지도 및 선원 관리, 안전운항을 위한 정보 제공 및 SMS의 유지 및 관리를 직접적으로 다루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상대적으 로 중요도를 높게 인식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갈등관리’역량의 경우 설문응답 자 중 최고경영자, 임원급 선박관리감독의 대부분이 갑판부 출신의 해무감독이었으며, 본 직위에 있는 선박관리감독의 경우 관리업무의 총괄책임자로써 관리선의 전체적인 성과를 감시, 평가할 뿐만 아니라 직원의 관리, 동기부여, 교육, 훈련에 관한 총괄책임 을 가지기 때문에 직원 간, 부서 간 갈등을 관리하고 해결함으로써 팀워크를 강화시킬 수 있는 본 두 가지 역량 또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4.3.2 최종해상직위 집단별 역량 중요도 인식의 차이 분석

선박관리감독의 해상최종직위에 따른 역량의 중요도 인식의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 기 위해 집단을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먼저 설문응답자 중 해상경험이 있는 응답자 는 총 145명 중 142명이였으며, 부원 출신은 없으며 선장, 기관장 및 사관출신의 선박 관리감독이 대부분이었으므로 각 집단을 선장 및 기관장 출신, 일항사 및 일기사 출신, 이항사 및 이기사 출신, 삼항사 및 삼기사 출신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Table 30에 따르면 총 17가지 역량 중 ‘선원지도 및 감독’,‘인적관리’,‘리더 십’,‘문화적 다양성 이해’의 4가지 역량 중 ‘선원지도 및 감독’,‘리더십’역량은 p<0.1 수준에서, ‘인적관리’,‘문화적 다양성 이해’역량은 p<1 수준에서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30 최종해상직위 집단별 역량 중요도 인식 차이의 분산분석 결과

역량요인 제곱합 df 평균제곱 F 유의확률

선원지도·감독

집단-간 3.016 3 1.005 4.278 .006***

집단-내 32.428 138 .235 합계 35.444 141

인적관리

집단-간 2.211 3 .737 2.516 .061*

집단-내 40.436 138 .293 합계 42.648 141

리더십

집단-간 5.390 3 1.797 4.148 .007***

집단-내 59.258 138 .429 합계 64.648 141

문화적 다양성 이해

집단-간 2.685 3 .895 2.158 .096*

집단-내 57.231 138 .415 합계 59.915 141

* p<.1 ** p<.05 *** p<.01

이를 각 집단별로 사후 검정한 결과는 Table 31과 같다.

Table 31 최종해상직위 집단별 역량 중요도 인식 차이의 사후검정결과

역량요인 집단 평균 Ⅰ Ⅱ Ⅲ Ⅳ 평균비교결과

선원 지도·감독

Ⅰ. 선장·기관장 4.05

Ⅱ. 1항·기사 4.36 .319*** Ⅱ>Ⅰ

Ⅲ. 2항·기사 4.31 .265*** Ⅲ>Ⅰ

Ⅳ. 3항·기사 4.59 .543*** .223* .278* Ⅳ>Ⅰ,Ⅱ,Ⅲ

인적관리

Ⅰ. 선장·기관장 4.86 .350*** .346** Ⅰ>Ⅱ,Ⅲ

Ⅱ. 1항·기사 4.51

Ⅲ. 2항·기사 4.52

Ⅳ. 3항·기사 4.59

리더십

Ⅰ. 선장·기관장 4.82 .399** .508*** .701*** Ⅰ>Ⅱ,Ⅲ,Ⅳ

Ⅱ. 1항·기사 4.42 .301* Ⅱ>Ⅳ

Ⅲ. 2항·기사 4.31

Ⅳ. 3항·기사 4.12 문화적

다양성 이해

Ⅰ. 선장·기관장 4.32

Ⅱ. 1항·기사 4.51 .396** Ⅱ>Ⅳ

Ⅲ. 2항·기사 4.31

Ⅳ. 3항·기사 4.12

* p<.1 ** p<.05 *** p<.01

‘선원 지도 및 감독’역량의 경우 선장, 기관장 출신의 선박관리감독에 비해 3항사 및 3기사 출신, 1항사 및 1기사 출신. 2항사 및 2기사 출신의 선박관리감독 순으로 본 역량의 중요도를 타 그룹에 비해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설문 응답자 중 3항사 및 3기사 출신의 선박관리감독은 선원 배승 및 관리 업무를 주로 담 당하고 있으며, 1항사 및 1기사 출신의 선박관리 감독의 경우 부서장 급이 높은 비율 을 차지하며, 승선할 선원의 선정 및 교육, 훈련과 방선 시 면담과 업무 태도의 평가를 통한 실적평가 등을 직접적으로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본 역량의 중요도를 높게 인식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인적관리’와‘리더십’역량의 의 경우 선장 및 기관장 출신의 선박관리감독이 타 집단에 비해 중요성을 높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해상직위가 전 선원을 통솔하고 지휘하며 선박이라는 한 집단의 범위 내에서 안전운항의 책임을 지는 리더이기 때문에 선상에서부터 상기 두 가지 역량을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 며, 설문응답자 중 선장 및 기관장 출신의 선박관리감독의 대부분이 최고경영자 및 임 원직의 경영직을 맡고 있기 때문에 해당 분야의 전문성 외에도 현재 보유하고 있는 선 원 및 사내 직원의 인적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다양하게 변화하는 경영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높은 성과를 발휘할 수 있게 하는 리더십 역량을 타 그룹에 비해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문화적 다양성 이해’역량의 경우 타 집단에 비해 1항사 및 1기사 출신의 선박관 리감독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역량은 외국인 선원의 채용 증가 및 외국 선주의 선박관리비율이 증가하면서 혼승으로 인한 문화갈등 및 외국인 선원 관리에 따른 다양한 문화적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여야 하며, 외국 선주를 대 상으로 선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에서는 선주의 요구에 신속하고 정확한 서비 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불가결한 역량 중 하나이다. 설문응답자 중 1항사 및 1기사 출신의 선박관리감독은 대부분이 부서장 급의 요직을 맡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가 발생할 경우 문제해결의 당사자로써 본 역량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3.3 담당직무별 역량 중요도 인식의 차이 분석

담당직무별 역량의 중요도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선박관리업무를

① 선원의 배승 및 관리, ② 선박의 정비 및 수리(보급업무 포함), ③ 안전품질관리, ④ 보험관리, ⑤ 신조 인수 및 감리, ⑥ 선박매매 및 용선, ⑦ 화물관리의 총 7가지로 분 류하였으며, 각 직무를 담당하는 감독과 그렇지 않은 감독의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있는 역량이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Table 32 선원의 배승 및 관리 담당자와 비담당자의 역량 중요도 차이

역량요인 집단 N 평균 표준편차 t 유의확률

갈등관리 담당자 46 4.41 .617

-1.743 .084*

비담당자 99 4.21 .659

* p<.1 ** p<.05 *** p<.01

Table 33 선박의 정비 및 수리 담당자와 비담당자의 역량 중요도 차이

역량요인 집단 N 평균 표준편차 t 유의확률

사고예방 및 대응 담당자 77 4.51 .529

2.657 .009***

비담당자 68 4.74 .507 유연성 담당자 77 4.19 .574

.940 .069*

비담당자 68 4.38 .650

* p<.1 ** p<.05 *** p<.01

Table 34 안전품질관리 담당자와 비담당자의 역량 중요도 차이

역량요인 집단 N 평균 표준편차 t 유의확률

사고예방 및 대응 담당자 67 4.73 .510

-2.530 .012**

비담당자 78 4.51 .528 갈등관리 담당자 67 4.39 .627

-1.943 .054*

비담당자 78 4.18 .659

* p<.1 ** p<.05 *** p<.01

Table 35 보험관리 담당자와 비담당자의 역량 중요도 차이

역량요인 집단 N 평균 표준편차 t 유의확률

갈등관리 담당자 41 4.21 .594

-1.913 .058*

비담당자 104 4.44 .664

* p<.1 ** p<.05 *** p<.01.574

Table 36 신조인수 및 감리 담당자와 비담당자의 역량 중요도 차이

역량요인 집단 N 평균 표준편차 t 유의확률

선원지도 및 감독 담당자 40 4.22 .480

1.722 .089*

비담당자 105 4.38 .507 갈등관리 담당자 40 4.10 .709

2.030 .044**

비담당자 105 4.34 .618

* p<.1 ** p<.05 *** p<.01

Table 37 선박매매 및 용선 담당자와 비담당자의 역량 중요도 차이

역량요인 집단 N 평균 표준편차 t 유의확률

책임감 담당자 12 4.25 .754

1.970 0.51*

비담당자 133 4.60 .577 문화적 다양성

이해

담당자 12 4.75 .452

-2.679 0.17**

비담당자 133 4.37 .657

* p<.1 ** p<.05 *** p<.01

Table 38 화물관리 담당자와 비담당자의 역량 중요도 차이

역량요인 집단 N 평균 표준편차 t 유의확률

갈등관리 담당자 19 4.53 .612

-1.814 .072*

비담당자 126 4.24 .650 책임감 담당자 19 4.26 .806

1.861 .077*

비담당자 126 4.62 .549

* p<.1 ** p<.05 *** p<.01

선원의 배승 및 관리를 담당하는 선박관리감독과 그렇지 않은 선박관리감독 두 집단 의 17개 역량 중요도 차이를 살펴본 결과, Table 32와 같이 갈등관리 역량요인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담당자가 비 담당자에 비해 선원의 송출 및 관리에 있어 본 역량을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선박의 정비 및 수리(보급업무 포함)를 담당하는 선박관리감독의 경우 Table 33과 같 이 사고예방 및 대응과 유연성 역량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사 고예방 및 대응역량의 경우 이를 담당하지 않는 선박관리감독, 즉 선원관리나 안전품 질관리, 보험관리 등 타 업무를 담당하는 집단이 그 중요도를 더 높다고 인식하고 있 음을 알 수 있으며, 유연성 역량의 경우 선박의 정비 및 수리를 담당하는 선박관리감 독 집단이 그 중요도를 더 높다고 인식하고 있다고 나타났다. 유연성 역량은 불확실한 상황이나 문제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을 의미하며, 본선의 선용품, 기부속 및 윤활유 등의 적재 수배, 수량 사정, 입거공사 수배 및 예산관리에 있어서 상황변화 에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이 타 업무에 비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안전품질관리를 담당하는 선박관리감독과 이를 담당하지 않는 선박관리감독 집단의 역량 중요도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면 Table 34와 같다. 사고예방 및 대응과 갈등관리 역량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두 역량 모두 경우 안전품질관리 를 담당하는 선박관리감독이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보험관리를 담당하는 선박관리감독과 이를 담당하지 않는 선박관리감독 집단 사이에서는 Table 35 와 같이 갈등관리 역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본 업무를 담당하지 않는 선박관리감독이 본 역량을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신조인수감리를 담당하는 선박관리감독과 이를 담당하지 않는 선박관리감독 집단의 역량 중요도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면 Table 36과 같이 선원지도 및 감독과 갈등관리 역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두 역량 모두 이를 담당하지 않는 선박 관리감독 집단이 중요도가 높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신조인수 및 감리의 경우 조선소 선정 및 선박의 도면 검토, 건조감리 및 인수에 따른 각종 증서나 공급물 품, 운항 중 클레임 등을 관리하는 업무이기 때문에 타 업무에 비해 상대적으로 본 역 량을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선박매매 및 용선을 담당하는 선박관리감독의 경우 Table 37과 같이 문화적 다양성 이해 역량을 담당하지 않는 선박관리감독 집단에 비해 높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나타났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1-82)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