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 연 구 의 필 요 성

흡연은 많은 질병발생과 사망의 주요 요인으로 알려지고 있다. 흡연자 의 경우 담배로 인해 각종 암이 발생하고 이로 인한 사망률, 관상동맥질환, 만성 호흡기질환, 지주막하출혈, 위궤양 등의 위험이 증가하고 있으며 임신 중 흡연은 저체중아 출산이나 조산의 위험이 높아 영아사망의 한 요인이 되기도 한다. 또 흡연은 자신뿐만 아니라 비흡연자의 건강도 해치게 되어 간접흡연에 오랫동안 노출될 경우 폐암이나 호흡기질환 등에 걸릴 위험성 이 높다(변종화, 1997). 이에 우리 나라는 1988년 한국금연운동협의회의 창 립과 몇몇 병원을 중심으로 한 금연교실에서 흡연의 해독을 홍보하고 금연 시도자를 도와주는 금연운동의 영향으로 성인 흡연율이 점차 감소하고 있 으나 청소년과 여성의 흡연율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1995년 에 시행된 국민건강증진법은 공공건물에서의 금연과 청소년에 담배판매를 금지하는 국가적인 금연운동의 의지를 보여준 것이다(김대희, 1998).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나라 15세 이상 남자의 흡연율은 68.2%로 미국 (27.7% ), 영국(28% ), 독일(36.8% )등 선진국에 비해 2배정도 높은 세계 최 고 수준이며(WHO,1997), 20세 이상 남자 성인의 흡연율이 1980년 79.3%에 서 1999년 65.1%로 감소하였으나 다른 나라의 흡연율과 비교하면 아직도 매우 높은 수준이다(지선하, 1999).

이와 같은 흡연문제는 20대의 남자 성인이 주를 이루는 군에서도 심각 한데, 전군을 대상으로 한 군 장병의 흡연실태조사에 의하면 간부들의 흡 연율은 69.4%, 병사들의 흡연율은 72.8% (정소진, 권영대, 1996)로 현재 우

리 나라 일반 성인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군대라는 조직적 특성 과 특수한 생활환경이 민간인과 구분되는 건강문제를 일으키게 하는 것으 로, 같은 연령층의 미국 군인과 민간인을 대상으로 6가지 생활습관을 비교 한 Ballw eg (1989)의 연구에서도 군인들이 운동과 체중조절에서는 더 좋은 생활습관을 보인 반면 흡연, 음주, 아침식사, 수면량에서는 더 나쁜 양상을 보인다고 보고하였으며, 군인이 흡연율이 더 높고(하영호 등, 1994 ; Bray 등, 1989) 군입대후 흡연율이 증가하는 경향이 보이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 다(지연옥, 1989 ; Schei & Sogaard).

군 간부의 경우 흡연의 폐해가 나타날 수 있는 고위험 집단으로 이들의 건강상태를 조사한 바에 의하면 심신장애 전역자의 주요 사유가 종양 (26.5% ), 고혈압(18.8% ), 간염(16.1% )이며(김영균 등, 1998), 40세 이상의 경우 당뇨, 고혈압, 만성 간질환, 위암, 간경화, 심근경색 등의 만성질환의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이 보고되었다(강철환 등, 1998). 이런 만성 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이 흡연이라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최정숙, 1999). 최경 혜(1999)의 연구에서도 흡연은 40세 이상 군 간부의 간질환이나 고지혈증 에 영향을 미치므로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시에 금연프로그램을 우선적으 로 실시할 것을 제안한 바 있다.

흡연은 신체의 건강상태에 손상을 입혀서 군사대비태세에 악영향을 미 치기 때문에(이동윤, 1997) 전 군인들의 최적의 육체적, 정신적 건강상태 유지와 전투대비태세 확립을 목표로 하는 건강증진사업에 있어서 금연은 매우 중요한 영역 중에 하나이다. 그런데 군에서의 금연대책은 주로 병사 들을 대상으로 한 금연교육에 치중하고 있으나 체계적이지 못한 실정이다.

지속적이고 규칙적인 시행으로는 일부 지역에서의 금연을 포함한 병 건강 관리교육과 논산훈련소에서의 의무적인 금연교육이 있으며, 이외 부대별로 지휘관의 관심여부에 따라 불규칙적으로 시행되고 있다(신숙호, 1998).

군 장병들의 금연을 보편화하기 위해서는 군 간부를 대상으로 금연을 유도하는 것이 군조직 특성상 더욱 효과적이다. 왜냐하면 군대조직은 계급 과 직위 및 권한을 바탕으로 하는 위계적 집단으로 군 간부는 병사들을 직,간접적으로 지휘 통솔하는 지도자의 위치에 있기 때문에 이들이 먼저 금연의지를 가지고 금연을 실천하여 솔선수범하고 병사들에게 자신감을 부 여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금연분위기를 확산시켜 군 전체의 건강증진에 이바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 해군의 경우에도 1986년 미국방부의 흡연 예방과 금연프로그램개발 정책에 따라 건강한 군 환경을 만들기 위해 금연 정책에 대한 이행에 있어 지휘관의 솔선수범을 우선적으로 강조하였다 (Conw ay , 1993).

그런데 효과적인 금연중재나 프로그램을 계획하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특성과 금연행위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군 간부를 대 상으로 하여 흡연과 관련된 연구를 보면 흡연실태조사는 많이 되어 왔으나 이들 흡연자들이 실제로 어느 정도 금연의도를 가지고 있고 금연을 시도하 여 유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금연행위와 관련된 요인들은 무엇인지 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군 간부들의 금연행위를 이해하기 위해, 건강행위이행 의 관련변수를 설명하는데 유용한 범 이론적 모델((T ran stheoretical Model)을 근거로 군 간부의 금연행위를 변화단계에 따라 구분하고, 여러 연구에서 금연행위 변화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난 개인의 의 사결정균형 및 자기효능감, 일부 연구에서 금연행위변화단계와 관련성을 보인 니코틴의존도, 건강행위 중 음주와 운동, 스트레스지각과의 관계를 파 악하여, 개인의 금연행위변화단계에 맞추어 금연동기를 유발하고 금연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하여 금연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포괄적인 간호중재 전략 및 금연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2 . 연 구 의 목 적

본 연구는 군 간부를 대상으로 대상자의 금연행위를 변화단계로 구분하고 이와 관련된 요인들을 파악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1) 군 간부의 금연행위변화단계를 파악한다.

2) 군 간부의 금연행위 변화단계별 관련요인을 분석한다.

3) 군 간부의 금연행위 변화단계별 관련요인의 영향력을 분석한다.

3 . 용 어 의 정 의

1 ) 군 간 부

군 간부란 장기하사 이상 하사관, 준사관, 장교를 총칭하며 군을 하나의 직업집단으로 인식하고 군대업무에 종사하는 직업 군인을 말하는 것 으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 나라 일부 지역에 위치한 사단에 소속된 하사에서 대령까지의 남자군인을 의미한다.

2 ) 금 연 행 위 변 화 단 계

담배를 끊으려는 행위로 금연에 성공하였는가 / 실패하였는가 의 이분 된 결과로서가 아니라 금연을 일련의 단계에 따라 변화되는 과정으로 설명하는 것을 의미하며(Prochaska & DiClem ente, 1983), 대상자가 현 재 속해 있는 금연행위 변화단계는 5단계로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는 DiClem ent e 등(1991)에 의해 개발된 분류기준에 따라 계획전 단계, 계 획단계, 준비단계, 행동단계, 유지단계로 구분하였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