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_서울시 산·학·관 영역별 역량 분석

1) 산: 서울시 기업체 연구원 규모는 시·도 중 2위, 2007년 이후 수는 증가

2013년 서울시 기업체25)에 속한 연구원은 62,298명으로 전년 대비 0.5% 증가하였다. 전 국 대비 서울시의 기업체 연구원은 22.1%로 전년 대비 0.4%p 감소한 수치를 보였다. 전 국 대비 기업체 연구원 수는 2002년 29.9%에서 2003년 25.2%로 급감 후 2006년 이후 23%대, 2010년 이후 최근까지 22%대로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이다.

자료: 국가통계포털, 연구개발활동조사

[그림 3-22] 서울시 기업체 연구원 수 및 전국 대비 서울 비중

2013년 서울시 기업체 연구기관에 속한 연구원 수는 17개 시·도 중 경기도에 이어 2위였 다. 1위 경기도의 2013년 연구원 수는 무려 128,159명으로 전국 대비 45.5%에 달해 서울 연구원 수의 약 2배가 넘는 규모를 보였다. 전국 기준 기업체 연구원의 67.6%는 서울·경 기 지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위는 13,799명의 대전이 차지하였다.

2013년 서울시 기업체 연구원 수는 2010년 대비 1.20배로 증가하였으며, 동일기간 전국 의 연구원 수도 1.24배 증가하였다. 조사기간인 2002년에서 2013년 중 서울시 기업체 연 구원 수의 연평균 증가율은 5.3%로 전국 평균 8.2%를 하회하였다.

25)기업체는 정부투자기관, 정부재투자기관, 기타 정부투자기관 및 민간 기업을 포함한다.

주1: 최댓값과 최솟값은 각 연도 16개 시·도의 기업체 연구원 수 지수화 값(2010=100)의 최댓값과 최솟값 주2: 2013년 분리된 세종특별자치시는 지수화 분석에서 제외

자료: 국가통계포털, 연구개발활동조사

[그림 3-23] 서울 및 전국의 기업체 연구원 수 지수추이

구분 2002 2005 2010 2011 2012 2013 연평균

증가율 전국 118,160 154,306 226,168 250,626 275,986 281,874 8.2 경기 46,226 66,949 100,344 111,255 125,947 128,159 9.7 서울 35,309 37,617 51,570 55,234 61,969 62,298 5.3 대전 6,177 7,653 10,647 11,834 12,572 13,799 7.6 충남 3,698 7,063 12,410 13,480 11,414 12,623 11.8 경남 5,757 7,070 9,289 11,085 11,429 12,607 7.4 인천 3,777 5,773 8,854 9,889 11,020 11,368 10.5 경북 4,319 7,110 8,917 9,250 10,030 9,328 7.3 충북 2,713 2,611 4,589 5,303 5,964 6,092 7.6 부산 2,019 2,558 4,377 4,968 5,789 5,432 9.4 대구 1,627 2,807 3,997 4,602 5,145 4,789 10.3 울산 2,984 2,709 3,298 4,086 4,659 4,542 3.9 전북 1,151 1,334 2,483 3,075 3,308 3,313 10.1 광주 1,146 1,479 2,128 2,592 2,845 2,643 7.9

전남 786 776 1,728 2,130 2,041 2,177 9.7

강원 415 708 1,207 1,478 1,485 1,562 12.8

세종 - - - 755

2) 산: 기업체 연구조직 수도 2위, 2010년 이후 전국 대비 비중 답보 상태

2013년 서울시 기업체의 연구조직은 6,846개로 전년 대비 9.8% 증가하였다. 연구조직 수는 2004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2002년 37.7%에 달하던 서울의 비중은 2009년 24.9%까지 감소한 후 2010년 이후 25% 내외의 비중을 보이고 있다.

2013년 전국 대비 서울 비중은 25.6%로 전년 대비 0.1%p 증가한 수치를 보였다.

자료: 국가통계포털, 연구개발활동조사

[그림 3-24] 서울시 기업체 연구조직 수 및 전국 대비 서울 비중

2013년 서울시 기업체 연구조직 수 또한 17개 시·도 중 경기도에 이어 2위였다. 1위 경기 도의 2013년 연구조직 수는 9,029개로 서울시의 1.3배 규모를 보였는데 2배 이상의 격차 를 보이던 연구원 수보다 격차가 적었다. 3위는 1,524개의 인천으로 기업체 연구조직 수 1~3위 모두 수도권 지역이 차지하였다.

2013년 서울시 기업체 연구조직 수는 2010년 대비 1.59배로 증가하였으며, 동일기간 전 국의 연구조직 수도 1.56배 증가하였다. 조사기간인 2002년에서 2013년 중 서울시 기업 체 연구조직 수의 연평균 증가율은 9.1%로 전국 평균 13.0%를 하회하였다. 서울시 연구 조직 수는 2008년 이후 전국과 유사한 증가추세를 보였다.

주1: 최댓값과 최솟값은 각 연도 16개 시·도의 기업체 연구조직 수 지수화 값(2010=100)의 최댓값과 최솟값 주2: 2013년 분리된 세종특별자치시는 지수화 분석에서 제외

자료: 국가통계포털, 연구개발활동조사

[그림 3-25] 서울 및 전국의 기업체 연구조직 수 지수추이

구분 2002 2005 2010 2011 2012 2013 연평균

증가율 전국 6,954 8,422 17,099 21,066 24,454 26,697 13.0 경기 1,830 2,381 5,359 6,847 8,047 9,029 15.6 서울 2,619 2,574 4,308 5,157 6,237 6,846 9.1

인천 309 431 961 1,194 1,421 1,524 15.6

경남 332 422 931 1,085 1,228 1,227 12.6

충남 253 367 735 895 990 1,098 14.3

3) 산: 기업체 연구개발비는 증가, 전국 대비 서울 비중은 전반적으로 감소

2013년 서울시 기업체의 연구개발비는 72,824억 원으로 전년 대비 11.4% 증가한 규모를 보였다. 연구개발비는 2003년 26,702억 원에서 2013년까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 였으나, 전국 대비 서울시 연구개발비 비중은 2008년 18.1%에서 2012년 15.1%까지 감 소하다가 2013년 15.6%로 반등하는 추이를 보였다.

자료: 국가통계포털, 연구개발활동조사

[그림 3-26] 서울시 기업체 연구개발비 및 전국 대비 서울 비중

2013년 서울시 기업체의 연구개발비 또한 연구원 수, 연구조직 수와 마찬가지로 17개 시·

도 중 경기도에 이어 2위였다. 1위 경기도의 연구개발비는 256,741.9억 원으로 무려 서울 시의 3.5배에 달하는 규모를 보였다. 3위는 23,999.6억 원의 대전이 차지하였다.

2013년 서울시 기업체의 연구개발비는 2010년 대비 1.39배로 증가하였으며 동일기간 전 국 기업체의 연구개발비는 1.42배로 증가하였다. 조사기간인 2002년에서 2013년 중 서울 시 기업체 연구개발비의 연평균 증가율은 8.9%로 전국 평균 12.3%를 하회하는 수치를 보였다.

주1: 최댓값과 최솟값은 각 연도 16개 시·도의 기업체 연구개발비 지수화 값(2010=100)의 최댓값과 최솟값 주2: 2013년 분리된 세종특별자치시는 지수화 분석에서 제외

자료: 국가통계포털, 연구개발활동조사

[그림 3-27] 서울 및 전국의 기업체 연구개발비 지수추이

구분 2002 2005 2010 2011 2012 2013 연평균

증가율 전국 129,753.5 185,642.4 328,032.4 381,832.9 432,229.3 465,599.2 12.3 경기 57,680.5 88,237.3 168,807.7 193,580.1 236,302.0 256,741.9 14.5 서울 28,492.5 33,677.2 52,289.4 61,092.3 65,372.1 72,823.5 8.9 대전 7,847.7 11,112.4 17,828.6 21,531.6 20,490.7 23,999.6 10.7 충남 4,010.1 8,721.2 22,982.2 25,240.9 21,384.7 22,362.0 16.9 인천 3,686.2 10,097.5 13,473.4 16,979.9 18,033.8 17,959.7 15.5 경북 4,603.3 10,733.4 13,931.9 15,650.2 17,200.9 16,797.5 12.5 경남 6,979.4 6,968.9 10,756.8 12,169.0 14,521.1 15,857.7 7.7 충북 2,995.9 3,232.8 6,095.1 6,461.1 7,203.4 7,719.7 9.0

울산 - - 3,964.4 6,641.4 6,343.6 6,355.4

-부산 1,487.8 1,711.4 4,342.3 4,744.5 5,505.2 5,080.5 11.8 대구 1,079.0 2,433.6 3,563.0 4,220.6 5,408.6 4,772.5 14.5 전남 953.8 1,097.5 3,158.8 3,729.2 4,083.3 4,383.3 14.9 전북 4,923.2 1,487.9 2,747.7 3,717.9 4,741.5 4,362.1 -1.1 광주 1,377.3 1,995.4 2,502.6 4,134.9 4,085.4 3,331.5 8.4

세종 - - - 1,358.0

-강원 383.2 639.1 1,032.7 1,255.6 1,158.2 1,324.7 11.9

제주 21.2 64.4 555.7 683.9 395.0 369.6 29.7

주: 연평균 증가율은 2002~2013년 중 연평균 증가율을 나타냄 자료: 국가통계포털, 연구개발활동조사

[표 3-13] 시·도별 기업체 연구개발비 분포

(단위: 억 원, %)

4) 산: 서울지역의 기업부설연구소는 산업별 사업체 집적지역에 집중

서울지역의 R&D 연구소 중에서 2013년 서울시 연구조직의 96.8%에 달하는 기업체 부분 의 연구조직인 기업부설연구소26)의 분포를 살펴보기로 한다. 서울시 자치구별, 연구 분야 별 기업부설연구소의 분포를 살펴보기 위해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KOITA)의 연구소/전담 부서 신고관리시스템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2015년 7월 기준 서울시에 분포하는 기업부설연구소는 총 9,496개로 전국 기업부설연구소 (34,259개)의 27.7%이다. 기업부설연구소가 가장 많이 분포하는 지역은 강남구 19.4%(1.846개), 금천구 17.7%(1,684개), 구로구 12.0%(1,140개), 서초구 10.7%(1,016 개) 등의 순이었다.

자료: KOITA 연구소/전담부서 신고관리시스템, 2015.07

[그림 3-28] 2015년 7월 서울시 기업부설연구소 분포

26)기업부설연구소의 설립인가 및 사후관리는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에서 담당한다. 기업부설연구소로 인가를 받고 나면 기술개발 촉진법에 근거하여 세액공제, 관세감면, 국가연구개발사업 및 전문연구요원제도 활용 자격 부여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이와 관련해서는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홈페이지에서 인가 절차와 혜택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볼 수 있다.

자료: KOITA 연구소/전담부서 신고관리시스템, 2015.07

[그림 3-29] 서울시 제품개발 산업별 기업부설연구소 수

자료: KOITA 연구소/전담부서 신고관리시스템, 2015.07

[그림 3-30] 서울시 지식서비스 산업별 기업부설연구소 수

서울시 전기전자산업27)의 기업부설연구소 주요 입지지역은 33.7%가 입지한 금천구와 16.4%가 입지한 구로구 지역으로 사업체 최대 분포지역과도 일치했다. 구로구와 금천구 의 사업체 전기전자산업 사업체 분포는 각각 20.5%, 18.1%로 서울시 1~2위 지역에 해당 한다.

자료: KOITA 연구소/전담부서 신고관리시스템, 2015.07; 통계청, 2013, 전국사업체조사 [그림 3-31] 서울시 전기전자 산업 기업부설연구소 및 사업체 분포 비교

자료: KOITA 연구소/전담부서 신고관리시스템, 2015.07; 통계청, 2013, 전국사업체조사 [그림 3-32] 서울시 산업디자인 산업 기업부설연구소 및 사업체 분포 비교

27)KOITA의 산업구분이 한국표준산업분류의 산업분류와는 차이가 있어 각 산업별로 유사산업과 연계하여 기업부설연구소와 사업체의 분포를 비교하였다. 전기전자산업은 한국표준산업분류(9차 개정) 기준 ‘C28 전기기계’ 산업과 동일 산업으로 간주 하였다.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계산업사업체 분포 1~3순위 지역은 기업부설연구소 분포지역과 순서만 달리 영등포구(21.9%), 구로구(15.3%), 금천구(13.9%)로 동일 지역이었다.

자료: KOITA 연구소/전담부서 신고관리시스템, 2015.07; 통계청, 2013, 전국사업체조사 [그림 3-33] 서울시 기계 산업 기업부설연구소 및 사업체 분포 비교

서울시 건설업30)의 기업부설연구소는 강남구(20.2%), 서초구(15.4%), 송파구(14.2%), 금천구(7.8%), 영등포구(7.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건설업 기업부설연구소 분포지역

28)산업디자인업은 한국표준산업분류 ‘M732 전문디자인업’에 해당하는 산업으로 간주한다.

29)기계산업은 한국표준산업분류 ‘C25 금속제품’, ‘C29 일반기계’, ‘C27 정밀기계’, ‘C30~31 수송기계’에 해당하는 산업으로 간주한다.

30)건설업은 한국표준산업분류 ‘F41~42 건설업’에 해당하는 산업으로 간주한다.

1~3위 지역은 건설업 사업체 분포지역 1~3위 지역과 동일했다. 건설업 사업체 분포는 강 남구(10.1%), 서초구(9.3%), 송파구(8.5%) 등의 순이었다.

자료: KOITA 연구소/전담부서 신고관리시스템, 2015.07; 통계청, 2013, 전국사업체조사 [그림 3-34] 서울시 건설 산업 기업부설연구소 및 사업체 분포 비교

자료: KOITA 연구소/전담부서 신고관리시스템, 2015.07,; 통계청, 2013, 전국사업체조사 [그림 3-35] 서울시 SW개발공급 산업 기업부설연구소 및 사업체 분포 비교

서울시 SW개발공급업31)의 기업부설연구소 집중지역도 사업체 집중지역과 지역은 동일, 순위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기업부설연구소는 강남구(22.3%), 금천구(16.0%), 구로구 (15.6%), 서초구(11.6%)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사업체 분포는 강남구(19.0%), 금천

31)SW개발공급업은 한국표준산업분류 ‘J582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에 해당하는 산업으로 간주한다.

자료: KOITA 연구소/전담부서 신고관리시스템, 2015.07; 통계청, 2013, 전국사업체조사 [그림 3-36] 서울시 엔지니어링산업 기업부설연구소 및 사업체 분포 비교

자료: KOITA 연구소/전담부서 신고관리시스템, 2015.07; 통계청, 2013, 전국사업체조사 [그림 3-37] 서울시 정보서비스산업 기업부설연구소 및 사업체 분포 비교

32)엔지니어링산업은 한국표준산업분류 ‘M721 건축기술, 엔지니어링 및 관련기술 서비스업’에 해당하는 산업으로 간주한다.

서울시 정보서비스업33)의 기업부설연구소 집중지역과 사업체 집중지역은 지역은 동일, 순

자료: 국가통계포털, 연구개발활동조사

[그림 3-38] 서울시 대학의 연구원 수 및 전국 대비 서울 비중

[그림 3-38] 서울시 대학의 연구원 수 및 전국 대비 서울 비중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