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Ⅱ. 이론적 배경

1. 배움의 공동체 수업의 등장

‘배움의 공동체 수업’이란 우리나라와 비슷한 교육환경을 가진 일본에서 지식 중심의 전달식 교육, 경직된 수업분위기, 획일화된 입시 위주의 교육에 위기의식 을 느낀 교사들과 사토 마나부 교수를 중심으로 전개된 수업형태이다. 학급 내의 모둠수업을 기본으로 하고 모둠 내의 학생 간의 대화를 통한 학습 활동에서 모 든 학생에 지적 도약이 일어나고 지식을 구성하고 있다는 것을 기본 철학으로 하고 있다(사토 마나부, 2009). 배움의 중심인 학생들은 교실에서 서로 배우는 관

계를 구축하며, 학생들의 배움의 촉진자 역할을 하는 교사들은 다양한 수업협의 회를 운영하며 이로써 아이들에게 학교는 즐거운 공간으로 여기게 하고 배움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등 여러 긍정적인 결과를 만들어 낸 수업이다(사토 마나부, 손우정 (역), 2006).

2) 혁신학교

혁신학교란 학교혁신에 대한 단위학교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노력과 교육청의 행․재정적 지원이 결합된 새로운 학교 모델이자 공교육 혁신의 전략이라고 보 고 있다.

<그림 1> 혁신학교 운영과제

한편에서는 교사의 수업전문성의 변화로써의 혁신학교를 규정하기도 한다. 혁 신학교는 교사가 학생들을 이해하고 학생들이 현재 당면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 도록 지원함으로써 서로의 관계를 건강하게 유지하는 가운데 학생들의 일상적인 학습이 충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학교가 단계적이고 점진적으로 변화해 가는 것 (서근원, 2005)이라고 보았다.

본 연구자는 혁신학교를 ‘학교 구성원의 자발적 참여와 소통을 통해 존중과 배 려의 학교 공동체로서 공교육 정상화를 추구하는 학교’로 정의하고자 한다.

4.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배움의 공동체 수업이 보편화되지 않아 교육적환경과 여건이 비교적 좋 은 혁신학교 A학교 1개교에 한하여 연구를 하였기에 타 학교에서 동일한 연구결 과가 나올 것이라고 일반화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둘째, 배움의 공동체 수업을 진행했던 혹은 진행하고 있는 수학 교사는 4명으 로 대상 인원수가 적어 연구결과에 대한 신뢰성이 낮을 수 있다는 제한점이 있 다.

셋째, 대상 학생들이 1학년 학생들이고 수와 연산 단원에 한하여 18차시만 관 찰한 결과이기에 연구결과에 대한 신뢰성이 낮을 수 있다는 제한점이 있다.

넷째, 설문 대상인 혁신학교 학생들은 수학뿐만 아니라 전 과목에 대하여 배움 의 공동체 수업을 운영했기 때문에 수학 교과만 가지고 판단하기에 혼란이 예상 될 수 있다. 즉, 수학이라는 한 과목만 따로 분리하여 배움의 공동체 수업이 가 져다주는 교육적 효과를 생각하기보다 다른 과목들과 혼합하여 전체적인 배움의 공동체 수업의 장점 및 문제점으로 인식하여 설문에 임할 수 있다.

Ⅱ. 이론적 배경

1. 배움의 공동체 수업의 등장

제7차 교육과정의 핵심은 구성주의 학습이론을 바탕으로 한 열린 교육이다. 구 성주의 학습이론을 바탕으로 한 배움의 공동체는 개별화된 학습자 중심 교육인 열린 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최적의 수업 모델이다. 배움의 공동체는 일본 도쿄대 교수인 사토 마나부가 창시하였고, 1998년 일본에서 최초로 학교에 적용하기 시 작하여 현재 많은 학교에서 실천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사토 마나부 교수의 제자 인 손우정 교수가 들여와 2002년에 교사들이 배우기 시작하였으며, 2004년부터 학교에 적용하기 시작하여 현재는 전국적으로 혁신학교의 수업 모델로 자리 잡 고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