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독일의 경우,20세기 초에 독일의 국민 음악 교육자 외데(F.Jöde)는 국가가 어렵고,국민들이 힘들어할 때 모든 국민들에게 힘을 불어 넣어줄 수 있는 유일 한 대책으로 ‘청소년 음악 운동’을 전개하였다.그만큼 청소년시기 음악 교육은 중요하다.

SuzanneK.Langer도 그의 저서 「A Philosophy In aNew Key」에서 인간 은 상징체를 만들어 쓰기를 즐기며 음악은 인간이 만들어 놓은 가장 심오한 상 징체계 가운데 하나라는 것을 지적하며,학교교육에 음악교육이 필수적으로 포함 되어야 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1)우리나라의 경우 학교교과목에 음악과목이 포 함되어 있다.음악과 교육과정은 일반적으로 표현,생활화,감상의 영역으로 구분 되어 있다.미래형 교육과정에서 음악과 교육과정의 목표는 ‘음악적 정서와 표현 력을 계발하고,문화의 다원적 가치를 인식하여 타인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창의 적 인재 육성을 목표로 한다.’로 규정하고 중학교 교육과정의 하위목표의 나.항 에서는 음악의 연주 기능을 익혀 창의적으로 표현하고,역사와 문화적 맥락 속에 서 악곡의 특징을 이해하며 감상한다라고 제시하여 감상의 중요성을 말하고 있 다.2)

교과서는 학교 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로서 학생이 배워야 할 내용을 담고 있고,교과서에 무슨 내용을 담아 가르치는가에 따라 배 우는 학생의 세계관과 인생관이 영향을 받는다.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미래형 교육과정이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모두 반영되는

1) 송유정(1993), “중학교 음악감상 학습의 효과적인 방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 대학원, p.1.

2) 교육과학기술부(2011), “음악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별책12]」, 교육과학기 술부, p.2.

시점에 맞추어 각 학년마다 다르게 만들었던 교과서를 통합하여 통합교과서를 제작하였다.여기서 미래형 교육과정은 2009개정 교육과정을 일컫는다.

본 연구는 2013년도부터 현재 중학교 1학년에 적용된 미래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 3종을 감상 영역 중심으로 연구하여 교과서간의 공통점과 차 이점을 파악하여 기존의 요소별 혹은 교과서에 실린 악곡 수의 비교 분석이 아 니라,악곡이나 학습내용이 교과서 전체에 산재적으로 분포되어있고 출판사별 특 징적으로 제시한 부분을 파악하여 교수·학습 방법에 활용을 돕고자 한다.또한 타 교과목과 연계 가능한 과목을 연구하여 미래형 교육과정의 목표 중 다양화 부분의 범교과 학습을 활성화여 창의적 인재의 육성을 도울 수 있도록 한다.그 리고 음악 감상 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 감상 수업을 다양하고 유동적일 수 있도록 조력하며,이를 토대로 본 연구가 2009개정 교과서로 효율적인 학습 을 위한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여 차후 적용되는 학년에서는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여 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이끄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초등학교 1,2학년 3,4학년 5,6학년

중학교 1학년 2학년 3학년

고등학교 (영어1) 1학년

(영어2)

2학년

(영어3) 3학년 2.연구의 제한점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의 제안 사항이 있다.

첫째,다음 <표 1>와 같은 2013년도부터 사용하고 있는 중학교 음악교과서 3 종을 대상으로 연구한다.

미래형 교육과정은 2009년 12월 23일에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41호로 고시된 2009 개정 교육과정이다.이 교육과정은 2011년 3월 1일부터 초등학교 1,2학년,중학교 1학년,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적용되었으며,2013년 현재 학교 급별,학년별로 연차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표 1> 2009개정 교육과정 교과서 적용 시기

둘째,표현·생활화·감상의 세 가지 영역 중 감상 영역만을 선택하여 연구한다.

셋째,감상 영역의 범위는 출판서 별로 제한을 둔다.

넷째,교과서 비교 분석에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시할 경우,기준이 되는 출 판사 외 교과서는 감상 영역뿐만이 아닌 교과서 전 영역을 포함한다.

다섯째,타 교과 연계방안 연구는 통상적인 기준으로 봤을 때의 교과목을 선정 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