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오늘날 이혼율의 증가와 맞벌이로 인한 육아문제 발생, 청소년 비행증가 등 가 족의 역할이 한계적 상황에 다다르게되자 국가가 개입하여 가족의 안정성 유지 를 위해 2004년에 건강가정기본법을 제정하였다.

다양하게 발생하는 가족문제의 해결 및 예방과 더불어 가정의 건강성을 증진 시킴으로써 가족과 사회복지를 동시에 향상시키기 위한 건강가정기본법은 법의 구체적인 실현인 “건강가정사업”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하여 “건강가정지원센터”

를 설치하도록 하였다. 이에 센터는 가족구성원 전체에 초점을 맞춰 다양한 사업 을 운영해 가고 있다.

건강가정지원센터는 건강가정사업의 전달체계로서 위상을 정립하여 왔고 통합 적인 가족정책을 실현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건강가정지원센터는 궁극적으 로 건강가정의 구현을 목표로 하면서 가족해체를 예방하고 가족의 원활한 기능 을 강화하는 건강가정사업을 추진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건강가정지원센터는 해 당 지역사회에서 건강가정사업을 수행하는 최종적인 터미널로서, 대주민 교육, 상담, 문화사업 및 정보제공,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 등의 역할과 기능을 한다.

제주도에도 제주시와 서귀포시에 건강가정지원센터가 운영되고 있다. 서귀포시 센터는 2006년 6월 개소하여 서귀포시의 직영으로, 제주시 센터는 2008년 5월 개소하여 천주교 제주교구 재단법인에서 위탁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다.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실시하는 프로그램들이 실효성을 갖기 위해서는 프로그 램 운영 전 가족을 이루는 구성원들이 건강한 가정을 이루기 위해 어떠한 요구 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요구도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

건강가정지원센터는 '건강가정기본법'에 근거한 건강가정사업을 수행하는 전달 체계로서 기존의 대상별, 사업별 접근의 복지서비스 제공 방식에서 벗어나 가정 문제를 통합적으로 접근한다는 점에서 그 특징을 찾을 수 있다. 이에 건강가정사 업의 발전과 성공여부는 가족의 욕구를 정확히 읽어내고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사업을 개발하여 적절한 자원의 배치와 체계적인 지원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 록 하는 것이 핵심이다(조희금 외, 2002).

요구도 조사는 누가 어떠한 요구를 가지고 있는가를 구체적인 방법을 통해 파 악하고 결정하는 작업으로 모든 사업 추진 초기단계에서 지역사회가 가지고 있 는 건강가정지원센터에 대한 요구도와 유관기관의 사업 실태 파악 작업을 선행 하여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지역사회 주민과 가정이 건강가정지원센터를 통해 제공받고 싶은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파악하는 작업이 이루어지며, 동시에 다른 기관들이 그 동안 어떤 사업을 수행해 왔으며 이용자들의 평가는 어떠한지, 효과성과 제한점 등이 함께 파악될 수 있다(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 2006).

그러므로 사업을 실행하기 전 그 지역의 시민들이 어떠한 요구를 가지고 있는 지를 살펴보는 것은 그 사회가 가지는 관심과 가족이 겪는 어려움이 어떠한 것 이 있는지 간접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프로그 램을 기획하였을 때 보다 많은 시민들의 관심과 호응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는 전국적으로 가족정책의 방향에 부합하여 전문화 되고 통일된 서비스를 수행할 필요성이 제기되어 공통 필수 사업을 선정하게 되 었으며 이를 위한 프로그램 및 운영매뉴얼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공통 필 수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고 규정하더라도 지역주민의 요구를 반영하지 않은 채 해야 할 당위성만을 위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면 그 프로그램의 성과는 크 게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러므로 공통 필수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서도 지역 주민의 의식을 반영하여 가장 필요하다고 느끼는 프로그램을 우선적으로 실시하 고 순차적인 실행을 함으로써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인지도를 높이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높이는데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건강가정사업은 가족전체를 단위로 프로그램이 이루어지는 만큼 가족의 구성원은 가족의 중심인 부부의 관심영역과 프로그램 요구에 많은 영향을 받게 된 다. 그러므로 지역주민들이 건강가정사업에 대한 인지와 그 요구를 파악하여 프 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 프로그램의 효율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그 러나 실제 “건강가정사업”이란 단어는 생소하고 직접적인 이미지가 연상되지 않 으므로 건강가정지원센터에 대한 인지여부를 파악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작 업은 건강가정사업을 운영함에 있어 기관의 이미지와 인지도를 객관적으로 앎으 로써 이에 따른 효과적인 센터 홍보방법을 선택하고 더욱 책임감 있게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자세를 갖추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제주지역 기혼자들이 건강가정사업을 수행하는 건강가정지원센 터에 대하여 얼마나 알고 있으며 그 이미지는 어떠한지, 그리고 건강가정 사업에 대해 어떤 프로그램 요구가 있는지 살펴보아 건강가정지원센터의 효과적인 건강 가정사업 운영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