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기계문명이 발달하고, 사회가 점점 복잡해져감에 따라 일각에서는 가치 관의 혼란이라든가 인간성의 상실이라는 우려의 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때일수록 인간의 상호이해와 자기의식이 더욱 필요로 하게 된다.

정원식(1971)은 인간을 이해하고 설명하려 할 때 먼저 한 개인이 지닌 심리적인 체제와 그 개인을 둘러싼 환경에 대한 신뢰성 있는 정보를 얻어 내야만 될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즉 인간의 정서적․심리적 요인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것은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이며 특히 학교환경이 나 사회환경보다도 더욱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것은 가정환경이기 때문 에 가정환경에 대한 정보가 중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인간은 태어나자마자 가족이라는 사회집단에 소속되어 그곳에서 성장하 고 가족과 함께 살아간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인간은 그 가정의 물리 적 조건과 심리적 조건, 그리고 이들간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직접 간접으 로 많은 영향을 받게 되고 또한 많은 사회화 경험을 하게 된다.

가정환경은 개인의 성격은 물론 가치관이나 성격에 이르기까지 많은 영 향을 미치고 있다. 정신분석학적 연구나 그 외 많은 연구는 인격형성에 있어서 초기 경험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였으며, 동시에 가정의 분위기, 부모의 자녀 교육방식 등이 아동의 행동에 큰 영향을 준다는 사 실을 증명해 주고 있다. 이와 같은 초기 경험은 대부분이 학교나 사회단 체에서 이루어지기 전에 이미 가정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정환경의 중 요성은 더욱 부각되어진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인간의 개체가 자아를 형성하고 하나의 인격체로 성장해 가게 되는데, 모든 사람은 세 가지 자아상태로 그 인격을 이루고 이 세 가지 인격은 분리되어 특이한 행동의 원천이 된다(Berne, 1961).

자아상태(ego state)란 Berne(1961)이 교류분석 상담에서 제시하는 성격

구조 이론으로서, 이 성격 이론은 TA 이론가들에 의하면 전적으로 어린

2. 연구의 문제와 가설

가정의 심리적 환경과 아동의 자아상태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구체 적으로 밝혀야 할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심리적 가정환경은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아동의 자아상태는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아동의 심리적 가정환경 하위요인과 자아상태와는 상관관계가 있 는가?

이상과 같은 연구문제를 구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 다.

가설 Ⅰ-1 : 아동의 심리적 가정환경 요인인 성취-비성취에 대한 지각 의 정도는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을 것이다.

Ⅰ-2 : 아동의 심리적 가정환경 요인인 자율-타율에 대한 지각의 정도는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을 것이다.

Ⅰ-3 : 아동의 심리적 가정환경 요인인 개방-폐쇄에 대한 지각의 정도는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을 것이다.

Ⅰ-4 : 아동의 심리적 가정환경 요인인 친애-거부에 대한 지각의 정도는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을 것이다.

가설 Ⅱ-1 : 아동의 비판적 부모 자아는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을 것이다.

Ⅱ-2 : 아동의 양육적 부모 자아는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을 것이다.

Ⅱ-3 : 아동의 성인 자아는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을 것 이다.

Ⅱ-4 : 자유스러운 아동 자아는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 을 것이다.

Ⅱ-5 : 순응적 아동 자아는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을 것 이다.

가설 Ⅲ-1 : 아동의 각 자아상태는 가정의 심리적 환경 요인인 성취-비 성취에서 유의미한 상관을 보일 것이다.

Ⅲ-2 : 아동의 각 자아상태는 가정의 심리적 환경 요인인 자율-타 율에서 유의미한 상관을 보일 것이다.

Ⅲ-3 : 아동의 각 자아상태는 가정의 심리적 환경 요인인 개방-폐 쇄에서 유의미한 상관을 보일 것이다.

Ⅲ-4 : 아동의 각 자아상태는 가정의 심리적 환경 요인인 친애-거 부에서 유의미한 상관을 보일 것이다.

3.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갖는다.

첫째, 연구대상이 연구자가 거주하는 제주지역 초등학교 5,6학년을 대상 으로 제한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를 아동의 전반 또는 전국적인 범 위로 확대 해석하거나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요인별 또는 성별로만 다루어졌기 때문에 지역별, 연령별, 학교급별 등에서는 자료를 제공하지 못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의 자아상태는 이고그램에 나타난 것을 중심으로 분 석되된 내용이다.

넷째, 18세 이전의 인간은 아직 성격이 고정되어 있지 않고 변동성이 높기 때문에 아동의 자아 상태는 신뢰성이 높다고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조사 된 자아상태 또한 유동적이라는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