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부록 Ⅰ. 생활환경(인프라) 분야 환경질지수 지표자료

ㅇ 지표자료의 선정은 통계자료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항목으로 각 분야별로 선정하였으며, 각각의 자료는 기초자치단체별 2020년도 기준 통계자료를 수집 활용 하였음

- 토지이용 부분의 공간정보는 <부록 그림 1-1>과 같이 구축하였음

개발행위 면적 개발제한구역 면적

주상공업 면적 지구단위계획 면적

자료: 저자 작성.

<부록 그림 1-1> 토지이용 부분의 공간정보 구축결과

- 산업경제 부분의 공간정보는 경제활동, 사업체 수 및 재정자립도에 대하여 <부록 그림 1-2>와 같이 구축하였음

경제활동 참가율 사업체 수

재정자립도

자료: 저자 작성.

<부록 그림 1-2> 산업경제 부분의 공간정보 구축결과

- 환경보전 부분의 공간정보는 상하수도 보급, 도시 녹지율, 생활폐기물 재활용 비율에 대하여 <부록 그림 1-3>과 같이 구축하였음

상수도 보급 비율 하수도 보급 비율

도시 녹지율 생활폐기물 재활용 비율

자료: 저자 작성.

<부록 그림 1-3> 환경보전 부분의 공간정보 구축결과

- 문화·경관 부분의 공간정보는 문화기반시설, 공원녹지 조성, 주민 만남의 장 조성 정도에 대하여 <부록 그림 1-4>와 같이 구축하였음

문화기반시설 수 공원 조성 면적

시가화 면적 대비 보행자도로 연장

자료: 저자 작성.

<부록 그림 1-4> 문화ㆍ경관 부분의 공간정보 구축결과

- 교통 부분의 공간정보는 대중교통 이용 편리성, 교통약자 안전성 제고, 교통사고 안전성, 적정 주차공간 확보 정도에 대하여 <부록 그림 1-5>와 같이 구축하였음

대중교통 이용 편리성 교통약자 안전성 제고

교통사고 안전성 주차공간 확보

자료: 저자 작성.

<부록 그림 1-5> 교통 부분의 공간정보 구축결과

- 주택 부분의 공간정보는 주택 노후 정도, 저소득가구 주거 안정 정도, 노후 주택 개선 정도, 최저주거기준 확보 정도에 대하여 <부록 그림 1-6>과 같이 구축하였음

주택 노후 정도 저소득가구 주거 안정 정도

노후 주택 개선 정도 최저주거기준 확보 정도

자료: 저자 작성.

<부록 그림 1-6> 주택 부분의 공간정보 구축결과

- 사회·복지 부분의 공간정보는 보육원·유치원 공급 정도, 초등학교 공급 정도, 노인전 문시설 공급 정도, 의료서비스 수준에 대하여 <부록 그림 1-7>과 같이 구축하였음

보육원ㆍ유치원 공급 정도 초등학교 공급 정도

노인전문시설 공급 정도 의료서비스 수준

자료: 저자 작성.

<부록 그림 1-7 사회ㆍ복지 부분의 공간정보 구축결과

- 방재·안전 부분의 공간정보는 자연재해 피해 정도, 생활안전도 등급, 범죄로부터 안전성 수준에 대하여 <부록 그림 1-8>과 같이 구축하였음

자연재해 피해 생활안전도 등급

범죄로부터 안전성

자료: 저자 작성.

<부록 그림 1-8> 방재ㆍ안전 부분의 공간정보 구축결과

부록 II. 생활환경(인프라) 분야 환경질지수 산정결과(8대 분야별)

ㅇ 8대 분야별 생활환경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공분산행렬(covariance matrix)을 고윳 값(eigenvalue)과 고유벡터(eigenvector), 고유벡터로 분해하는 주성분 분석기법을 이용함(김경호 외, 2021).

가. 환경보전

ㅇ 상ㆍ하수도 보급률, 도시 녹지율, 생활폐기물 재활용률을 4개 지표를 사용해 주성분 분석을 시행하여 도출된 점수로 고윳값 근에 대한 고유벡터 성분, 즉 가중치와 평균, 분산을 도출하였음

- 첫 번째 Factor1이 자료의 최대분산 53.46%를 설명하고 있고 Factor1 계수는 환경보전 항목들의 상관관계를 보여주므로 나머지 변수는 사용하지 않음

구분 Factor1 Factor2 Factor3 Factor4

상수도 보급률 -0.76 0.38 -0.37 -0.37

하수도 보급률 -0.83 0.24 -0.07 0.50

도시 녹지율 0.61 0.75 0.24 0.03

생활폐기물 재활용 비율 -0.70 -0.04 0.69 -0.16

Eigenvalue 2.14 0.77 0.68 0.41

Cumulative Vairance(%) 53.46 72.63 89.63 100.00

<부록 표 2-1> 환경보전 지표에 대한 주성분 분석결과

자료: 저자 작성.

- 환경보전 부분의 지수산정은 식(3-1)을 <부록 표 2-2>의 가중치를 이용하여 주성분 점수를 도출하였음

구분 Wi μ σ

상수도 보급률 -0.35 93.06 10.22

하수도 보급률 -0.39 86.45 15.54

도시 녹지율 0.29 64.67 21.18

생활폐기물 재활용 비율 -0.33 55.28 16.17

<부록 표 2-2> 환경보전 지수산정을 위한 지표별 가중치

자료: 저자 작성.

- 환경보전 부분의 지수 산정결과를 <부록 그림 2-1>과 같이 산출함

자료: 저자 작성.

<부록 그림 2-1> 환경보전 부분의 지자체별 지수 산정결과

나. 토지이용 부분

ㅇ 도시 토지이용의 적정성을 판단하기 위해 개발행위 면적, 개발제한구역 면적, 주‧상‧공 업 면적과 지구단위계획 면적 등 4개 지표를 사용해 주성분 분석을 시행하여 도출된 점수로 고윳값 근에 대한 고유벡터 성분, 즉 가중치와 평균, 분산을 도출하였음 - 첫 번째 Factor1이 자료의 최대분산 37.40%를 설명하고 있고 Factor1 계수는

토지이용 항목들의 상관관계를 보여주므로 나머지 변수는 사용하지 않음

구분 Factor1 Factor2 Factor3 Factor4

개발행위 면적 -0.46 0.77 -0.28 0.33

개발제한구역 면적 0.73 0.10 0.38 0.56

주거상업공업 면적

(1명당) 0.61 0.61 0.11 -0.50

지구단위계획 면적 0.62 -0.14 -0.77 0.08

Eigenvalue 1.50 1.00 0.83 0.68

Cumulative Vairance(%) 37.40 62.38 83.07 100.00

<부록 표 2-3> 토지이용 부분의 지표에 대한 주성분 분석결과

자료: 저자 작성.

- 토지이용 부분의 지수산정은 <부록 표 2-4>와 같이 가중치를 이용하여 주성분 점수를 도출하였음

구분 Wi μ σ

개발행위 면적 -0.31 4.93 0.51

개발제한구역 면적 0.49 0.77 0.24

주․상․공업 면적(1명당) 0.41 168.53 153.13

지구단위계획 면적 0.41 0.21 0.21

<부록 표 2-4> 토지이용 부분의 지수산정을 위한 지표별 가중치

자료: 저자 작성.

- 토지이용 부분의 지수 산정결과를 <부록 그림 2-2>와 같이 산출함

자료: 저자 작성.

<부록 그림 2-2> 토지이용 부분의 지자체별 지수 산정결과

다. 사회‧복지 부분

ㅇ 사회‧복지 부분의 생활환경지수를 판단하기 위해 보육시설 수, 초등학교 학생 수, 장기요양급여 비율, 의료인력 비율의 4개 지표를 사용하여 주성분 분석을 시행하여 도출된 점수로 고윳값 근에 대한 고유벡터 성분, 즉 가중치와 평균, 분산을 도출하였음 - 첫 번째 Factor1이 자료의 최대분산 34.28%를 설명하고 있고 Factor1 계수는

사회‧복지 분야 항목들의 상관관계를 보여줌

구분 Factor1 Factor2 Factor3 Factor4

보육시설 수

(유아 1,000명당) -0.55 0.61 -0.37 0.44

초등학교 학생 수

(학급당) -0.13 -0.83 0.05 0.54

장기요양급여 비율

(노인 1,000명당) -0.79 0.11 0.61 -0.06

의료인력 비율 0.66 0.47 0.43 0.40

Eigenvalue 1.37 1.30 0.69 0.65

Cumulative Vairance(%) 34.28 66.68 83.86 100.00

<부록 표 2-5> 사회‧복지 부분의 지표에 대한 주성분 분석결과

자료: 저자 작성.

- 사회‧복지 부분의 지수산정은 <부록 표 2-6>과 같이 가중치를 이용하여 주성분 점수를 도출하였음

구분 Wi μ σ 보육시설 수

(유아 1,000명당) -0.4 16.23 3.33

초등학교 학생 수

(학급당) -0.09 7.69 5.06

장기요양급여 비율

(노인 1,000명당) -0.57 25.29 15.62

의료인력 비율 0.48 0.84 0.7

<부록 표 2-6> 사회‧복지 부분의 지수산정을 위한 지표별 가중치

자료: 저자 작성.

- 사회‧복지 부분의 지수 산정결과를 <부록 그림 2-3>과 같이 산출함

자료: 저자 작성.

<부록 그림 2-3> 사회‧복지 부분의 지자체별 지수 산정결과

라. 주택환경 부분

ㅇ 주택환경 부분의 생활환경지수를 판단하기 위해 30년 이상 노후 주택 비율, 60m2 이하 소형 주택 비율, 주거용 건축 허가 동수, 최저 주거 확보 비율을 이용하여 주성분 분석을 시행하여 도출된 점수로 고윳값 근에 대한 고유벡터 성분, 즉 가중치와 평균, 분산을 도출하였음

- 첫 번째 Factor1이 자료의 최대분산 38.08%를 설명하고 있고 Factor1 계수는 주택환경 분야 항목들의 상관관계를 보여줌

구분 Factor1 Factor2 Factor3 Factor4

노후 주택 비율 0.58 -0.65 0.27 0.41

소형 주택 비율 -0.67 -0.21 0.70 -0.13

주거용 건축 허가 동수 0.83 0.06 0.29 -0.47

최저 주거 확보 비율 -0.22 -0.85 -0.36 -0.32

Eigenvalue 1.52 1.20 0.77 0.51

Cumulative Vairance(%) 38.08 68.02 87.29 100.00

<부록 표 2-7> 주택환경 부분의 지표에 대한 주성분 분석결과

자료: 저자 작성.

- 주택환경 부분의 지수산정은 <부록 표 2-8>과 같이 가중치를 이용하여 주성분 점수를 도출하였음

구분 Wi μ σ

노후 주택 비율 0.38 42.45 13.87

소형 주택 비율 -0.44 41.76 8.24

주거용 건축 허가 동수 0.55 430.62 464.56

최저 주거 확보 비율 -0.14 4.99 1.37

<부록 표 2-8> 주택환경 부분의 지수산정을 위한 지표별 가중치

자료: 저자 작성.

- 주택환경 부분의 지수 산정결과를 <부록 그림 2-4>와 같이 산출함

자료: 저자 작성.

<부록 그림 2-4> 주택환경 부분의 지자체별 지수 산정결과

마. 산업경제 부분

ㅇ 산업경제 부분의 생활환경지수를 판단하기 위해 경제활동 참가율, 인구 1,000명당 사업체 수, 재정자립도 지표를 이용하여 주성분 분석을 시행하여 도출된 점수로 고윳 값 근에 대한 고유벡터 성분, 즉 가중치와 평균, 분산을 도출하였음

- 첫 번째 Factor1이 자료의 최대분산 44.99%를 설명하고 있고 Factor1 계수는 산업경제 분야 항목들의 상관관계를 보여줌

구분 Factor1 Factor2 Factor3

경제활동 참가율 0.79 -0.25 0.56

사업체 수(인구 1,000명당) -0.24 -0.96 -0.12

재정자립도 -0.82 0.04 0.58

Eigenvalue 1.35 0.99 0.66

Cumulative Vairance(%) 44.99 78.08 100.00

<부록 표 2-9> 산업경제 부분의 지표에 대한 주성분 분석결과

자료: 저자 작성.

- 산업경제 부분의 지수산정은 <부록 표 2-10>과 같이 가중치를 이용하여 주성분 점수를 도출하였음

구분 Wi μ σ

경제활동 참가율 0.59 63.37 6.18

사업체 수(인구 1,000명당) -0.18 90.2 40.07

재정자립도 -0.61 20.3 11.85

<부록 표 2-10> 산업경제 부분의 지수산정을 위한 지표별 가중치

자료: 저자 작성.

- 산업경제 부분의 지수 산정결과를 <부록 그림 2-5>와 같이 산출함

자료: 저자 작성.

<부록 그림 2-5> 산업경제 부분의 지자체별 지수 산정결과

바. 문화‧경관 부분

ㅇ 문화‧경관 부분의 생활환경지수를 판단하기 위해 인구 10만명당 문화기반 시설 수, 인구 1인당 공원조성 면적, 시기화 면적 대비 보행자도로 길이 지표를 이용하여 주성 분 분석을 시행하여 도출된 점수로 고윳값 근에 대한 고유벡터 성분, 즉 가중치와 평균, 분산을 도출하였음

- 첫 번째 Factor1이 자료의 최대분산 34.68%를 설명하고 있고 Factor1 계수는 문화·경관 분야 항목들의 상관관계를 보여줌

구분 Factor1 Factor2 Factor3

문화기반 시설 수(인구 10만명당) -0.68 0.19 -0.71

공원조성 면적(1명당) -0.64 0.38 0.66

시가화 면적 대비 보행자도로 연장 0.41 0.90 -0.13

Eigenvalue 1.04 0.99 0.97

Cumulative Vairance(%) 34.68 67.77 100.00

<부록 표 2-11> 문화‧경관 부분의 지표에 대한 주성분 분석결과

자료: 저자 작성.

- 문화‧경관 부분의 지수산정은 <부록 표 2-12>와 같이 가중치를 이용하여 주성분 점수를 도출하였음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