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생산완충모형의 검증

문서에서 재고투자와 경기변동 (페이지 40-47)

Cov( △Nt, Yt) < 1

2Var( △Nt)

다음에서는 우리나라 자료를 이용하여 위의 두 가지 명제가 성 립하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다음 <표 4-1>은 국민계 정상의 GDP, 재고투자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한 판매량과 GDP 자 료의 표준편차를 제시하고 있다. 추세제거된 GDP의 표준편차는 1,901.7로서 추세제거된 판매량의 표준편차 1,318.2보다 높게 나타 났다. 즉 GDP가 판매량보다 1.44배의 변동성을 보여주고 있다.g 이는 생산완충모형이 제시하는 첫번째 명제에 배치하는 결과이다.

동 모형에 의하면 생산GDP은 판매에 비해 변동성이 낮아야 함에 도 불구하고 실제자료에서는 정반대의 결과가 나왔다. 동 결과에 따르면 생산완충모형이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성립되지 않고 있음 을 보여준다.

<표 4-1> GDP 및 판매의 변동성 표준편차

GDP(A) 1,901.7

판매량(B) 1,318.2

A/B 1.44

주 : 자료는 1970년 1/4분기부터 2000년 1/4분기까지의 국민계정의 GDP, 재고 투자 자료를 이용하여 판매량(판매량=GDP-재고투자)을 계산하였음. 각 시계열은 H-P filter에 의해 추세제거되었음.

7) 재고투자와 판매간에는 음의 상관관계가 성립한다는 명제가 도출되지만, 재고 투자와 생산간의 상관관계가 음이어야 한다는 추론은 위의 관계식으로부터 도 출되지 않는다. 다만, 재고투자와 생산간의 공분산이 재고투자 분산의 1/2보다 작아야 한다는 조건만이 도출된다. 즉 .

7) GDP와 판매량의 수준변수 대신에 로그대수를 취한 값에 대한 변동성의 측정 에서도, GDP의 표준편차가 판매량의 그것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로그대수 를 취한 뒤 H-P filtering한 GDP의 표준편차는 0.0272이고 판매량의 그것은 0.0224로서 GDP의 변동성이 판매량에 비해 1.21배 큰 것으로 판명되었다.

9)

그리고 생산의 변동성이 판매량보다 크다는 것은 <그림 4-1>에 서도 확인할 수 있다. 그림에서 실선은 생산GDP을, 점선은 판매를 나타내는데 생산의 변동성이 판매에 비해 큼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1990년대 후반에 들어와서는 생산의 변동성이 판매에 비해 더욱 증폭됨을 알 수 있다.

<그림 4-1> GDP 및 판매의 변화

-10000 -8000 -6000 -4000 -2000 0 2000 4000 6000

70 75 80 85 90 95 00

GDP_SM SALES_SM

다음에서는 재고투자와 판매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생산 완충모형의 두 번째 명제의 성립여부를 확인하고자 한다. <표 4-2>에 제시되어 있듯이, 재고투자와 판매간의 상관계수는 0.191 로서 크지는 않지만 양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생산완충모형 이 의미하는 명제와 배치되는 결과이다.

<표 4-2> GDP, 판매, 재고투자간의 상관계수

GDP 판매 재고투자

GDP 1.000 0.808 0.733 판매 0.808 1.000 0.191 재고투자 0.733 0.191 1.000

따라서 생산완충모형이 의미하는 두 가지 명제 모두가 국민계정 상의 GDP, 재고투자를 이용하는 경우 기각되었다.

그런데 재고투자를 측정하는 자료는 한국은행이 발표하는 국민 계정상의 재고투자 항목 이외에도 통계청이 발표하고 있는 재고지 수 자료가 있다.10) 두 자료의 가장 큰 차이점은 재고투자는 유량 flow변수이고, 재고지수는 저량stock변수라는 사실이다. 따라서 재 고지수는 그 변화분difference을 이용할 때 재고투자와 상응하게 된 다.

이러한 부분 이외에도 여러 가지 측면에서 차이가 난다. 재고투 자는 국민계정상의 항목이므로 부가가치의 측면에서 계산된 반면, 재고지수는 생산의 측면에서 측정된다. 그리고 재고투자는 유통부 문을 포함한 전산업을 대상으로 하는 데 반해 재고지수는 광업, 제조업만을 조사대상으로 한다. 또한 재고투자는 원재료, 반제품, 재공품 및 유통업자의 재고까지 포함하는 데 반해, 재고지수는 완 제품재고만을 대상으로 한다. 따라서 재고지수는 광업, 제조업의 완제품재고만을 측정한 협의의 개념이다.

다음에서는 통계청의 재고지수를 이용하여 생산완충모형을 다시 검증하고자 한다. 통계청의 재고지수는 월별 주기의 자료로서 자

10) 재고투자와 재고지수의 정확한 측정방법에 대해서는 부록을 참조

료량이 많을 뿐만 아니라 산업별로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미 시적인 관찰이 가능하다.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재고지수는 재고 저량을 나타내기 때문에 재고투자의 개념에 맞는 자료를 얻기 위 하여 기간간 차이를 이용하여 재고투자 자료를 도출하였다. 그리 고 산업생산지수와 생산자제품 출하지수와 위에서 구한 재고투자 간의 표준편차와 상관관계를 구한 것이 <표 4-3>에 제시되어 있 다.11)

먼저, 전산업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판매는 생산보다 변동성이 큰 것으로 나타나서 생산완충모형의 추론에 부합한다. 하지만 재 고투자와 판매간의 상관관계는 양으로 나타나서, 이 측면에서는 생산완충모형의 추론에 배치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광업은 판매의 변동성이 생산보다 크고, 재고투자와 판매간의 상관관계가 음으로 나타나서 생산완충모형에 부합되는 결과가 나왔다. 전체 제조업의 경우, 판매의 변동성은 생산보다 크게 나와서 생산완충모형에 부 합하였다. 그러나 재고투자와 판매간의 양의 상관관계가 발견되어 서, 이 측면에서는 생산완충모형에 배치되었다.

제조업종의 하위업종에 대한 결과는 생산완충모형에 보다 근접 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전체 22개 하위업종 중 생산완충모형에 부합하는 경우, 즉 판매의 변동성이 생산보다 크고 동시에 재고투 자와 판매간에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경우는 모두 9개 업종으로 나타났다. 9개 업종은 구체적으로 음식료품, 담배, 의복모피, 종이, 화합물 및 화학, 제1차 금속, 조립금속, 의료 정밀 광학 및 시계, 가구 및 기타 제조업종 등이다. 생산완충모형에 배치되는 경우, 즉 판매의 변동성이 생산보다 작고 동시에 재고투자와 판매간에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경우는 3개 업종에 불과하였다. 3개 업종은 고

11) 생산, 판매, 재고투자간의 표준편차 및 상관계수의 구체적인 수치는 부록을 참조

<표 4-3> 산업별 생산‧판매 변동성 및 재고투자와 판매의 상관관계 σ(판매)/σ(생산) ρ(재고투자, 판매)

전산업 1.070 0.337

광업 1.821 -0.135

제조업 1.063 0.336

음식료품 1.036 -0.104

담배 1.069 -0.429

섬유 0.969 -0.176

의복 모피 1.055 -0.109

가죽 신발 0.876 -0.004

목재 나무 0.979 -0.171

종이 1.109 -0.251

출판인쇄 1.056

-코크스 및 석유정제 0.762 -0.239

화합물 및 화학 1.024 -0.144

고무 및 플라스틱 0.979 0.077

비금속 1.090 0.063

제1차 금속 1.008 -0.148

조립금속 1.010 -0.020

기계 장비 0.960 0.145

사무기계 1.133 0.156

전기기계 0.931 -0.084

영상음향 및 통신장비 1.083 0.217 의료 정밀 광학 및 시계 1.071 -0.028 자동차 및 트레일러 0.946 0.143

기타 운송장비 1.017 0.030

가구 및 기타 제조업 1.072 -0.161

전기, 가스 1.087

-출처 : 통계청 웹사이트 www.nso.go.kr

주 : 1) 조사대상기간 : 1980년 1월부터 2000년 6월까지

2) 생산은 산업생산지수(계절조정 후), 판매는 생산자제품 출하지수(계절조 정 후), 재고투자는 생산자제품 재고지수(계절조정 후)의 차이를 이용 3) σ는 표준편차를, ρ는 상관계수를 나타냄.

무 및 플라스틱, 기계장비, 자동차 및 트레일러업종이다. 생산완충 모형과의 부합여부를 판단하는 두 가지 기준 가운데 하나의 경우 만 성립하는 경우는 10개 업종에 달했다. 판매의 변동성이 생산보 다 크지만 재고투자와 판매간의 상관관계가 양인 경우는 5개 업종 으로, 출판인쇄, 비금속, 사무기계, 영상음향 및 통신장비, 기타 운 송장비업종 등이다. 반대로 판매의 변동성이 생산보다 작지만 재 고투자와 판매간의 상관관계가 음인 경우는 5개 업종으로 섬유, 가죽 신발, 목재 나무, 코크스 및 석유정제, 전기기계업종 등이다.

통계청의 재고지수를 이용하여 생산완충모형의 성립여부를 검증 해 본 결과에 따르면 제조업 하위업종의 경우 생산완충모형이 성 립하는 경우가 많아짐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통계청의 재고지수가 생산완충모형에서 정의하는 재고의 개념에 보다 가깝 기 때문인 것으로 유추된다. 재고지수는 제조업 생산자의 완제품 재고를 측정한 것으로서, 생산완충모형이 상정하는 완제품재고의 개념에 부합하기 때문이다. 즉 유통재고를 고려하지 않고 완제품 재고만을 측정하는 재고지수를 활용하는 것이 생산완충모형의 재 고 개념에 근접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통계청의 산업별 재고자료를 이용하는 경우 생산완충모형이 성 립하는 경우가 발견되는 이유는 집계상의 편향성aggregation bias에 기인할 수 있다. 최근 Lai(1991)는 모든 기업이 재고를 생산완충의 목적으로 조정한다고 하더라도 우리가 집계자료에서 생산집중현상

production bunching을 발견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집계된 자료의 생산과 판매의 분산을 비교하는 공식을 통하여 이러한 사실을 명 확히 확인할 수 있다.

Var ( Y) -Var ( S) = ∑K

k=1Var ( yk) -∑K

k =1Var ( sk)

+2[∑

i≠j

j≠iCov( yi,yj) -Cov( si,sj) ] ․․ (4-5)

여기서 대문자는 집계변수를 소문자는 기업수준의 변수를 나타 낸다. 만약 모든 기업단위에서 생산완충의 동기로 재고를 조정한 다면, 생산보다 판매의 변동성이 크므로, 기업의 생산과 판매의 분 산의 차이를 집계한 우변의 처음 두 항은 음의 값이 될 것이다.

그러나 기업간 생산의 공분산이 판매의 공분산을 크게 압도한다면 결국 우변은 전체적으로 양의 값을 가지게 된다.12) 따라서 집계자 료에서는 생산이 판매보다 변동성이 높게 나타나고, 결국 생산완 충모형이 기각되게 된다.

문서에서 재고투자와 경기변동 (페이지 40-4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