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상수 시설물 관리 효율화 방안(안)

3. 인천시 스마트워터그리드를 위한 효율화 방안

3.3.3 상수 시설물 관리 효율화 방안(안)

3.3.3 상수 시설물 관리 효율화 방안(안)

❍ 미국, 유럽, 일본, 호주 등 선진국의 경우 ‘90년대 중반 이후부터 자산평가나 자산 관리 기법 도입을 제도적으로 실시

[그림 3.41] 국외 자산관리 기술개발 현황

❍ 상수도시설의 운영 및 자산관리 통합시스템 개발(’15~’17, 환경부)‘ 연구가 상수도 시설을 대상으로 본격적으로 연구된 최초 사례임

­ 이를 토대로 에코스마트상수도사업단(‘16~‘21) 8세부 사업단인 한국수자원공사와 서울시립대학교에서는 ’ICT기반 상수도시설 스마트 자산관리 시스템 개발‘ 연구 진행 중

[그림 3.42] 국외 자산관리 기술개발 현황

다. 상수 관망 자산관리를 위한 GIS 고도화 방안

□ GIS의 역할

❍ 상수관망 자산관리 인벤토리 DB 구축을 위한 기본 정보제공

­ 일반적인 상수관망 GIS 제공 정보로는 매설(공사)일자, 매설 위치(시점-종점), 관 재질, 관경, 접합종류, 최저-최고 매설 깊이, 폐관년도 등이 있음

­ GIS를 활용한 상수관망 시설의 운영 효율화를 위해서는 GIS와 자산관리의 연계가 필수이며, 자산관리 인벤토리 DB가 GIS와 연동되고, 자산관리 결과가 GIS상에 표현이 되어야 함

□ 상수 관망 인벤토리 DB 구축

❍ 인벤토리의 정의

­ 수도 관망시설 Inventory는 전체 상수도 관망시설을 구성하는 각 시설의 세부자산 객체 목록정보과 각 자산 객체에 대한 기초정보

❍ 상수 관망 인벤토리 DB 구축

­ 상수 관망시설 구성 세부자산 객체 목록 및 기초정보 집합이 가지는 중복성을 배제하여 정보를 일원화하고, 정보를 구조화하여 저장함으로써 자료 검색 등의 데이터 처리 및 데이터 활용의 효율화를 도모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

❍ 상수관망 인벤토리 상속트리 구성

­ 관망시설 관련 준공도서 및 도면, GIS, 관망도, 기타 설계자료 등을 활용하여 상 수 관망시설 계통인 도수시설, 송수시설, 배수시설, 급수시설 각각에 해당하는 관 련 시설물을 구분하여 정리

❍ 자산정보 GIS 연계

­ 기존 GIS DB에 자산관리를 위해 구축한 상수관망 인벤토리 연계·적용

­ 기존의 관로 및 관망시설의 물리적 기본정보와 함께 자산관리 관련 정보반영 필요

※ 운영 데이터인 고장 및 보수 이력, 기술진단 결과 등에 대한 이력관리 부분 역시 자산관리에 필수 요소로서 GIS DB에 반영하고 이력이 발생할 경우 실시간 업데이트가 필요함

❍ 자산관리 정보 GIS상 표현

­ 자산관리 주요 결과값인 자산의 건전도 상태, 개·대체 시기, 현재 자산가치 등이 GIS상에 표현될 경우 시설물의 운영관리 측면에서 시각화 및 효율화가 가능함

­ GIS 고도화는 1단계인 인벤토리 DB 구축과 2단계인 운영자료 조사 및 기술진단 자료를 GIS DB에 반영하며, 3~7단계의 결과값을 GIS상에 표현하는 것이 핵심

­ 단, 3~7단계의 수행은 별도의 자산관리 시스템 구축이 전제되어야 함

[그림 3.43] 자산관리 정보 GIS상 표현

[그림 3.44] 상수도 관망시설 자산관리 통합솔류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