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상대습도

문서에서 초급 예보관 훈련용 교재 (페이지 102-106)

4.3 지상변수

4.6.1 상대습도

이 고도에서의 상대습도 분석은 때때로 전선대와 강수 가능성과 관련되어 있는 중층운 발생 가능성에 대한 좋은 단서를 제공한다.

주요 관심지역

• > 95% - 활동적인 전선상에서 전형적인 두꺼운 중층운과 중간 또는 강한 강수를 의미

• > 76% - 광범위한 중층운과 강수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 < 19% - 이 고도에서 구름이 극히 일부 있거나 전혀 없음을 나타낸다.

700hPa 면은 대략 대기의 3,000m 고도와 동일하며 이 고도에서 가장 유 용하게 사용되는 변수는 상대습도이다.

4.6 700hPa

[그림 4.15]700hPa 면에서의 지위고도(푸른색), 등온선(붉은색), 상당온위(음영)

그림 4.15는 12km 해상도의 UM이 예측한 2011년 7월 7일 18UTC 700hPa 면에서의 상당온위를 나타낸 것으로 상당온위가 333K 이상에 대 해 칠을 하였다. 앞에서와 같이 상당온위가 333K 이상의 습윤하고 잠재 불 안정한 영역이 중국남부에서 한반도-일본열도에 이르는 광범위한 지역에 서 발달하는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4.7 500hPa

4.7.1 1000-500hPa 층후

1000hPa과 500hPa 면 사이의 대기 연직 층후는 전체 대기에서 하부의 열 적 구조를 정의한다. 작은 층후는 찬 공기를 나타내며, 이와 비슷하게 층후 가 두꺼울 경우에는 이 층에서 공기가 따뜻함을 뜻한다.

고도 장에서와 같이 층후선도에서도 숫자로 분석될 수 있다. 층후 골 또는,

‘찬 공기 풀’(포위된 찬 공기)은 주로 불안정한 대기와 소나기가 잦은 날씨 와 관련되어 있다.

1000-500hPa 층후들은 60m 간격의 등치선으로 표시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장마의 판단은 1000-500hPa 층후도의 5,760m 또는 5,820m 선을 참고한다. 1000-500hPa 층후를 이용한 비/눈 예보 경계에 대한 판단 은 5,360-5,400m 층후선을 기준선으로 삼는다.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5,460이나 5,520m 층후지역에서 눈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하층의 기압 면이 중층 한기에 가까운 낮은 기압값을 가지기 때문이다.

500hPa 일기도상에 고도와 층후장을 중첩하면 층후가 변하는 지역을 나타 낼 수 있고 고도와 층후가 교차하는 지역은 온난 및 한랭이류가 발생하는 지역임을 보여준다.

500hPa면은 약 5,500m 고도에 해당되며 비발산고도이다. 1000-500hPa 의 층후는 이 고도에서 온난 및 한랭 이류가 발생하는 위치를 찾는 데 가장 많이 분석되는 장이다. 500hPa 온도는 또한 찬 공기 풀을 탐지하는 데에 유용하게 쓰이며 그 결과 강화된 대류가 가능한 지역을 찾는데도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500hPa 골 전방에 위치한 지상 저기압은 발달하지만 후방에 있으면 약해진다. 또한 기압골의 축이 500hPa 면까지 수직일 때 지 상 저기압은 발달하며 기압골 아래에 지상 고기압이 있으면 이 고기압은 키가 낮은 고기압으로 일기가 좋지 않다.

그림 4.16은 12km 해상도의 UM이 예측한 2011년 7월 7일 18UTC 1000-500hPa 층후도를 700hPa에서의 연직속도와 함께 나타낸 것이다.

산둥반도와 한반도를 중심으로 남북방향의 층후 경도가 크게 나타나고 있 으며 만주와 몽고 경계지역에 ‘Cold Pool'이 존재함을 알 수가 있다.

또한 북서풍과 남서풍에 의해 한반도에서 한랭건조한 공기와 온난습윤한 공기가 수렴함을 볼 수가 있다. 그 결과 한반도 서해안을 중심으로 15hPa/hr 이상의 강한 상승운동이 발생하는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4.7 500hPa

4.8 300hPa

문서에서 초급 예보관 훈련용 교재 (페이지 102-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