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산학협력 영역 1. 산학공동 교육과정

문서에서 <신청서 요약문> (페이지 123-127)

III. 연구역량 영역

Ⅳ. 산학협력 영역 1. 산학공동 교육과정

1.1 산학공동 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 계획

□ 산학협력의 비전 및 목표

□ 산학공동 교육과정 구성의 전략

-“산학 맞춤형 공동연구 활성화 프로그램”과 “글로컬 리더양성 프로그램”의 두 가지 전략 축을 통해 진행.

※ 전략 프로그램 I ⟹ “산학 맞춤형 공동연구 활성화 프로그램”

- 본 프로그램은 기업/국공립기관과의 긴밀한 네트워크를 통해 사업단 내 해외석학들이 포함하는 국 내외 공동프로젝트를 개발하여 교수 1인당 협력과제 및 기업과제 3건씩을 수주하게 하는 세부적인 전략들을 포함.

- 이는 충청광역권 메디바이오 산업이 지역산업에서 벗어나 신속히 글로벌화 될 수 있는 계기마련.

- 본 프로그램은 전략 아이템의 효율적 공동개발을 위하여 전략기업 연구소를 공동으로 설립하고, 기 업의 애로기술들을 맞춤형으로 해결하기 위한 자문단 (해외석학 포함)을 구성하여 지원함으로서 (정 기적 미팅, 1회/3주), 개발의 가속화를 지향하는 점에서 우수.

※ 전략 프로그램 II ⟹ “글로컬 리더양성 프로그램”

- 본 프로그램은 충청광역권 의약바이오산업의 지역경제를 글로벌 수준으로 선순환시킬 창조적인 박 사급 고급두뇌 양성을 목표로 하는 프로그램임. 세부전략들은 아래와 같음.

: 박사과정 학생의 학위 연구테마를 기업/국공립기관과 공동으로 지도 : 박사과정 학생(박사 3-4년차)을 기업현장에 파견하여 실습 (6개월간) : 기업/국공립기관 CEO급 책임자들의 정규강좌 (1학기 통합강좌) 개설

- 본 프로그램의 특징은 사업단과 기업이 협력하여 대학원교육을 산업밀착형으로 구성하는 것으로, 교 육내용이 실험실 및 강의실 수준에 머물지 않고 산업화 마인드가 들어있는 교육 과정 및 연구테마 가 도출되도록 설계되어 있는 점이 우수.

- 글로컬리더 육성팀은 다양한 글로컬 리더양성 프로그램들로 아래와 같은 4개의 차별화된 하부 프로 그램들을 운영할 예정.

□ 산학협력을 위한 기반

- 본 연구단은 지난 7년간 BK21 플러스사업(글로벌 인재양성형 사업)을 통해 다양한 산학협력 프로그 램들을 진행해왔기 때문에 이미 우수한 인적 물적 인프라와 기반이 구축되어 있음 (아래 참고). 따 라서 가시적인 산업화 성과들이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

본 연구단은 “충청광역권 메디바이오 산업의 글로벌화”와 “충청광역권 지역경제를 주도할 리더 양성”을 산학협력 비전 및 목표로 제시

- 프로그램#1 : 양 기관 R&D 프로그램으로 우수 연구개발 아이템의 지속적 협의도출 및 박사과 정 맞춤형 연구주제화 프로그램.

- 프로그램#2 : 해외학자 자문 프로그램으로 해외 공동연구기관들과의 협력을 통한 충청광역경제 권의 글로벌화 추진 프로그램.

- 프로그램#3 : 대학원 나노바이오의과학과내에 참여기관 임직원의 강좌개설 프로그램으로 기업/

국공립 연구소 리더들의 맞춤형 고급지도 프로그램.

- 프로그램#4 : 대학원생들의 기업 방문·연구 프로그램으로 기업/국공립 연구소 맞춤형 연구개 발 프로그램은 석/박통합과정 3년차 학생들을 대상.

※ 산업체 연구과제와 사업단 교육/연계 계획

- 산학연 맞춤형 공동연구 활성화 프로그램과 글로컬 리더양성 프로그램의 두 가지 전략을 통해 기업체 /국공립기관과의 과제 수주를 총 65건 (1단계 15건) 및 국책과제 공동참여 총 30건 (1단계 5건) 계획.

□ 글로컬 리더양성 프로그램 산학연 공동운영 개발

- 본 연구단의 산학협력 특성화 인재양성 프로그램인 “글로컬 리더 양성 프로그램”

- 6개월간 글로컬 참여기업/연구소의 CEO 및 연구소장 특강/세미나 강좌 수강 - 추가 6개월 간 대상 기업/연구소 파견 연구 - 공동연구형태의 연구과제 수행 - 총 1년의 프로그램을 이수한 인력은 향후 논스톱 취업 대상자

※ 산학협력을 통한 신산업분야 과학기술문제 해결 계획

- 본 사업단은 의료용 소재/기기개발 기업체 바이오 기업체, 연구소들과 미래형 융복합 기술을 공동개 발할 것이며 가능한 예시 분야는 아래와 같음.

- 조직재생능 향상을 위한 생체인자 및 담지체 개발, 응용 및 산업화.

: 연구단의 뼈재생인자, 신경재생인자의 디자인, 담지체 및 합성 기술 활용/전수 : 기존 바이오소재와 결합을 통한 응용 및 산업화

- 줄기세포 치료효능 증진을 위한 R&D 기술과 산업화.

: 연구단의 세포전달체 개발기술 접목 : 전임상 연구진행 및 산업화 추진

- 기업체 의료용 개발 소재의 동물실험 공동연구 및 첨단 기장비 제공.

: 의료용 개발 소재 전임상 시험을 위한 연구진, 동물실 인프라 공유 : 재료분석 및 첨단 장비

- 연구단의 글로컬리더 육성팀 내에는 기술이전과 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산학협력 전담교원 (산 학중점교원) 2인을 이미 확보하고 있으며, 글로컬 리더양성 교육 프로그램을 더욱 확대하여 산업체 와의 강화된 교육 및 연구 네트워크를 만들어가도록 할 계획.

- 단국 글로컬리더 육성팀에는 해외 7개 기관 출신의 (미국의 하버드대, 듀크대, USC, NIH, 템플대, 조 지타운대, 영국의 UCL, 호주의 시드니대, 스페인의 IBEC) 해외석학 초빙교수진 12인을 해외석학 자 문위원으로 확보하여 지역산업체의 기술이전 및 사업화를 촉진할 예정.

※ 해외석학들의 자문/교육 가능한 지역산업체 핵심기술분야

- J. Knowles (Biomaterial, Bioengineering 전공/영국 UCL) ⇒ 나노소재개발, 조직수복용 재료개발, 생 체유리 분석 합성 자문역할

- K. Leong (Biomedical Engineering 전공/Columbia University) ⇒ Surface topology에 따른 세포 응답 성, 줄기세포 분화/증식 연구, 줄기세포 reprograming 조절 연구 자문 역할

- S. Shi (Craniofacial biology전공/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 치아줄기세포연구 창시, 줄기세 포 이용 조직화 연구 자문역할

- Anthony Weiss (Biochemistry전공/The University of Sydney) ⇒ 자가조립형 엘라스틴 개발 자문역할 - 국내외 석박사급 고급 인력인프라 구축

- 12인 (7개 기관)의 해외석학 자문위원 확보

- 충청광역권 기업/국공립연구소와의 산학협력 네트워크 확보 - 전국단위 기업/국공립기관과 MOU 체결 기반

- 메디바이오 글로컬 육성 전담팀 구성 (전담행정인력1인, 산학협력전담교원 2인 포함)

- H. K. Chan (Drug Delivery전공/The University of Sydney) ⇒ Respiratory drug delivery자문역할 - I. Wall (Cell Biology전공/University College London) ⇒ 나노기술 기반 바이오소재 개발, 조직공학용

재료 개발, 생체유리의 분석/합성 자문역할

- Y. Son (Neuroscience전공/Temple University) ⇒ 신경 재생 기전 연구, 신경 재생을 통한 재활 향상 연구 자문역할

- M. Selzer (Neurorehabilitation 전공/Temple University) ⇒ 신경재생 생리/생화학, 신경재생에 관한 동물 이미징 기술 자문역할

- A. Fornace (Anatomic pathology/Radiobiology전공/Georgetown University Medical Center) ⇒ 외부 스 트레스에 따른 생리 반응 연구, 재활 효율 향상 연구 자문역할

- MP. Ginebra (Biomaterials전공/IBEC) ⇒ 생체재료 개발, 뼈대체소재개발, 주입형 바이오소재 개발 자 문역할

- P. Furth (Internal medicine/Tumor Virus Biology전공/Georgetown University Medical Center) ⇒ 외부 스트레스에 따른 생리 반응 연구, 재활 효율 향상 연구 자문역할

- J. Samitier (Bioengineering전공/스페인 IBEC) ⇒ 나노 바이오 프로세싱 기술 이용, 생체재료 패턴, 소재플랫폼 가공 자문역할

항목

수주액(천원)

2017.1.1.-2017.12.31. 2018.1.1.-2018.12.31. 2019.1.1.-2019.12.31. 전체기간 실적 국내외 산업체

연구비 수주 총 입금액 0 0 110,000 110,000

지자체 연구비 수주 총 입

금액 20,000 0 50,000 70,000

1인당 총 연구비

수주액 22,500

이공계열 참여교수 수 8

문서에서 <신청서 요약문> (페이지 123-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