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단일 페라이트일 경우의 특성

Table 1은 Design #1과 #2의 매질 파라미터와 인가된 바이어스 자계의 세 기를 나타낸 표이다. 서로 같은 페라이트 매질을 Design #1과 #2에 적용했다.

그리고 인가한 바이어스 자계를 다르게 설정했다. 인가된 바이어스의 세기가 달라 지면 페라이트 공진기의 투자율 항이 바뀌게 되어 반경이 변하게 된다. Design

#1인 경우 입․출력 및 아이솔레이션 단자 폭은 6 mm, 디스크 반경은 7.4 mm 이고 Design #2인 경우에는 단자의 폭이 6 mm, 디스크 반경 7.5 mm이다.

인가된 바이어스 세기가 증가하면 이로 인해 투자율 값이 감소하고 반경이 증가하 였다. 이 두가지 설계치에 대한 특성을 비교할 때 달라진 파라미터가 많기 때문에 직접 비교하기란 어렵다. 반경의 크기와 단자의 폭을 고정시켰을 때 바이어스 세기 가 초기 값에서 높은 값으로 변한다면 공진주파수는 설정되었던 주파수보다 낮아진 다.

Table 1. Ferrite specification and the bias Happ field Design #1 Design #2

Happ[Oe] 2995 3280

4πMs[G] 870 870

△H [Oe] 186 186

εr 15.4 15.4

(a) (b)

2.0 2.2 2.4 2.6 2.8

-11 -10 -9 -8 -7 -6 -5

Design #1 Design #2

Return loss [dB]

Frequency [GHz]

2.0 2.2 2.4 2.6 2.8

-7.5 -7.0 -6.5 -6.0 -5.5

Design #1 Design #2

Isolation loss [dB]

Frequency [GHz]

(c) (d)

Fig. 2 Scattering parameter and input impedance calculated by RGF according to Table 1. (a) return loss (b) tion loss (c) insertion loss (d) input impedance

Fig. 2에서 실선은 Design #1의 계산된 결과 특성을 나타내고 점선은 Design

#2의 계산된 결과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Fig. 2의 산란행렬 특성을 보면 인가된 바이어스의 세기가 2995 Oe에서 3280 Oe로 증가할 때 마이크로스트립 서큘레 이터의 공진주파수는 20 MHz정도 상향되었다. 그리고 이 때의 손실은 공진주파 수를 기준으로 비교하였을 때 0.3 dB정도 증가하였다. Fig. 3(d)에서 바이어스 자계가 강해지면 입력 임피던스의 변화는 실수부에서 2Ω 정도 차이가 났다.

Table 2는 Design #3와 #4에서 사용된 페라이트 매질 규격과 인가한 바이 어스 자계를 나타낸 표이다. Design #3과 #4에서는 Design #1과 #2와 같은 방식을 적용하고 페라이트 매질을 다른 것으로 변경하였다. Design #3인 경우 입․출력 및 아이솔레이션 단자 폭은 6.5 mm, 디스크 반경은 7.5 mm이고 Design #4인 경우에는 단자의 폭이 5 mm, 디스크 반경 7.8 mm이다.

Table 2. Ferrite specification and the bias Happ field Design #3 Design #4

Happ[Oe] 2760 3100

4πMs[G] 800 800

△H [Oe] 48 48

εr 14.6 14.6

2.0 2.2 2.4 2.6 2.8

-100 -50 0 50 100 150 200

Imag[Z]

Real[Z]

Design #1 Design #2

Input impedance []

Frequency [GHz]

2.0 2.2 2.4 2.6 2.8

-2.8 -2.6 -2.4 -2.2 -2.0 -1.8 -1.6 -1.4

Design #1 Design #2

Insertion loss [dB]

Frequency [GHz]

(a) (b)

(c) (d)

Fig. 3 Scattering parameter and input impedance calculated by RGF according to Table 2. (a) return loss (b) tion loss (c) insertion loss (d) input impedance

Fig. 3은 Table 2와 같이 매질과 바이어스 자계가 설정되었을 때 나타나는 산란 행렬 및 입력 임피던스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Fig. 3에서 산란행렬의 특성을 살펴보면 인가된 자계가 세어짐에 따라 공진주파수는 100 MHz 정도 상향되었고 삽입손실은 0.14 dB 정도 감소하였다. 대역폭은 인가된 자계의 세기가 증가할 때 대역폭은 절반으로 줄어들었다. Fig. 3(d)에서 바이어스 세기가 증가한 것에 의 해 입력 임피던스의 실수부는 0.14Ω으로 감소하였다. 산란 행렬에서는 100 MHz 정도의 공진주파수가 이동하였지만 입력 임피던스에서 공진주파수는 50 MHz 밖에 이동하지 않았다. 산란행렬에서 얻은 공진주파수와 입력 임피던스에서 얻은 공진주파수가 일치되지 않음을 볼 수 있다.

2.0 2.2 2.4 2.6 2.8

-11 -10 -9 -8 -7 -6 -5 -4

Design #3 Design #4

Return loss [dB]

Frequency [GHz]

2.0 2.2 2.4 2.6 2.8

-10.0 -9.5 -9.0 -8.5 -8.0 -7.5 -7.0 -6.5

Design #3 Design #4

Isolation loss [dB]

Frequency [GHz]

2.0 2.2 2.4 2.6 2.8

-3.2 -3.0 -2.8 -2.6 -2.4 -2.2 -2.0 -1.8 -1.6 -1.4 -1.2

Design #3 Design #4

Insertion loss [dB]

Frequency [GHz]

2.0 2.2 2.4 2.6 2.8

-100 -50 0 50 100 150 200 250

Imag[Z]

Real [Z]

Design #3 Design #4

Input impedance []

Frequency [GHz]

(2) 페라이트 매질이 2개로 이루어진 경우의 특성

Table 3은 페라이트 디스크가 원형 디스크와 한 개의 환 디스크로 이루어진 경 우에 각각의 페라이트 매질규격과 인가된 바이어스를 나타낸 표이다.

Table 3. Ferrite specification and the bias Happ field Design #5 Design #6 Design #7

Happ[Oe] 3280 3280 3280

4πMs① n=0 [G] ② n=1

870 800

870 1000

870 1200 △H ① n=0

[Oe] ② n=1

186 48

186 48

186 48 εr ① n=0

② n=1

15.4 14.6

15.4 14.7

15.4 14.8

(a) (b)

(c) (d)

Fig. 4 Scattering parameter and input impedance calculated by RGF according to Table 3. (a) return loss (b) tion loss (c) insertion loss (d) input impedance

2.0 2.2 2.4 2.6 2.8

-11 -10 -9 -8 -7 -6 -5 -4 -3

Design #5 Design #6 Design #7

Return loss [dB]

Frequency [GHz]

2.0 2.2 2.4 2.6 2.8

-9.0 -8.5 -8.0 -7.5 -7.0 -6.5 -6.0

Design #5 Design #6 Design #7

Isolation loss [dB]

Frequency [GHz]

2.0 2.2 2.4 2.6 2.8

-3.5 -3.0 -2.5 -2.0 -1.5 -1.0 -0.5

Design #5 Design #6 Design #7

Insertion loss [dB]

Frequency [GHz]

2.0 2.2 2.4 2.6 2.8

-100 -50 0 50 100 150 200 250

Imag[Z]

Real[Z]

Design #5 Design #6 Design #7

Input impedance []

Frequency [GHz]

Design #5와 #6과 #7의 원형 디스크는 동일한 페라이트매질을 설정했고 마이 크로스트립 서큘레이터의 반경은 7.6 mm, 입․출력 단자 폭은 5 mm, 인가한 바이어스 자계는 3280 Oe로 설정하였다. Fig. 4에서는 원형 디스크의 페라이트 매질을 기준으로 환 디스크의 매질특성에 따른 변화를 확인 할 수 있다. Fig.

4(a)의 반사손실 그래프를 보면 공진주파수는 환 디스크의 포화자화도 값이 각각 800 G, 1000 G, 1200 G일 때 각각에 대해 2.47 GHz, 2.4 GHz , 2.32 GHz로 나타났다. 포화자화도가 증가함에 따라 공진주파수는 700 MHz 씩 하향 되었다. 그리고 반사손실은 매질 각각 10.49 dB, 10.94 dB, 10.78 dB로 나 타났다. 반사손실은 포화자화도에 비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최대 반사손실을 얻기 위해서는 원형 디스크의 포화자화도 보다 환 디스크의 포화자화도가 조금 큰 값을 선택한다. Fig. 4(b)는 아이솔레이션 단자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환 디스크의 포화자화도가 증가함에 따라 공진주파수는 하향되었고 아이솔레이션 손실 은 증가했다. Fig. 4(c)는 삽입손실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나타나 는 공진주파수의 위치는 각각 2.5 GHz, 2.43 GHz, 2.37 GHz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반사 손실에서 나타난 결과와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포화자화도에 따라 삽입 손실은 1.46 dB, 1.22 dB, 0.67 dB로 나타났다. 그리고 포화자화도가 증가함에 따라 대역폭은 감소했다. Fig. 4(d)는 Table. 3의 설정에 의해 계산된 입력 임피던스의 실수부와 허수부의 그래프이다. 환 디스크의 포화자화도가 증가함 에 따라 입력 임피던스의 실수항의 임피던스가 2Ω씩 증가하였다. Design #5에 서 2.53 GHz일 때 최대 217Ω을 가졌다.

(3) 페라이트 매질이 3개로 이루어진 경우의 특성

Table 4. 는 페라이트 매질이 3개인 경우에 각각 설정된 매질과 바이어스를 나타낸 표이다. 마이크로스트립 서큘레이터는 원형 디스크와 두 개의 환 디스크로 구성되었다. 여기서 서큘레이터의 반경 크기는 7.6 mm, 입․출력 단자의 폭은 5 mm이다. Design #8과 #9에서 원형 디스크와 두 번째 환 디스크는 동일하게 하고 첫 번째 환 디스크를 다르게 설정한 경우이다. 각 디스크의 반경은 서큘레이 터의 반경 크기를 균등하게 3등분 하였다.

Table 4. Ferrite specification and the bias Happ field Design #8 Design #9

Happ[Oe] 3280 3280

4πMs[G]

① n=0 ② n=1 ③ n=2

870 550 1200

870 1000 1200

△H [Oe]

① n=0 ② n=1 ③ n=2

186 48 48

186 48 48 εr

① n=0 ② n=1 ③ n=2

15.4 14.3 14.8

15.4 14.7 14.8

(a) (b)

(c) (d)

Fig. 5 Scattering parameter and input impedance calculated by RGF according to Table 4. (a) return loss (b) tion loss (c) insertion loss (d) input impedance

2.0 2.2 2.4 2.6 2.8

-12 -11 -10 -9 -8 -7 -6 -5 -4

Design #8 Design #9

Return loss [dB]

Frequency [GHz]

2.0 2.2 2.4 2.6 2.8

-8.5 -8.0 -7.5 -7.0 -6.5

Design #8 Design #9

Isolation loss [dB]

Frequency [GHz]

2.0 2.2 2.4 2.6 2.8

-3.5 -3.0 -2.5 -2.0 -1.5 -1.0

Design #8 Design #9

Insertion loss [dB]

Frequency [GHz]

2.0 2.2 2.4 2.6 2.8

-100 -50 0 50 100 150 200 250

Imag[Z]

Real [Z]

Design #8 Design #9

Input impedance []

Frequency [GHz]

Fig. 5는 Table 4에 설정된 값을 토대로 계산된 산란행렬과 입력 임피던스를 나 타낸 그래프이다. 첫 번째 환 디스크의 포화자화도에 따라 공진주파수는 2.47 GHz, 2.35 GHz 이다. 이 결과로 공진주파수가 하향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원형 디스크와 하나의 환 디스크로 이루어진 마이크로스트립 서큘레이터의 경우에 나타난 특성과 일치하였다. 그리고 하나의 환 디스크만 사용했을 경우보다 두 개의 환 디스크를 이용하였을 때 특성은 더 개선됐다. 먼저 손실 특성을 살펴보면 반사 손실은 공진주파수에서 10.84 dB, 11.47 dB 이고, 삽입 손실은 1.29 dB, 0.99 dB로 나타났고 대역폭이 조금 넓어 졌다. 공진주파수를 결정하는데 환 디스 크 하나를 갖고 조정하는 것보다는 두 개의 환 디스크를 통해 조정하면 조정할 수 있는 범위가 넓어진다. Fig. 5(d)에서 입력 임피던스의 실수 값은 231Ω, 220 Ω이고 입력 임피던스는 첫 번째 환 디스크의 포화자화도가 증가함에 따라 낮아지 는 것을 확인하였다.

Table 5는 페라이트 공진기가 원형 디스크와 두 개의 환 디스크로 이루어졌을 때 매질 설정과 바이어스에 자계에 대한 값을 나타낸 표이다. Table 4에서 설정 되었던 방식과 유사하다. Design #10과 #11에서 바뀐 부분은 첫 번째 환 디스 크의 매질은 동일한 값으로 고정시키고 두 번째 환 디스크의 매질은 다른 값으로 설정한다. 서큘레이터의 반경은 7.6 mm, 단자의 폭은 5 mm이고 인가한 바이어 스 자계는 3280 Oe 이다.

Table 5. Ferrite specification and the bias Happ field Design #10 Design #11

Happ[Oe] 3280 3280

4πMs[G]

① n=0 ② n=1 ③ n=2

870 1600

550

870 1600

800

△H [Oe]

① n=0 ② n=1 ③ n=2

186 66 48

186 66 48 εr

① n=0 ② n=1 ③ n=2

15.4 15.1 14.3

15.4 15.1 14.6

(a) (b)

(c) (d)

Fig. 6 Scattering parameter and input impedance calculated by RGF according to Table 5. (a) return loss (b) tion loss (c) insertion loss (d) input impedance

Fig. 6은 Table 5의 Design #10과 #11의 설계치를 토대로 계산된 산란행렬 과 입력 임피던스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Fig. 6(a)는 반사 손실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두 번째 페라이트 매질에 따른 공진주파수는 2.3 GHz, 2.24 GHz이 고 반사 손실은 11.5 dB, 11.9 dB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Table 4를 바탕으 로 한 결과와 비교해 보면 변화하는 형태가 비슷하다. 그리고 고정된 매질을 사용 한 환 디스크의 포화자화도가 1200 G에서 1600 G로 증가되었을 때 서큘레이션 특성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Fig. 6(b)는 아이솔레이션 손실을 나타낸 그래 프이다. Table 5의 Design #10과 #11 순으로 공진주파수는 2.49 GHz, 2.39 GHz였고 이 때의 손실은 9.42 dB, 9.86 dB였다. Fig. 6(c)는 삽입 손 실을 나타낸 그래프로 공진주파수는 각각 2.34 GHz, 2.28 GHz로 나타났고 공 진주파수에서의 삽입 손실은 0.93 dB, 0.81 dB 였다. Fig. 6(d)는 Table 5

2.0 2.2 2.4 2.6 2.8

-13 -12 -11 -10 -9 -8 -7 -6 -5 -4 -3

Design #10 Design #11

Return loss [dB]

Frequency [GHz]

2.0 2.2 2.4 2.6 2.8

-10.0 -9.5 -9.0 -8.5 -8.0 -7.5 -7.0 -6.5

Design #10 Design #11

Isolation loss [dB]

Frequency [GHz]

2.0 2.2 2.4 2.6 2.8

-3.5 -3.0 -2.5 -2.0 -1.5 -1.0 -0.5

Design #10 Design #11

Insertion loss [dB]

Frequency [GHz]

2.0 2.2 2.4 2.6 2.8

-100 -50 0 50 100 150 200

Imag[Z]

Real[Z]

Design #10 Design #11

Input impedance []

Frequency [GHz]

의 매질 설정에 따른 입력 임피던스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입력 임피던스의 공진주파수는 각각 2.37 GHz, 2.3 GHz로 나타났고 입력 임피던스의 실수의 값 은 193Ω, 196Ω으로 나타나 입력 임피던스가 증가하였다. Table 4의 경우에 계산된 결과는 입력 임퍼던스가 감소했었는데 지금은 증가한 형태로 나타났다. 이 것은 내부 환 디스크와 외부 환 디스크의 관계에서 내부 환디스크의 포화자화도를 크게 하면 입력임피던스는 증가하고 외부 환 디스크의 포화자화도를 크게 하면 입 력 임피던스는 작아짐을 알 수 있다.

Table 6에서는 Table 5에서 고정시켰던 내부 환 디스크의 매질을 외부 환 디 스크의 매질로 바꾸고 내부의 환 디스크 매질을 변화를 주어 확인한다. 여기서 마 이크로스트립 서큘레이터의 반경은 7.6 mm, 입․출력 단자의 폭은 5 mm이다.

Table 6. Ferrite specification and the bias Happ field Design #12 Design #13

Happ[Oe] 3280 3280

4πMs[G]

① n=0 ② n=1 ③ n=2

870 800 1600

870 1200 1600

△H [Oe]

① n=0 ② n=1 ③ n=2

186 48 66

186 48 66 εr

① n=0 ② n=1 ③ n=2

15.4 14.6 15.1

15.4 14.8 15.1

(a) (b)

2.0 2.2 2.4 2.6 2.8

-12.0 -11.5 -11.0 -10.5 -10.0 -9.5 -9.0 -8.5 -8.0

Design #12 Design #13

Isolation loss [dB]

Frequency [GHz]

2.0 2.2 2.4 2.6 2.8

-14 -12 -10 -8 -6 -4 -2

Design #12 Design #13

Return loss [dB]

Frequency [GHz]

(c) (d)

Fig. 7 Scattering parameter and input impedance calculated by RGF according to Table 6. (a) return loss (b) tion loss (c) insertion loss (d) input impedance

Fig. 7(a)는 반사손실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공진주파수는 2.31 GHz, 2.2 GHz로 나타났고 공진주파수에서의 반사손실은 12.57 dB, 13.48 dB였다. 환 디스크의 포화자화도가 증가하면 공진주파수는 하향되지만 특성은 더 개선되었다.

Fig. 7(b)는 아이솔레이션 손실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내부 환 디스크의 포화 자화도에 따라 공진주파수는 각각 2.35 GHz, 2.25 GHz로 나타났고 공진주파수 에서의 손실은 10.21 dB, 11.58 dB로 나타났다. Fig. 7(c)는 삽입손실을 나 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결과에서 공진주파수는 2.36 GHz, 2.22 GHz로 나타났 고 공진주파수에서의 손실은 0.69 dB, 0.49 dB로 나타났다. 여기서 Design

#12와 앞에서 살펴보았던 Design #11을 비교하면 환 디스크가 내부와 외부가 서로 바뀌어진 설정 상태이다. 공진주파수는 Design #12가 Design #11보다 70 MHz 정도 더 높다. 그리고 Design #12에서 반사 손실은 0.67 dB, 아이 솔레이션 손실은 2.71 dB 각각 증가 했고, 삽입 손실은 0.12 dB 감소했다. 입 력임피던스에서 본 공진주파수는 2.36 dB, 2.25 dB이고, 공진주파수에서의 입 력임피던스의 실수부는 229Ω, 217Ω이다. 여기서 Design #11과 Design

#12를 비교해 보면 임피던스는 33Ω정도 Design #12가 높다.

원형디스크와 두 개의 환 디스크로 구성된 마이크로스트립 서큘레이터는 설계할 때 외부 환 디스크의 포화자화도를 큰 것을 지정하는 것이 좋은 특성을 갖는다. 지 금까지의 결과를 토대로 원형디스크와 내부 환 디스크의 매질을 고정하여 그대로

2.0 2.2 2.4 2.6 2.8

-5.0 -4.5 -4.0 -3.5 -3.0 -2.5 -2.0 -1.5 -1.0 -0.5 0.0

Design #12 Design #13

Insertion loss [dB]

Frequency [GHz]

2.0 2.2 2.4 2.6 2.8

-100 -50 0 50 100 150 200 250

Imag[Z]

Real[Z]

Design #12 Design #13

Input impedance []

Frequency [GHz]

사용하고 외부 환 디스크의 매질의 포화자화도를 증가 시켜 특성을 확인하였다.

Table 7. Ferrite specification and the bias Happ field Design #14 Design #15 Design #16

Happ[Oe] 3280 3280 3280

4πMs[G]

① n=0 ② n=1 ③ n=2

870 400 1600

870 400 1850

870 400 1950

△H [Oe]

① n=0 ② n=1 ③ n=2

186 45 84

186 45 15

186 45 20 εr

① n=0 ② n=1 ③ n=2

15.4 14.1 15.1

15.4 14.1 14.8

15.4 14.1 15.0

(a) (b)

(c) (d)

Fig. 8 Scattering parameter and input impedance calculated by RGF according to Table 7. (a) return loss (b) tion loss (c) insertion loss (d) input impedance

2.0 2.2 2.4 2.6 2.8

-16 -14 -12 -10 -8 -6 -4 -2

Design #14 Design #15 Design #16

Return loss [dB]

Frequency [GHz]

2.0 2.2 2.4 2.6 2.8

-14 -13 -12 -11 -10 -9 -8 -7

Design #14 Design #15 Design #16

Isolation loss [dB]

Frequency [GHz]

2.0 2.2 2.4 2.6 2.8

-4.0 -3.5 -3.0 -2.5 -2.0 -1.5 -1.0 -0.5 0.0

Design #14 Design #15 Design #16

Insertion loss [dB]

Frequency [GHz]

2.0 2.2 2.4 2.6 2.8

-100 -50 0 50 100 150 200 250

Imag[Z]

Real[Z]

Design #14 Design #15 Design #16

Input impedance []

Frequency [GHz]

Table 7은 원형 디스크와 내부 환 디스크의 매질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외부 환 디스크의 매질의 포화자화도를 2000G 영역까지 증가시켜 특성을 확인할 수 있도 록 만들어진 매질 특성와 인가된 바이어스 자계를 나타낸 규격표이다. Fig. 8은 Table 7의 설정을 적용하여 계산된 산란행렬과 입력 임피던스 특성을 나타낸 그 래프이다. Fig. 8에서 실선은 Design #14의 계산된 결과 특성을, 점전은 Design #15의 계산된 결과 특성을, 일점 쇄선은 Design #16의 계산된 결과 특성을 나타낸다. 환 디스크의 포화자화도가 증가함에 따라 나타나는 특성은 Table 1∼6의 결과와 동일하게 나타났다. Fig. 8(a)는 반사 손실을 나타낸 그 래프이고 반사 손실에서 나타난 공진주파수는 각각 2.45 GHz, 2.39 GHz, 2.33 GHz이고 이 때의 반사손실 값은 9.27 dB, 12.07 dB, 15.3 dB였다.

Fig. 8(b)는 아이솔레이션 손실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그래프에서 확인된 공진주 파수는 2.45 GHz, 2.39 GHz, 2.34 GHz이고, 이 때의 손실크기는 9.27 dB, 12.07 dB, 13.7 dB였다. Fig. 8(c)는 삽입 손실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나타난 공진주파수는 각각 2.42 GHz, 2.37 GHz, 2.33 GHz이고 이 때의 손 실 값은 0.83 dB, 0.44 dB, 0.3 dB였다. Fig. 8(d)에서 입력임피던스에 공 진주파수는 2.46 GHz, 2.41 GHz, 2.36 GHz이고 입력임피던스의 실수부는 각각 238Ω, 234Ω, 229Ω였다. 모든 결과를 종합할 때 Design #16에서 가장 특성이 좋은 결과를 얻었다. 인가한 바이어스자계의 세기는 3280 [Oe]이고 페 라이트 매질은 G_1003, G_400, TTZ1950을 사용하였다. 각각의 페라이트 매 질 특성은 Table 8에 나타내었다. Trans-Tech사에서 제작되어 판매하는 페라 이트 매질을 이용하여 최적인 마이크로스트립 비균일 페라이트 공진기의 설계치를 얻었다. 반경은 7.6 mm, 입․출력 단자 폭은 5 mm, 인가한 바이어스 자계는 3280 Oe였다. 각 디스크의 반경은 서큘레이터의 반경을 균등하게 3등분하였다.

Table 8. Ferrite specification

n=0(G-1003) n=1(G-400) n=2(TTZ1950)

4πMs[G] 870 400 1950

△H [Oe] 186 45 20

εr 15.4 14.1 15.0

이때 통과 대역 내에서 반사 손실은 14.3 dB였고, 삽입 손실은 0.36 dB, 아이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