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회적 지지와 우울의 관련성 : 다변수 분석

Ⅲ. 연구결과

3. 사회적 지지와 우울의 관련성 : 다변수 분석

사회적 지지와 우울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인구사회적 요인과 건강행 태 요인을 순차적으로 추가하여 보정한 상태에서 survey 특성을 반영한 Logistic regression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10, Table 11).

모든 독립 변수에 대해 다중공선성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P>0.05 이상인 변 수도 모두 포함하여 다변수 분석을 시행하였다.

모형 1은 사회적 지지와 우울의 관련성을 로지스틱 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 여 파악한 것이다. 모형 2에서는 인구사회적 요인을 보정하였고, 모형 3에서 는 모형 2에 건강행태 요인을 추가하여 변수를 보정하였다.

가. 남성노인

남성노인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10).

각 모형의 통계적 타당도 검정을 위해 C-statistic을 확인하였고, 모형 1은 73.1%, 모형 2는 76.5%, 모형 3은 79.4%로 나타났다. 모형의 적합도를 파 악하기 위해 Hosmer-Lemeshow test 값은 각각 0.659, 0.853, 0.723 이 었으며 모든 모형이 통계적으로 적합하였다.

모형 1은 사회적 지지와 우울의 관련성을 로지스틱 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 여 파악한 것이다. 비공식적 지지에서 배우자와의 고민상담 높음 군을 준거집 단으로 낮음 군에서 1.89(95%CI=1.49-2.40), 비해당 군에서 1.91 (95%CI=1.50- 2.45)로 우울 경험의 교차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가깝 게 지내는 친구/이웃/지인 수(지난 1년간) 4명 이상인 군을 준거집단으로 1-3명 군이 1.98(95%CI=1.47-2.68), 0명 군에서 2.67 (95%CI=

준거집단으로 일주일에 1-3회 정도인 군에서 (95%CI=1.21-4.73)로 우울

유의하지 않았다. 친구/이웃/지인과의 만남빈도(지난 1년간)에서 거의 매일(주 4회

2.36(95%CI=1.32-4.23), 1년에 0-2회 이상인 군에서 3.47(95%CI=2.35-5.11) 로 우울 경험과 관련한 교차비가 모형 2에서와 같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공식적 지지에서 친목단체 참여한 군을 준거집단으로 참여하지 않은 군에서 1.54(95%CI=1.27-1.88)로 우울 경험과 관련한 교차비가 통계적으로 유의 하였다. 반면 비공식적 지지의 가깝게 지내는 형제/자매를 포함한 친인척 수 (지난 1년 간)와 공식적 지지의 경로당 이용여부, 복지관 이용여부는 통계적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 외 우울 경험과 관련한 인구사회적 요인에서 교육수준, 자녀동거가구와 독거가구형태, 취업여부, 연간가구 소득수준, 건강행태 요인에서 흡연여부, 규 칙적인 운동여부, 만성질환 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Variables Model 1 Model 2 Model 3

Non-relevent 1.91*** 1.50-2.45 0.91 0.90-0.92 0.94 0.59-1.49

Degree of consultation among child (together / non-living)

High 1.00 1.00 1.00

Low 1.15 0.96-1.37 1.18 1.18-1.19 1.23* 1.01-1.48

Non-relevent 1.13 0.55-2.31 1.26 1.23-1.29 1.14 0.54-2.44

Number of close relatives, including brothers / sisters (last 1 year)

≥4 1.00 1.00 1.00

1-3 0.97 0.67-1.40 0.88 0.87-0.89 0.88 0.58-1.35

None 1.33 0.91-1.94 1.22 1.21-1.24 1.18 0.77-1.82

Number of close Friends, neighbors, acquaintances (last 1 year)

≥4 1.00 1.00 1.00

1-3 1.98*** 1.47-2.68 1.84*** 1.83-1.86 1.82*** 1.33-2.49

None 2.67*** 1.92-3.70 2.19*** 2.17-2.21 2.07*** 1.47-2.92

Frequency of meeting with relatives, including siblings (last 1 year) Almost daily Frequency of meeting with friends, neighbors, and acquaintances (last 1 year)

Almost daily

Availability of senior citizen center

Yes 1.00 1.00 1.00

Variables Model 1 Model 2 Model 3

나. 여성노인

(95%CI=1.64-2.62)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비해당 군에서 우울 경험과

명 이상 군을 준거집단으로 1-3명 군에서 1.44(95%CI=1.12-1.84), 0명 군에서 1.82(95%CI=1.39-2.38)로 우울 경험과 관련한 교차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친구/이웃/지인과의 만남빈도(지난 1년 간)에서 거의 매일(주 4회 이상) 군을 준거 집단으로 일주일에 1-3회 정도 군에서 우울 경험과 관련한 교차비는 1.57(95%CI

=1.32 -1.87), 한 달에 1-2회 정도 군에서 1.76(95%CI= 1.32-2.36), 1년에 0-2회 이상 군에서 2.61(95%CI=1.81-3.76)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공식적 지지에서 복지관을 이용한 군을 준거집단으로 복지관을 이용하지 않은 군에서 1.35 (95%CI= 1.04-1.74), 친목단체 참여한 군을 준거집단으로 참여하지 않은 군에서 1.51(95%CI=1.29-1.77)로 우울 경험과 관련한 교차비가 통계 적으로 유의하였다. 반면 비공식적 지지에서 가깝게 지내는 형제/자매를 포함 한 친인척 수(지난 1년 간)와 형제/자매를 포함한 친인척과의 만남빈도(지난 1년 간), 공식적 지지에서 경로당 이용여부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 외 우울 경험과 관련한 인구사회적 요인에서 연령, 교육수준, 자녀동거가구 형태, 취업여부, 연간가구 소득수준과 건강행태 요인에서 흡연여부, 규칙적인 운동여부, 만성질환 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Variables Model 1 Model 2 Model 3

Non-relevent 1.41 0.90-2.21 1.32 0.81-2.14 1.27 0.78-2.07

Number of close relatives, including brothers / sisters (last 1 year)

≥4 1.00 1.00 1.00

1-3 0.97 0.72-1.31 0.92 0.68-1.25 0.95 0.69-1.32

None 1.22 0.89-1.67 1.09 0.79-1.50 1.12 0.80-1.57

Number of close Friends, neighbors, acquaintances (last 1 year)

≥4 1.00 1.00 1.00

1-3 1.49*** 1.18-1.88 1.42** 1.12-1.81 1.44** 1.12-1.84

None 2.00*** 1.56-2.57 1.85*** 1.42-2.40 1.82*** 1.39-2.38

Frequency of meeting with relatives, including siblings (last 1 year) Almost daily

Frequency of meeting with friends, neighbors, and acquaintances (last 1 year) Almost daily

Availability of senior citizen center

Yes 1.00 1.00 1.00

Table 11. Factors related to depressed according to multivariate analysis in women.

p<0.05, **p<0.01, ***p<0.001

† OR : Odds ratio; CI : Confidence interval

Variables Model 1 Model 2 Model 3

Table 11. Factors related to depressed according to multivariate analysis in women.

(Continued)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