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회적 지지와 양육효능감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 사회적 지지와 양육효능감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연구문제 2의 장애아어머니의 사회적 지지와 양육효능감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Baron &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검 증 절차에 따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표 Ⅳ-3과 같고 이를 도식화하 면 그림 Ⅳ-1과 같다.

1단계는 독립변인이 가정된 매개변인을 유의미하게 예언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과정으로, 사회적 지지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에 따르면 독 립변인인 사회적 지지가 매개변인인 자아존중감을 37.9%(R2=.379) 설명하였으며 베 타계수의 값은 .616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β

=.616, p<.001). 이는 독립변인이 매개변인을 설명하는 변인으로 작용한다는 가정을 설명한다고 할 수 있겠다.

2단계는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을 유의미하게 예언하는지를 알아보는 과정으로, 사 회적 지지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독립변 인인 사회적 지지는 종속변인인 양육효능감을 19.3%(R2=.193)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베타계수의 값은 .439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β

=.439, p<.001). 이는 위의 회귀모형이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사회적 지지가 양육효능감을 유의미하게

예언한다는 가정을 만족한다고 볼 수 있다.

3단계로 독립변인과 매개변인이 동시에 종속변인을 예언하고 있으며 자아존중감 과 사회적 지지를 동시에 투입하였을 경우 양육효능감을 설명하는 정도가 높아졌는 지를 살펴보는 과정과 본 연구에서 설정한 독립변인의 효과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 는지를 보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독립변인인 사회적 지지와 매개변인인 자아존중감을 동시에 투입해서 종속변인인 양육효능감의 예언정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에 따르면, 독립변인인 사회적 지지와 매개변인인 자아존중감은 종속변인인 양육효능감을 설명하는 영향력이 57.1%(R2=.571)로, 2단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양육 효능감에 대해 19.3% 정도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에 비해 3단계 설명력이 57.1%로 더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살펴보아야 하는 것은 2단계에서 나타난 독 립변인의 효과가 유의하게 줄어들었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3단계에서 나타난 사 회적 지지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표준화계수(

β

)는 -.010로, 2단계에서 나타난 사회 적 지지의 표준화계수(

β

=.439)보다 그 값이 줄어들었는데, 이는 독립변인의 효과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음을 뜻한다.

매개변인의 효과를 통제하고 남은 독립변인의 효과가 ‘0’에 가까울수록 매개효과 는 크며, ‘0’이 되면 완전한 매개효과를 지닌다(Kenny & Judd, 1984). 또한 우종필 (2012)에 의하면 한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사이에 매개변인이 개입된 상태에서 독립 변인과 종속변인의 관계가 유의하지 않은 상태로 변하면 완전매개가 된다고 하였 다. 따라서 사회적 지지와 양육효능감 관계는 자아존중감이 개입되면, 개입되기 이 전 보다 효과가

β

값이 -.010으로 적어졌을 뿐 아니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 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이것은 자아존중감이 사회적 지지와 양육효능감의 완전매개 (Full meditation)변인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표 Ⅳ-3. 사회적 지지와 양육효능감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단계 독립변인 종속변인 B SE β R2 adj. R2 F

1 사회적 지지 ⟶ 자아존중감 .600 .050 .616*** .379 .377 142.372***

2 사회적 지지 ⟶ 양육효능감 .427 .057 .439*** .193 .189 55.423***

3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 양육효능감 -.010 .763

.052 .053

-.010

.762*** .571 .567 153.808***

Sobel Z 통계량 B SE Z값 p

사회적 지지 ⟶ 자아존중감 .600 .050

9.218 <.001

자아존중감 ⟶ 양육효능감 .763 .053

* p < .05, ** p < .01, *** p < .001

그림 Ⅳ-1. 사회적 지지와 양육효능감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다음으로 위에 제시된 매개효과에 대한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Sobel test는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사이의 매개변인의 영향력을 간편하 게 검증할 수 있는 방법으로 독립변인이 매개변인에 미치는 직접효과 A의 비표준 화계수와 매개변인이 종속변인에 미치는 직접효과 B의 비표준화계수 간의 표준오 차를 이용하여 Z통계치를 산출하는 방법이다. Z점수의 절대값이 1.96 이상일 경우 p<.05수준, 2.58 이상인 경우 p<.01수준, 3.30 이상일 경우 p<.001수준에서 매개효과

가 유의한 것으로 본다(Sobel, 1982). 본 연구에서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 Z값은 9.21(p<.001)이다. 따라서 장애아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지지와 양육효능감 관계에 있어 유의미한 수준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Ⅳ-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