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회과 환경교육의 필요성

문서에서 환경교육에 관한 의식 조사 연구 (페이지 18-22)

Ⅱ. 이론적 배경

3. 사회과 환경교육의 필요성

생을 영위하기 위한 인간의 활동은 환경에 이중의 충격을 가한다.

첫째로는 환경으로부터 의식주를 위한 각종 자원을 채취하고 이용함 으로써 환경에 충격을 주고, 둘째로는 채취된 각종 자원을 이용한 후 이들을 다시 환경에 투기함으로써 충격을 준다. 첫번째 충격으로부터 는 자원의 고갈문제가 발생하고 두번째 충격으로부터는 환경오염의 문제가 야기된다.14) 이러한 환경문제는 인간 생활을 쾌적하게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인간의 생존에까지 위협을 주고 있다.

환경문제는 결코 새로운 문제는 아니다. 환경문제는 오래 전부터 존 재하였다. 그러나 인구가 적고 경제 활동의 규모가 작았던 과거에 있 어서는 인간의 환경에 대한 영향은 그리 크지 않았고 부존된 자연 자 원의 양이나 자정능력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미미하여 사소한 문제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오늘날 인류가 당면하고 있는 환경문제는 과 거의 환경문제와 차원이 다르다. 산업혁명을 거치고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경제가 급속히 팽창하면서 인간이 환경에 미치는 충격의 규 모는 이제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오늘날에 와서 과학의 발달은 모든 소비물자를 인위적으로 생산할 수 있게 하였고 소비를 자극하는 현상은 생활과 경제 활동에서 대량 의 천연자원을 소비하고 폐기물을 배출함으로써 환경오염을 가중시 키고 있다. 예측되는 급속한 물자의 생산, 소비과정에서 일어나는 자 원의 낭비와 파괴, 그리고 오염물질의 급속한 증가는 환경문제를 더욱 심각하게 할 것으로 예상된다.

금세기에 들어서면서 이러한 환경문제가 크게 대두되기 시작한 환경 오염의 원인으로서는 인구증가, 도시화, 경제성장, 소비수준과 소비패 턴의 변화 등을 들 수 있으며, 생태계의 순환성 및 자정력의 한계 그

14) 李正典, 鄭會聲(1983), 환경문제와 환경교육 , 환경논총, 제12권,

p.65.

리고 자연과 환경에 대한 인간의 가치관 혹은 태도 등이 종합적으로 작용하여 오늘날과 같은 환경문제가 발생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서는 환경교육이 절실하다고 하겠다.

환경교육은 자연과학적 관점보다 훨씬 넓은 개념으로, 총체적 환경 에 대한 인구, 보존, 교통, 기술체계, 도시와 농촌의 개발계획의 관계 를 포함한 인간과 자연적 및 사회적 환경과의 관계를 다루는 교육과정 으로 보아야 한다. 따라서 환경교육은 새로운 환경문제의 상황에 어떻 게 대처하며, 해결책을 판단하기 위하여 어떻게 할 것인가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참여하는 과정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환경교육은 본질적으로 間學問的인 것으로 자연과학과 사회과학뿐만 아니라 다양한 학문 영역의 주제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환경교육은 통 합적인 접근방법, 문제해결 접근방법, 교육과 사회의 통합, 평생교육, 지역적 특수성을 반영한 교육 등의 특성을 반영한 방법으로 실시되어 야 하며 기존의 교과목에 추가되는 분과적인 것이라기 보다는 연령을 초월하여 모든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에 통합되어 지도되 어야 한다.

현재 학교 교육과정에서 환경교육이 다루어지고 있는 교과를 보면 사회과와 과학과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Swan은 앞으로 환경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어야 할 분 야로서 사회과를 들고 있다. 그 까닭은 사회과가 생활에 당면한 문제 를 해결하기 위한 내용을 다루는 것이며 환경문제 또한 그러한 성격 을 띤 것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15)

G.L.Fresh도 환경교육의 성과를 거두는데 있어서 사회과 교사의 노 력에 기대하는 바가 크다고 하였다. 왜냐하면 환경문제를 해결하려면 개인과 시민으로서의 책임과 기능, 이상주의, 물질주의. 효율성과 정당

15) James Swan(1969), The Challenge of Environmental Education , Phi Delta Kappan, Sept., p.28. 金明勇, 사회과 환

경교육 내용의 변천에 관한 연구(1989),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p.27. 再引用.

성, 성장과 안정 및 자유와 방어에 대한 생각을 다루게 되는데, 그러한 일들은 우리가 실생활에서 당면하는 문제들이며, 그것이 사회과에서 다루는 내용에 가깝기 때문이라는 것이다.16)

최근 학교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문제 중 새롭거나 관심을 기울일 필 요가 있는 것으로서의 환경교육, 에너지교육 그리고 이와 관련된 사회 적 문제점들은 많은 부분이 사회과와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도 환경교 육에 대한 사회과의 역할과 책임을 찾아볼 수 있다.

吳英泰는 사회과 교육에 밀접하게 관련되는 시대적, 사회적인 당면 문제에 대하여 인구증가, 자원의 개발과 보전, 특히 공해 등을 제시하 고 있다.17) 따라서 지구적 문제로까지 확산된 환경문제의 해결을 위해 사회과는 그 성격상 환경교육과 매우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고 하겠다.

우리 나라에서의 환경교육 내용은 제3차 교육과정부터 시작하여 제4 차 교육과정의 목표에 국토를 효율적으로 활용․보존하고 라는 문장이 추가되고 사회과 교과서에 환경교육을 집중적으로 다룰 수 있 는 내용이 소단원으로 신설되었다.

제5차 교육과정에서는 환경교육의 내용이 더욱 강화되어 교육과정의 운영 지침에 국민정신교육, 통일안보교육, 경제교육, 환경교육, 진로 교육, 인구교육, 성교육은 교육활동의 전반에 걸쳐 이루어지도록 하되 특히 관련 교과에서 강조하도록 한다 고 하여 8대 중점 과제의 하나 로 강조되었다. 또 사회과 교과 목표에 자연과 환경을 효율적으로 활용․보전하고 라는 문장을 추가하여 제4차 교육과정에 비해 보다 강력한 환경교육의 의지를 나타냈다.18)

제6차 교육과정에서는 과학․기술교육 및 환경교육을 크게 강화하였 다.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고 사회적, 개인적 필요에 따른 교육의 다양

16) George L. Fresh(1971), Environmental Crisis : Lodestone for the Social Studies , Social Edu., Jan., p.55. 金明勇, 前揭論文, p.29. 再引用.

17) 吳英泰(1988), 「社會科 敎育」, 敎育硏究社, pp.35-41.

18) 한국교육개발원(1986), 「초․중학교 사회과 및 국사과 교육과정 시

안의 연구개발」, p.36.

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선택 교과제를 마련하고, ①한문 ②컴퓨터 ③ 환경 ④그밖에 필요한 교과를 연간 34 - 68시간 운영할 수 있도록 하 였다. 특히 환경오염이 심한 지역에서의 환경교육은 어느 교과목 못 지 않게 중요한 내용이므로 전 학생이 이수할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하 며, 관련 교과에서도 관심을 가지고 지도해야 할 것 이라고 강조하였 다. 환경교육은 중학교뿐만 아니라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도 강조하 여, 실업계 고등학교의 각 계열에 보통 교과의 교양 선택에 환경과 학 을 신설하고, 전문교과로 환경보전 , 환경기술 등을 신설함 으로써 그 중요성을 감안하여 지도하도록 하고 있다.19)

19) 교육부(1994), 「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해설」, pp.12-14.

문서에서 환경교육에 관한 의식 조사 연구 (페이지 18-22)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