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작업에 필요한 수공구는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공구실이나 공구함을

준비하여 필요한 종류와 크기별로 구분하고

이름표를 부착

하여 적정 수량 만큼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공구류 보관대 보관

Check Point 양호 불량 비고 폭 80cm 이상의 안전한 통로가 개설되어 있는가?

백선, 목책, 철책 등으로 작업장소가 구별되어 있는가?

물건이 방치되어 있지 않은가?

요철, 부분적 경사 등 불안전한 상태는 없는가?

기름이나 물은 더럽지 않은가?

통로에 불안전한 코드나 호스, 배관 따위는 없는가?

또는 완전히 덮어져 있는가?

출입구의 넓이는 충분한가? 방해물은 없는가?

(1) 통로

정리정돈 점검표[현장용]

(2) 작업장 바닥

Check Point

양호 불량 비고

불필요한 물건은 놓여있지 않은가?

요철이 있지 않은가?

기름이나 물은 흐르지 않은가?

치공구, 직업용구, 청소용구 등은 소정의 장소에 사용 하기 쉽게 되어 있는가?

코드나 호스, 배관 따위가 불안전하지는 않는가?

폐품이나 찌꺼기 등은 버리는 장소가 구분되어 내용물 이 표시되어 적절한 용기에 담겨져 있거나, 혹시 지나 치게 쌓여 있지는 않은가?

위험한 유해물은 지정장소의 전용 용기에 담겨져 있 는?

청소상태는 양호한가? 쓰레기, 먼지, 찌꺼기가 쌓여 있지 않은가?

(3) 쓰레기, 먼지, 찌꺼기

Check Point

양호 불량 비고

쓰레기, 먼지, 찌꺼기가 쌓여있지 않은가?

기계설비의 주위는 깨끗이 청소되어 있는가?

폐품이나 오물 등은 버릴 장소가 지정되어 내용물이 표시된 적절한 용기에 담겨 졌으나 지나치게 많이 쌓여 있자는 않은가?

기름걸레는 뚜껑이 있는 불연성 용기에 담겨져 있는 가?

폐품, 오물을 버리는 곳의 정리·정돈 상태는 앙호한가?

청소용구는 지정된 장소에 잘 보관되어 있는가?

(4) 원재료.반제품

Check Point 양호 불량 비고 선반, 상자에 적절하게 구분되어 보관되어 있는가?

운반이 가능한 통로나 공간이 확보되어 있는가?

모양이나 중량에 맞는 높이, 배열 등을 정해서 무너지거나 낙하, 쓰러짐의 위험성 이 없이 안전하게 놓여 있는가?

적정량 만큼 적재되어 있는가?

관리책임자는 지정되어 있는가?

자재별 명칭 규격등의 표시는 부착되어 있는가?

➢ 낭비를 줄임으로서 능률이 향상되어 원가가 절감

➢ 설비 보전성 향상

➢ 생산품종 변경시 손실의 최소화 가능

➢ 기계기구설비의 사용이 편해짐

안전성 향상 품질향상원가절감

정리정돈은 왜?

작업 전 안전점검

✓ 사업주가 취한 안전조치와 보건조치를 준수해야하는 의무

✓ 안전보호구 착용의 의무

✓ 안전보건교육의 의무

➢ 일반 의무

‘근로자는 법과 법에 대한 명령으로 정하는 산업재해 예방 을 위한 기준을 지켜야 하며, 사업주나 그 밖의 관련 단체 에서 실시하는 산업재해 방지에 관한 조치에 따라야 한다’

라고 규정하여 근로자의 일반적인 의무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 기본 준수사항

산업안전보건법 상 근로자의 의무

➢ 그 밖의 의무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심의, 의결또는결정사항을성실히이행하여야한다 수급인의근로자는도급인이 하는조치또는요구에따라야한다

사업주가실시하는건강진단을받아야한다 역학조사 실시 시 협조하여야 한다

공정안전 보고서의 내용 및 안전보건 개선계획을 준수하여야 한다

방호조치에 대한 근로자 준수사항

- 근로자는방호조치를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사업주의 허가를 받아야 하며,

방호조치를 해제한 후 그 사유가 소멸한 때에는 지체 없이 원상회복해야하고, 방호 조치의 기능이상실된 것을 발견한 때에는 지체 없이 사업주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안전보건관리규정을준수하여야한다

근로자의 산업재해 예방의무

근로자는 재해예방을 위해 다음의 사항을 작업 전 ․ 중에 반드시 지켜야 한다

① 작업 전 안전점검과 안전작업수칙 이행

② 표준안전작업 준수

③ 보호구 착용

④ 방호조치 기능의 유지

⑤ 위험장소 출입금지

⑥ 정리정돈 및 안전점검

⑦ 안전보건교육(정기교육 , 채용 시 및 작업내용 변경 시 교육 , 특별안전보건교육등) 수료

작업 전 안전점검이란 ?

- 작업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인을 작업 전에 파악

- 그 위험을 제거하거나 통제 후 작업 실시하는 것

작업 전 점검 중요성

- 21년 산업재해 사망자 약 900명 - 재해자 9 만여 명

- 1 일 사망 2 명, 부상 250 명

한명! 내가 될 수 있습니다.

작업 전 안전점검 기대효과

- 산업재해 예방

- 안전한 일터 구축

- 건강한 근로 시작

작업 전 안전점검 체계

사업주

관리자

근로자

작업 전 안전점검 문화 조성 및 지원

작업의 안전점검 및 개선대책 수립

수행 작업의 위험요인 파악, 보고

및 대응

작업전 안전점검 3 대 사전준비 사항

- 세부 작업별 안전작업절차서 작성 및 협의

- 각 단계별 세부 작업과 관련된 사고사례 ( 위험 ) 도출 - 사고사례 ( 위험 ) 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수칙 설정

작업 전 안전점검 3 단계 안전활동

-1 단계 : 해당 작업자 대상 [3 대 안전사항 ] 주지 및 교육 -2 단계 : 해당 작업장 [3 대 안전사항 ] 부착 / 게시

-3 단계 : [3 대 안전사항 ] 이행여부 확인

* 팀 또는 동료들간 작업 전 안전검검 활동 시행

작업 전 안전점검 실시요령

- 시간 : 5 분 내외 - 대상 : 작업자들 - 어디서 : 작업장 - 언제 : 작업 시작 전

-무엇 : 3 대 안전사항 숙지 및 부착

(안전작업절차서,사고사례(위험),안전수칙 )

작업 전 안전점검 사례

P사의 안전 Point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