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례분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1-97)

공간 사례 분석

구분 내용 작품명

년도/Year 2005

비스트로 디 (Bitro D)

위치/Location Korea

작가/Architect 배대용

Image

오브제 특성공간의

비일상적인 스케일의 장미꽃 오브제를 한쪽 공간에 둠으로써 동선을 유도하고 있고, 붉은색의 장미꽃의 색채는 공간에 활력을 불러 일으킨다. 또한 테이블 옆의 큰 거울에 비치는 공간과 오버스케일의 조명장식은 공간에 풍부함을 더한다.

기능적 요소오브제의

공간형성 공간분할

연결 동선유도 행태 유발 장소성 재료,질감 색채

감성적 요소오브제의

장면성 연속성 상징성 유희성 회화성 탈현재성 비일상성

데페이즈망

표현특성 왜곡된 거대한 장미꽃 오브제와 한쪽 벽의 모나리자 액자, 큰 거울 등 스케일의 과장으로 공간의 낯설음을 유발하고 모순된 이미지로서 작용함

표현 기법

왜곡 변형 병치 중첩 스케일 합성 착시 모순

4.2. 사례분석

[표 4-3] 사례분석 1. <Bitro D>

공간 사례 분석

구분 내용 작품명

년도/Year 2003

Kong Restaurant

위치/Location France

작가/Architect 필립 스탁

Image

오브제 특성공간의

투명한 아크릴의 의자와 프린팅된 동서양의 여인의 사진, 천장의 대형그림과 넓은 면적에 오픈되어 있는 유리창 등 각기 다른 재질의 요소들이 전혀 다른 맥락으로 혼용되고 있다.

기능적 요소오브제의

공간형성 공간분할

연결 동선유도 행태 유발 장소성 재료,질감 색채

감성적 요소오브제의

장면성 연속성 상징성 유희성 회화성 탈현재성 비일상성

데페이즈망 표현특성

일본 전통복장을 한 일본여성의 이미지들이 프린팅 되어 일본의 이미지를 현대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나, 건물 외피의 유리를 통해 파리 시내전경이 중첩되면서 장소적 혼성을 통한 비일상적이고 유희적인 공간 형성

표현 기법

왜곡 변형 병치 중첩 스케일 합성 착시 모순

[표 4-4] 사례분석 2. <Kong Restaurant>

공간 사례 분석

구분 내용 작품명

년도/Year 2005

Y Y Grill

위치/Location Indonesia 작가/Architect Klein Dytham

Image

오브제 특성공간의

숲을 연상시키는 나무를 디자인 표현요소로 하여 투명한 유리벽에 패턴화 하면서 공간을 분할시키는 동시에 동선을 유도하며 숲속의 식사라는 느낌이 든다. 투명한 유리벽에 패턴화한 실루엣은 회화적이 느낌을 주며, 유리벽의 패턴이 도치된 마분지를 잘라놓은 듯한 느낌을 주면서 장면성, 연속성을 느끼게 한다.

기능적 요소오브제의

공간형성 공간분할

연결 동선유도 행태 유발 장소성 재료,질감 색채

감성적 요소오브제의

장면성 연속성 상징성 유희성 회화성 탈현재성 비일상성

데페이즈망

표현특성 하나의 대상을 파편화 하여 병치시키고 유리벽에 패턴화된 나무를 연상시키는 오브제를 평면화 하고 중첩시켜 다양한 공간적 감각을 느끼게 함

표현 기법

왜곡 변형 병치 중첩 스케일 합성 착시 모순

[표 4-5] 사례분석 3. <Y Y Grill>

공간 사례 분석

구분 내용 작품명

년도/Year 2007

Twister Restaurant 위치/Location Ukraine

작가/Architect Sergey Makhno

Image

오브제 특성공간의

마치 새 둥지를 형상화한 짚으로 둘러싼 공간은 비일상적이며, 웜톤 컬러의 푹신한 의자오브제는 평온하고 따뜻한 공간으로 느껴진다. 또한 이층의 식사공간은 지면 위를 공중선회하는 듯한 얇은 다리로 지지되어 있는 토네이도와 같은 공간은 2층공간을 형성하고 동선을 유도한다. 토네이도 사이로 떨어지는 듯한 빗방울의 조명오브제도 인상적이다.

기능적 요소오브제의

공간형성 공간분할

연결 동선유도 행태 유발 장소성 재료,질감 색채

감성적 요소오브제의

장면성 연속성 상징성 유희성 회화성 탈현재성 비일상성

데페이즈망 표현특성

짚으로 둘러싼 둥지 같은 공간에서 독특한 소재와 문양의 쇼파의 이질적인 병치와, 토네이도처럼 변형된 유기적인 곡선의 2층 식사공간, 빗방울이 떨어지는 듯한 착시효과의 조명 오브제 등은 공간을 신비스럽고, 초현실적인 공간으로 만든다.

표현 기법 왜곡 변형 병치 중첩 스케일 합성 착시 모순

[표 4-6] 사례분석 4. <Twister Restaurant>

공간 사례 분석

구분 내용 작품명

년도/Year 2007

명월관

위치/Location Korea

작가/Architect 양진석

Image

오브제 특성공간의 고전적인 재료인 기와라는 오브제를 통해 기존한옥이 가지는 전통적인 형태미로 과거의 모티브를 사용하여 상징성과 공간의 시점의 변화를 느낄 수 있다.

기능적 요소오브제의

공간형성 공간분할

연결 동선유도 행태 유발 장소성 재료,질감 색채

감성적 요소오브제의

장면성 연속성 상징성 유희성 회화성 탈현재성 비일상성

데페이즈망

표현특성 한국적인 기와를 독특한 방식의 오브제로 활용하여 중첩시켜 현대와 전통이 합성된 이미지로서 과거와 현재가 서로 공존하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

표현 기법

왜곡 변형 병치 중첩 스케일 합성 착시 모순

[표 4-7] 사례분석 5. <명월관>

공간 사례 분석

구분 내용 작품명

년도/Year 2008

Honeycomb Restaurant 위치/Location China

작가/Architect SAKO Architects

Image

오브제 특성공간의

백색의 불투명한 아크릴의 벌집모양 오브제와 꽃을 연상케 하는 테이블은 공간 안에서 시각적 즐거움을 주며 흥미를 유발하고 있다. 공간전체를 풍성하게 하는 연 속된 벌집오브제는 개인적인 공간과 VIP룸을 분할하며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전 체 동선을 유도하는 기능을 가진다.

기능적 요소오브제의

공간형성 공간분할

연결 동선유도 행태 유발 장소성 재료,질감 색채

감성적 요소오브제의

장면성 연속성 상징성 유희성 회화성 탈현재성 비일상성

데페이즈망 표현특성

벌집모양을 유기적인 형태로 변형, 왜곡시켜 거대한 스케일로 만들어 시각적 흥미를 유발하고 있으며, 불투명한 화이트 색상의 벌집 속에 꽃을 형상화한 오브제를 둠으로써 벌집 속에 꽃이 있는 모순된 이미지를 통하여 상상력과 무의식을 자극하는 공간이 된다.

표현 기법

왜곡 변형 병치 중첩 스케일 합성 착시 모순

[표 4-8] 사례분석 6. <Honeycomb Restaurant>

공간 사례 분석

구분 내용 작품명

년도/Year 2008

PAGE 11 위치/Location Korea

작가/Architect 정기태

Image

오브제 특성공간의

이 공간은 카페 겸 플라워숍으로서 자연적 느낌의 화이트 선인장 오브제가 몽환 적 느낌의 판타지 공간감을 불러일으킨다. 선인장 줄기의 곡선적 오브제 는 동선을 유도하며, 이동 지각적 감이 다변화 되는 스토리를 지닌 공간을 구성하고 있다. 또 한 공간 벽에 극도로 기하학적인 느낌으로 패턴을 재해석 하여 정교하게 박힌 돌 은 흔적을 지닌 듯한 디자인을 내재시키고 있다.

기능적 요소오브제의

공간형성 공간분할

연결 동선유도 행태 유발 장소성 재료,질감 색채

감성적 요소오브제의

장면성 연속성 상징성 유희성 회화성 탈현재성 비일상성

데페이즈망 표현특성

일상적 크기를 왜곡한 오버스케일적 화이트 선인장, 가느다란 곡선 형태로 변형된 선인장의 줄기, 이렇듯 비일상적인 형태의 선인장 오브제는 전체 공간을

몽환적이면서 유로파에 선인장이 존재한다면 이런 모습을 띄고 있지 않을까 하는 착각을 일으킨다.

표현 기법

왜곡 변형 병치 중첩 스케일 합성 착시 모순

[표 4-9] 사례분석 7. <PAGE 11>

공간 사례 분석

구분 내용 작품명

년도/Year 2009

Germain

위치/Location

작가/Architect India Mahdavi

Image

오브제 특성공간의

폴리곤으로 재현한 듯한 초대형 조각상은 레스토랑을 수직으로 관통하며 강렬한 원색 색채를 사용함으로써 공간의 압도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초대형조각상은 공간에서 동선을 유도하며, 공간의 생동감과 유희적인 공간으로 느끼게 해준다.

기능적 요소오브제의

공간형성 공간분할

연결 동선유도 행태 유발 장소성 재료,질감 색채

감성적 요소오브제의

장면성 연속성 상징성 유희성 회화성 탈현재성 비일상성

데페이즈망 표현특성

오버스케일의 인물 조각상은 마치 원래부터 그 자리에 놓여 있었던 것처럼 연출된 모습이 인상적이다. 1,2층을 관통하고 있는 조각상 스케일의 왜곡된 모습은 모순된 공간으로서 일상이 아닌 비일상적인 공간으로 탈바뀜한다.

표현 기법

왜곡 변형 병치 중첩 스케일 합성 착시 모순

[표 4-10] 사례분석 8. <Germain>

공간 사례 분석

구분 내용 작품명

년도/Year 2008

The Purple Cafe

위치/Location

작가/Architect Jan Schreiner

Image

오브제 특성공간의

퍼플 까페의 전체 분위기를 압도하는 것은 보랏빛과 회색빛의 컬러이다.

감각적인 퍼플컬러의 손바닥모양의 재미있는 오브제의 의자, 회색빛 플라워 프린트 로 된 화이트 컬러의 소파, 공간을 분할하고 동선을 유도하는 신비스러운 회색빛 나뭇가지의 장식오브제는, 공간속에서 무채색과 퍼플컬러의 절묘한 조합으로 전체 공간의 신비스러움과 초현실적인 분위기를 이끌어낸다.

기능적 요소오브제의

공간형성 공간분할

연결 동선유도 행태 유발 장소성 재료,질감 색채

감성적 요소오브제의

장면성 연속성 상징성 유희성 회화성 탈현재성 비일상성

데페이즈망 표현특성

왜곡된 형태의 손바닥모양 독특한 의자는 채도를 달리한 다양한 색상의 퍼플 컬러를 사용함으로써 공간 안에서 모순된 이미지로서, 시각적 즐거움을 주며 비일상적인 공간을 연출한다.

표현 기법 왜곡 변형 병치 중첩 스케일 합성 착시 모순

[표 4-11] 사례분석 9. <The Purple Cafe>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1-9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