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4.3.1 대장암

발생자수 분포 공간검색통계량 국지적

Moran의 I 비모수적 기법

그림 2 남성의 대장암 자료의 분석 결과

실제 남성 대장암 발생자수는 경기도 북부와 동부 지역에 높게 분포하고 경 기도의 서남부 지역에 낮게 분포함을 알 수 있다.

공간검색통계량에서 유의하게 발생빈도가 높은 군집이 4개, 낮은 군집이 5 개 탐색되었다. 발생빈도가 높은 군집의 상대위험의 평균은 1.31, 낮은 군집의 상대위험의 평균은 0.79이었다.

국지적 Moran의 I에서 탐색된 소지역 중 발생빈도가 높은 소지역은 9개, 발 생빈도가 낮은 소지역은 1개였다.

비모수적 기법에서 탐색된 소지역 중 발생률이 높은 소지역은 14개, 발생률 이 낮은 소지역은 13개였다. 발생률이 높은 소지역의 상대위험의 평균은 1.33, 낮은 소지역의 상대위험의 평균은 0.76이었다.

발생자수 분포 공간검색통계량 국지적

Moran의 I 비모수적 기법

그림 3 여성의 대장암 자료의 분석 결과

실제 여성 대장암 발생자수는 경기도 북부와 동부 지역, 서울의 북부 일부 지역에 높게 분포하고 경기도 서남부의 일부지역에서 낮게 분포함을 알 수 있 다.

공간검색통계량에서 유의하게 발생빈도가 높은 군집이 4개, 낮은 군집이 4 개 탐색되었다. 발생빈도가 높은 군집의 상대위험의 평균은 1.22, 낮은 군집의 상대위험의 평균은 0.83이었다.

국지적 Moran의 I에서 탐색된 소지역 중 발생빈도가 높은 소지역은 9개, 발 생빈도가 낮은 소지역은 1개였다.

비모수적 기법에서 탐색된 소지역 중 발생률이 높은 소지역은 8개, 발생률 이 낮은 소지역은 10개였다. 발생률이 높은 소지역의 상대위험의 평균은 1.38, 낮은 소지역의 상대위험의 평균은 0.77이었다.

4.3.2 위암

발생자수 분포 공간검색통계량 국지적

Moran의 I 비모수적 기법

그림 4 남성의 위암 자료의 분석 결과

실제 남성 위암 발생자수는 경기도 동부 지역에 높게 분포함을 알 수 있다.

공간검색통계량에서 유의하게 발생빈도가 높은 군집이 4개, 낮은 군집이 5 개 탐색되었다. 발생빈도가 높은 군집의 상대위험의 평균은 1.21, 낮은 군집의 상대위험의 평균은 0.83이었다.

국지적 Moran의 I에서 탐색된 소지역 중 발생빈도가 높은 소지역은 8개, 발 생빈도가 낮은 소지역은 2개였다.

비모수적 기법에서 탐색된 소지역 중 발생률이 높은 소지역은 16개, 발생률 이 낮은 소지역은 17개였다. 발생률이 높은 소지역의 상대위험의 평균은 1.34, 낮은 소지역의 상대위험의 평균은 0.81이었다.

발생자수 분포 공간검색통계량 국지적

Moran의 I 비모수적 기법

그림 5 여성의 위암 자료의 분석 결과

실제 여성 위암 발생자수는 경기도 북부, 동부, 남부 지역에 높게 분포함을 알 수 있다.

공간검색통계량에서 유의하게 발생빈도가 높은 군집이 4개, 낮은 군집이 4 개 탐색되었다. 발생빈도가 높은 군집의 상대위험의 평균은 1.22, 낮은 군집의 상대위험의 평균은 0.84이었다.

국지적 Moran의 I에서 탐색된 소지역 중 발생빈도가 높은 소지역은 5개, 발 생빈도가 낮은 소지역은 1개였다.

비모수적 기법에서 탐색된 소지역 중 발생률이 높은 소지역은 8개, 발생률 이 낮은 소지역은 11개였다. 발생률이 높은 소지역의 상대위험의 평균은 1.44, 낮은 소지역의 상대위험의 평균은 0.81이었다.

4.3.3 폐암

발생자수 분포 공간검색통계량 국지적

Moran의 I 비모수적 기법

그림 6 남성의 폐암 자료의 분석 결과

실제 남성 폐암 발생자수는 경기도 북부와 동부 지역에 높게 분포함을 알 수 있다.

공간검색통계량에서 유의하게 발생빈도가 높은 군집이 7개, 낮은 군집이 8 개 탐색되었다. 발생빈도가 높은 군집의 상대위험의 평균은 1.35, 낮은 군집의 상대위험의 평균은 0.77이었다.

국지적 Moran의 I에서 탐색된 소지역 중 발생빈도가 높은 소지역은 5개, 발 생빈도가 낮은 소지역은 2개였다.

비모수적 기법에서 탐색된 소지역 중 발생률이 높은 소지역은 16개, 발생률 이 낮은 소지역은 19개였다. 발생률이 높은 소지역의 상대위험의 평균은 1.53, 낮은 소지역의 상대위험의 평균은 0.76이었다.

공간검색통계량의 결과와 비모수적 기법의 결과가 유사하기는 하나 공간검 색통계량에서 탐색된 군집이 더 많은 소지역을 포함하고 있다.

발생자수 분포 공간검색통계량 국지적

Moran의 I 비모수적 기법

그림 7 여성의 폐암 자료의 분석 결과

실제 여성 폐암 발생자수는 경기도 북부, 동부와 서울 인근의 일부 지역에 높게 분포하고 경기도 서남부의 일부지역에서 낮게 분포함을 알 수 있다.

공간검색통계량에서 유의하게 발생빈도가 높은 군집이 2개, 낮은 군집이 3 개 탐색되었다. 발생빈도가 높은 군집의 상대위험의 평균은 1.42, 낮은 군집의 상대위험의 평균은 0.80이었다.

국지적 Moran의 I에서 탐색된 소지역 중 발생빈도가 높은 소지역은 6개, 발 생빈도가 낮은 소지역은 1개였다.

비모수적 기법에서 탐색된 소지역 중 발생률이 높은 소지역은 8개, 발생률 이 낮은 소지역은 10개였다. 발생률이 높은 소지역의 상대위험의 평균은 1.58, 낮은 소지역의 상대위험의 평균은 0.77이었다.

4.3.4 간암

발생자수 분포 공간검색통계량 국지적

Moran의 I 비모수적 기법

그림 8 남성의 간암 자료의 분석 결과

실제 남성 간암 발생자수는 경기도 북부와 동부 지역에 높게 분포함을 알 수 있다.

공간검색통계량에서 유의하게 발생빈도가 높은 군집이 4개, 낮은 군집이 4 개 탐색되었다. 발생빈도가 높은 군집의 상대위험의 평균은 1.29, 낮은 군집의 상대위험의 평균은 0.81이었다.

국지적 Moran의 I에서 탐색된 소지역 중 발생빈도가 높은 소지역은 8개, 발 생빈도가 낮은 소지역은 1개였다.

비모수적 기법에서 탐색된 소지역 중 발생률이 높은 소지역은 12개, 발생률 이 낮은 소지역은 12개였다. 발생률이 높은 소지역의 상대위험의 평균은 1.44, 낮은 소지역의 상대위험의 평균은 0.75이었다.

발생자수 분포 공간검색통계량 국지적

Moran의 I 비모수적 기법

그림 9 여성의 간암 자료의 분석 결과

실제 여성 간암 발생자수는 경기도 북부와 동부 지역에 높게 분포하고 경기 도 남부 지역에서 낮게 분포함을 알 수 있다.

공간검색통계량에서 유의하게 발생빈도가 높은 군집이 3개, 낮은 군집이 3 개 탐색되었다. 발생빈도가 높은 군집의 상대위험의 평균은 1.29, 낮은 군집의 상대위험의 평균은 0.79이었다.

국지적 Moran의 I에서 탐색된 소지역 중 발생빈도가 높은 소지역은 4개, 발 생빈도가 낮은 소지역은 1개였다.

비모수적 기법에서 탐색된 소지역 중 발생률이 높은 소지역은 10개, 발생률 이 낮은 소지역은 7개였다. 발생률이 높은 소지역의 상대위험의 평균은 1.58, 낮은 소지역의 상대위험의 평균은 0.70이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