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분석종합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93-102)

작 품

조형원리

1차변형 2차변형

중첩 삭제 스케

일링 분열 접기 비틀

기 왜곡 파동

New Mercedes Benz Museum

The Galician City of Culture

Experience Music Project

DG Bank Building

Mobius House

Guggenheim Museum Bilbao

Son.O.House

Mobile Art Pavilion For CHANEL

Hotel Puerta America

[표19] 비선형 공간의 조형원리 분석 결과

두 번째로 비선형 공간의 조형원리 분석 결과[표 19]를 살펴보면 1차 변형에 서는 중첩의 요소로 형태를 나타내는 경우가 가장 많고, 2차 변형에서는 각각 다양한 조형적인 요소로 비선형성을 표현하였다. 그리고 기하학적인 곡선이나 직선을 이용한 중첩으로 공간에 역동성을 부여하고 있으며, 최근 작품에는 디지 털 테크놀러지를 활용한 비선형적인 방울, 주름 등의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또한 디지털 건축은 유기적인 곡선형태로 유동적인 흐름을 가장 많이 표현하 며 액체처럼 흐르는 공간적 표현을 통해 경계를 구분할 수 없는 비경계 현상도 많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현상은 전체적인 유기적 연결로 연속적인 흐 름의 건축과 내부 공간에서도 많이 나타나 있다.

복잡성 역동성 연속성 불규칙성 유동성

1 차 변 형

중첩 ■■ ■■■■ ■■■■ ■■■

삭제 스케

일링 ■

분열 ■

2 차 변 형

접기 ■ ■ ■■ ■■■

비틀기 ■ ■ ■ ■ ■■

왜곡 ■■ ■■ ■ ■■

파동 ■■■ ■■■ ■■■ ■■■■■■

[표 20] 조형원리에서 나타나는 표현요소 분석 결과

조형원리에 의해 공간에 나타나는 표현요소의 정도치를 표로 나타내어 보았다.

표현요소는 강, 중, 약에서 강의 정도로 표현되어진 사례만 표시를 해 보았다.

이번 연구에 조사대상에 포함되었던 9개 건축물에서는 중첩과 파동의 조형원 리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모든 조형원리에 의해 유동성은 거 의 대부분 표현되어지는 요소임을 표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반면 가장 표현되지 아니한 요소는 연속성으로 나타났으며, 뫼비우스 띠처럼 모호한 공간의 구성요 소간의 경계와 연속적인 흐름을 표현하는데 더욱 연구가 필요할 것 같다.

결 론

제 5 장 결 론

과학적 패러다임에서 연구가 시작된 비선형은 현재 여러 사회분야에 걸쳐 비 선형의 개념이 연구되고 있다. 비선형은 빠르게 변화, 발전하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건축 분야에 있어서도 새로운 기술, 재료, 구조공법 등과 결합되어 과 거와는 다른 다양하고 독창적인 형태의 공간을 창출하고 있으며, 동시에 조형언 어의 무한한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비선형 공간의 개념과 새로운 조 형원리를 분석하는 것은 확실성과 절대성의 한계에 부딪힌 모던건축 이후의 공 간디자인에 있어서 미래지향적인 하나의 대안이 될 것으로 본다.

본 연구는 최근 자연과학분야를 포함하는 사회과학, 경제, 예술, 건축 등 각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는 하나의 패러다임으로서 ‘비선형’의 개념을 인지하고, 최 근의 사례를 통해 공간디자인에서 나타나는 비선형의 개념과 조형원리를 파악한 다. 그리고 최근 비선형 패러다임이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디지털 기술과 결 합되어 계획안에서 실현안으로서의 가능성이 점점 커지고 있는 바, 본 연구에서 는 디지털 기술에 의해 발생된 디지털 건축에서 비선형 패러다임에 의한 공간 특성과 그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는데 그 목적과 의의를 둔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고찰을 통해 비선형의 개념과 특성을 정리하였고, 조형원 리들을 본 연구에 맞게 재정리하였다. 이것을 바탕으로 분석틀을 개발하였고 사 례분석을 통하여 공간에서 나타나는 비선형의 개념과 조형원리를 분석하였다.

오늘날의 건축에 있어서의 발전은 디지털 미디어의 발전으로 인해 크게 변화 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근대건축에서는 시도되지 못했던 것들이 공간에 적용 되고 있으며, 그 중에는 비선형이라고 하는 과학적 패러다임에서 연동되어 나타 나고 있는 개념이 공간조형에 있어 새로운 창조적인 형태로 표현되고 있다.

첫째, 거의 모든 비선형 공간의 디자인 과정에서 디지털 기술이 사용되었으며, 결과적으로 오늘날의 디지털 기술은 비선형의 개념을 공간디자인에 적용시킬 수 있는 필수불가결한 요소인 것이다. 디지털 기술의 영향을 받은 건축가들은 기존 의 건축 양식과는 확연히 구분되는 새로운 공간조형의 가능성을 시도하고 있으 며, 복잡한 현대사회에서 다양한 경험을 원하는 우리 인간에게 풍성한 공간적 경험의 기회를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본 연구의 사례분석 결과, 비선형의 개념 중 유동성, 복잡성, 불규칙, 역

동성의 개념이 많은 작품에서 나타나고 있었으며, 그 중 특히 유동성은 많은 작 품에서 나타나는 개념으로 분석되었다. 기능적인 측면에서의 유동성은 공간의 입체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동시에 다른 개념과도 연관되는 것임을 알 수 있었 다. 조형원리 분석에서는 빈도수가 많았던 조형원리는 1차변형의 중첩과 2차변 형의 접기와 파동이었고, 중첩은 특히 해체주의 양식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많은 작품에 사용되었던 조형원리로서, 비선형 공간에서의 중첩은 좀 더 유동적인 형 태를 표현하는 것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접기라는 조형원리는 공 간의 입체적 변화를 가져오는 경우가 많았고, 특히 내부연속면의 접기를 통한 형태변형은 공간내부의 동선체계나 프로그램 등의 기능적인 측면과 바로 연관되 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기존의 건축양식에서 볼 수 없었던 공간의 단면 에 대한 실험적인 탐구로 해석되며, 접기 역시 디지털 기술의 도움으로 앞으로 더욱 중요한 조형원리가 될 것으로 보여 진다.

셋째, 비선형의 공간은 도시적 랜드마크가 될 수 있으며, 이는 세계화시대에 도시적인 차원에서의 경쟁력과 함께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요소이다. 예를 들 어 ‘빌바오이즘’으로까지 표현되고 있는 프랭크 게리의 ‘빌바오 구겐하임 뮤지엄’

은 그 건축물의 탄생과 함께 도시가 회생하는 경제적인 효과를 창출하였다. 이 는 근대건축의 획일성의 한계에 부딪힌 건축 현실에 대한 적극적인, 유기적인 하나의 대안이 됨과 동시에 도시적 차원에서의 경쟁력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본 다.

본 연구는 최근의 건축사례를 통하여 공간디자인에서 나타나는 비선형의 개념 을 살펴보았고, 사회전반의 하나의 패러다임을 인식하고 그에 따른 미래지향적 인 대안으로서 비선형을 보고자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최근 1990년대 이후 사례만으로 분석을 하여 시대적, 건축적인 변화를 함께 분석하기에는 한계점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과거의 시대적, 건축적 패러다임과 비선형의 개 념을 연계하여 분석해 볼 필요성이 있으며, 그러한 폭넓은 연구를 통하여 앞으 로의 비선형 공간의 변화가능성까지도 예측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수 있기를 바란다.

•안효정, 비선형 패러다임에 의한 공간조형 특성과 디자인 분석, 연세대 생활환경대학원, 2004

•이은정, 디지털패러다임에 의한 유기체적 공간에 관한 연구, 건국대 석사논문, 2005

•박근형, 디지털 건축에서의 프로세스 비교분석을 통한 형태변이 인자에 관한 연구, 단국대 대학원, 2008

•오로라, 디지털 건축의 탈정형성에 관한 연구, 조선대 디자인대학원, 2009

•박종인, 디지털 건축에 있어서의 비선형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 건축전문대학원, 2004

•박정대, 현대건축에 나타난 비선형 현상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1997

•최대준, Gilles Deleuze의 리좀에 의한 도시 재해석에 관한 연구, 인제대 대학원, 2006

•김희주, 현대공간디자인의 노마디즘개념과 표현에 관한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3

•윤철제, 현대건축의 비선형기하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1999

•김은영, 프랙탈기하학의 비선형적특성을 적용한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숙명대 석사논문, 1999

단행본

•건축의 향성과 흐름(은유적 활성화와 건축), spacetime, Ton Verstegen저, 2005

•건축과 시간속의 운동, spacetime, 김원갑, 2009 •현대 건축과 비표상, 아카넷, 정인하, 2006 •이정우, 접힘과 펼쳐짐, 거름, 2000

•신정윤. 경계 없는 형태와 공간을 향하여, 시공문화사, 2002

•질 들뢰즈, 주름(라이프니츠와 바로크), 이찬웅 옮김, 문학과지성사, 2004

학위논문

•안효정, 비선형 패러다임에 의한 공간조형 특성과 디자인분석, 연세대 석사논문, 2003

•최희랑, 유동적 개념의 전시공간에 관한 연구, 국민대 석사논문, 2005

•이병선, 현대 공간 디자인의 매체적 표피성에 관한 연구, 경원대 대학원, 2008

•황지연, 비선형 관점에 의한 환경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석사논문, 1999

•김수경, 프랙탈 기하학을 적용한 건축 형태 생성 방법에 관한 연구, 한양대 석사논문, 2000

•이진영, 현대 실내공간에 있어서 현상학적 역동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 산업대학원, 2005

•김태수, 비선형 공간에 나타난 유동적 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 디자인대학원, 2005

정기간행물

• INTERIOR (2003~2005), 서울, 가인디자인그룹 • INTERNI (2005~2006), 서울, KPS

• BOB (2003~2005), 서울, 건축문화사

• FRAME (2003~2005), Netherlands, Frame Magazine BV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93-102)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