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국가 통계국에서 제공하는 「중국통계연감 (中国统计年鉴)」의 1997년∼2012년 지역별 도시 거주민 1인당 연평 균 식품 소비 지출액 자료를 활용하였다.이 자료는 도시 가계 가구 구성원 현황,소득 및 지출,주요 상품 구매량,노동 현황,거주 현황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국가 통계국 「도시가구조사(城镇 住户调查)」를 원자료로 하고 있다9).중국은 도시와 농촌의 가구 조 사를 분리하여 실시하기 때문에 중국 전체 식품 수요 추정을 위해 서는 두 자료를 취합하여 분석해야 한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도 시 지역 데이터만을 사용하여 중국 도시 지역별 식품 수요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분석에서 농촌 지역을 제외한 이유는 우선

「농촌가구조사(農村住戶调查)」의 경우 식품 세부 항목 별 지출액 자료를 공개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농촌 자료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식품 소비량과 가격 자료를 이용하여 식품 품목별 소비 지출액을 추정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다.또한 앞서 제 2장에서 언 급한 바와 같이 중국 소비 시장은 도시 중·고소득층을 중심으로 빠 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2011년을 기점으로 중국에서는 농촌 인구보다 도시 인구가 더 많아졌다.도시의 빠른 경제 성장으로 인

9)중국 국가 통계국,인민생활(人民生活)통계 설명(http://www.stats.gov.cn)

한 개별 소비자의 소득 차이,유통 기반 차이 등으로 인해 도·농간 식품 소비 패턴이 점차 다른 양상을 보였다.농·식품 시장 규모에 있어서도 도시와 농촌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2013년 기준 중 국 도시 지역의 농·식품 시장 규모가 농촌의 3배로 나타났다.이러 한 상황에서 대부분의 수입 농·식품은 도시 지역에서 소비되므로 농 촌 지역보다는 도시 지역의 식품 소비 패턴을 파악하는 것이 한국 의 농·식품 대(對)중 수출에 대한 시사점 제시라는 본 연구의 목적 에 더욱 부합된다.

본 연구에서는 전체 20개의 식품 품목을 총 7가지로 재분류하였 고 이는 <표 4-1>에 정리되어 있다.곡류,서류,두류 및 빵류를 곡 물 및 빵류로,계란류와 유제품류를 계란 및 유제품으로,과일류와 채소류를 과채류로,조미품,당류,유지류,기타식품 등을 통합하여 기타로 설정하였고 담배류,주류 및 음료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지출액 값은 1996년을 100으로 하는 도시 거주민 소비 가격 지수(城 市居民消费价格指数)를 이용하여 실질가치로 전환하였고,가격 지수 와 식품 지출액의 품목 분류기준이 다를 경우 지출액을 가중치로 하는 가중평균을 취해 자료원을 통합하였다.

지역 곡물 및

내몽고

(陝西) 감숙

(甘肅) 309.4 335.2 152.6 46.5 418.7 420.2 235.3 청해

(靑海) 351.5 453.2 147.0 54.2 387.0 391.9 208.4 녕하

(宁夏) 320.4 381.8 148.7 47.1 414.4 453.5 205.2 신강

(新疆) 340.1 509.7 151.1 57.6 425.4 437.8 190.6

북경,천진,상해와 같은 직할시의 경우 대부분 품목이 전국 평균 지출액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또한,곡물 및 빵류,계란 및 유제품류의 경우 지출이 가장 많은 지역과 가장 적은 지역 간의 차 이가 300위안 미만으로 크지 않은데 반해,육류,수산물,외식비의 경우 약 500∼900위안으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지출액 평균값 자료를 통해서는 이러한 차이가 지역별 식품 접근성 차이에서 기인 한 것인지,지역별 식품 가격 차이에서 기인한 것인지 알 수 없다.

다만 곡물 및 빵류나 계란류와 같은 주식의 경우 지역 간의 차이가 크지 않지만 부식류(육류,수산물 등)의 경우 지역 차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