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현재 지원받고

있음

과거 받았으나

현재 받지 않음

지원 경험

없음 계 (수) 만족도 평균

1) 법정한부모 자격 53.3 17.3 29.3 100.0 (300) 2.8

2) 저소득한부모 아동양육비 44.7 24.3 31.0 100.0 (300) 2.9

3) 저소득한부모 학용품비 13.3 0.7 86.0 100.0 (300) 3.0

4) 청소년산모 임신・출산 의료비 지원 4.7 7.3 88.0 100.0 (300) 3.7 5) 청소년 한부모 자립지원 4.7 3.7 91.7 100.0 (300) 3.4

6) 미혼모・부 초기지원 9.0 11.3 79.7 100.0 (300) 3.5

7) 한부모가족 무료법률구조사업 6.7 7.3 86.0 100.0 (300) 3.0 8) 양육비 이행 원스톱 종합서비스 7.7 2.3 90.0 100.0 (300) 3.3

9) 한부모가족복지시설 입소 10.3 24.3 65.3 100.0 (300) 2.9

10) 정부지원 임대주택 거주 43.3 6.7 50.0 100.0 (300) 3.5

11) 주거비 지원 41.0 4.3 54.7 100.0 (300) 3.5

12) 기초생활보장수급 61.0 8.7 30.3 100.0 (300) 3.3

13) 방과후 보육료 지원 20.7 5.3 74.0 100.0 (300) 3.7

14) 아동발달지원계좌 3.0 0.3 96.7 100.0 (300) 3.6

15) 아동통합서비스지원 29.3 9.3 61.3 100.0 (300) 3.4

16) 스포츠강좌이용권/문화바우처 46.3 6.0 47.7 100.0 (300) 3.5

17) 희망키움통장 9.7 8.0 82.3 100.0 (300) 3.8

단위: %(명), 점

으며, 정부지원임대주택 거주, 주거비 지원 등도 각각 43.3%, 41.0%로 꽤 높은 비율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스포츠강좌이용권/문화 바우처 제공 (46.3% 이용 중) 및 방과후 보육료 지원(20.7% 이용 중) 등 아동의 수업 외 여가 및 교육에 지원하는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각각 3.5점, 3.7점의 높은 만족도를 나 타냈다.

Ⅲ-5-4 지원 프로그램 이용 경험

주: 1) 미혼모 양육지원을 위한 실태조사 결과임.

2) 매우 불만족=1점, 약간불만족=2점, 보통=3점, 약간만족=4점, 매우만족=5점.

Ⅲ. 미혼모 자녀 양육 및 자립실태

그림 Ⅲ-5-1 저소득층 대상 지원 프로그램 이용 경험

단위: %

주: <표 Ⅲ-5-4> 중 저소득층 대상 지원프로그램 이용겸험을 그림으로 표현함.

그림 Ⅲ-5-2 한부모 대상 지원 프로그램 이용 경험

단위: %

주: <표 Ⅲ-5-4> 중 한부모 대상 지원 프로그램 지원을 그림으로 표현함.

다. 부모교육 경험

부모교육 경험에 대해 물어보았다. 전체 응답자의 63.3%가 ‘있다’고 응답하였 다. 이는 2017년 진행된 한부모 대상 연구에서는 부모교육 참여 경험이 있다고 한 응답자가 44.3%였던 것에 비해(배윤진・조숙인・장문영, 2017: 138), 상당히 높은 수치이다.

돌봄취약계층 맞춤형 육아지원 방안(Ⅳ)미혼모・부 가정의 자녀양육 실태 및 지원방안

구분

현재 지원받고

있음

과거 받았으나

현재 받지 않음

지원 경험

없음 계 (수) 만족도 평균

1) 법정한부모 자격 53.3 17.3 29.3 100.0 (300) 2.8

2) 저소득한부모 아동양육비 44.7 24.3 31.0 100.0 (300) 2.9

3) 저소득한부모 학용품비 13.3 0.7 86.0 100.0 (300) 3.0

4) 청소년산모 임신・출산 의료비 지원 4.7 7.3 88.0 100.0 (300) 3.7 5) 청소년 한부모 자립지원 4.7 3.7 91.7 100.0 (300) 3.4

6) 미혼모・부 초기지원 9.0 11.3 79.7 100.0 (300) 3.5

7) 한부모가족 무료법률구조사업 6.7 7.3 86.0 100.0 (300) 3.0 8) 양육비 이행 원스톱 종합서비스 7.7 2.3 90.0 100.0 (300) 3.3

9) 한부모가족복지시설 입소 10.3 24.3 65.3 100.0 (300) 2.9

10) 정부지원 임대주택 거주 43.3 6.7 50.0 100.0 (300) 3.5

11) 주거비 지원 41.0 4.3 54.7 100.0 (300) 3.5

12) 기초생활보장수급 61.0 8.7 30.3 100.0 (300) 3.3

13) 방과후 보육료 지원 20.7 5.3 74.0 100.0 (300) 3.7

14) 아동발달지원계좌 3.0 0.3 96.7 100.0 (300) 3.6

15) 아동통합서비스지원 29.3 9.3 61.3 100.0 (300) 3.4

16) 스포츠강좌이용권/문화바우처 46.3 6.0 47.7 100.0 (300) 3.5

17) 희망키움통장 9.7 8.0 82.3 100.0 (300) 3.8

단위: %(명), 점

으며, 정부지원임대주택 거주, 주거비 지원 등도 각각 43.3%, 41.0%로 꽤 높은 비율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스포츠강좌이용권/문화 바우처 제공 (46.3% 이용 중) 및 방과후 보육료 지원(20.7% 이용 중) 등 아동의 수업 외 여가 및 교육에 지원하는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각각 3.5점, 3.7점의 높은 만족도를 나 타냈다.

표 Ⅲ-5-4 지원 프로그램 이용 경험

주: 1) 미혼모 양육지원을 위한 실태조사 결과임.

2) 매우 불만족=1점, 약간불만족=2점, 보통=3점, 약간만족=4점, 매우만족=5점.

Ⅲ. 미혼모 자녀 양육 및 자립실태

그림 Ⅲ-5-1 저소득층 대상 지원 프로그램 이용 경험

단위: %

주: <표 Ⅲ-5-4> 중 저소득층 대상 지원프로그램 이용겸험을 그림으로 표현함.

그림 Ⅲ-5-2 한부모 대상 지원 프로그램 이용 경험

단위: %

주: <표 Ⅲ-5-4> 중 한부모 대상 지원 프로그램 지원을 그림으로 표현함.

다. 부모교육 경험

부모교육 경험에 대해 물어보았다. 전체 응답자의 63.3%가 ‘있다’고 응답하였 다. 이는 2017년 진행된 한부모 대상 연구에서는 부모교육 참여 경험이 있다고 한 응답자가 44.3%였던 것에 비해(배윤진・조숙인・장문영, 2017: 138), 상당히 높은 수치이다.

돌봄취약계층 맞춤형 육아지원 방안(Ⅳ)미혼모・부 가정의 자녀양육 실태 및 지원방안

돌봄취약계층 맞춤형 육아지원 방안(Ⅳ)미혼모・부 가정의 자녀양육 실태 및 지원방안

돌봄취약계층 맞춤형 육아지원 방안(Ⅳ)미혼모・부 가정의 자녀양육 실태 및 지원방안

그림 Ⅲ-5-4 부모교육 영역별 도움 정도

단위: %, n= 130

주: 미혼모 양육지원을 위한 실태조사 결과임.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