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부가저항 및 운동응답 수치해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0-59)

5. 해석결과

5.4 부가저항 및 운동응답 수치해석

(a) CT

(b) heave

(c) pitch

Fig. 5.6 Time history for CT, heave and pitch motion of Case 1 (λ/LPP=0.65) (EFD : symbol, Present : line)

(a) CT

(b) heave

(c) pitch

Fig. 5.7 Time history for CT, heave and pitch motion of Case 2 (λ/LPP=0.85) (EFD : symbol, Present : line)

(a) CT

(b) heave

(c) pitch

Fig. 5.8 Time history for CT, heave and pitch motion of Case 3 (λ/LPP=1.15) (EFD : symbol, Present : line)

(a) CT

(b) heave

(c) pitch

Fig. 5.9 Time history for CT, heave and pitch motion of Case 4 (λ/LPP=1.37) (EFD : symbol, Present : line)

(a) CT

(b) heave

(c) pitch

Fig. 5.10 Time history for CT, heave and pitch motion of Case 5 (λ/LPP=1.95) (EFD : symbol, Present : line)

Table 5.6~5.9는 계산한 수치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실험과의 정량적인 비교를 위해 각 파장별 선체에 작용하는 전 저항과 부가저항, 전달함수로 나타낸 운동응답에 대한 결과 값을 실험 결과와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전반적으로 부가저항 및 종동요의 결과가 전 저항과 상하동요의 오차보다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단파영역(Case 1~2)에 대한 오차가 상대적으로 다른 영역보다 크다. 이와 같은 이유는 Fig. 5.6~5.7의 단파영역에서 수치해석 결과와 실험 결과와의 차이가 크기 때문이다. 전 저항 결과만으로 분석하였을 때, 파장 별 전 저항 오차는 실험 값 대비 9% 이내로 발생한다.

그러나 부가저항의 오차는 전 저항 오차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러한 이유는 전 저항 오차에 추가적으로 정수 중 저항의 오차 및 첫 번째 조화 파고의 오차가 복합적인 요소로 작용하여 부가저항의 오차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다. 종동요 전달함수의 오차 값은 단파영역에서 실험 결과와 많은 차이를 보이는데, 이 조건에서 종동요 전달함수의 크기는 매우 작은 값이기 때문에 수치적으로 실험결과에 약간만 벗어나더라도 큰 오차를 유발하여 다른 영역보다 수치적으로 큰 값이 나온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5.6 CT in difference wave conditions CT (×103)

Case 1 2 3 4 5

Present 4.379 5.036 7.451 7.559 5.514

EFD (Sadat-Hosseini,

et al., 2015) 4.127 4.622 7.078 6.977 5.421

Error (% of EFD) -6.120 -8.944 -5.271 -8.335 -1.725

Table 5.7 Added resistance coefficient in difference wave conditions σaw

Case 1 2 3 4 5

Present 4.803 8.320 10.807 7.577 1.828

EFD (Sadat-Hosseini,

et al., 2015) 3.386 6.102 9.911 6.512 1.909

Error (% of EFD) -41.853 -36.353 -9.042 -16.348 4.252

Table 5.8 Heave transfer function in difference wave conditions TF3

Case 1 2 3 4 5

Present 0.117 0.242 0.901 0.899 0.890

EFD (Sadat-Hosseini,

et al., 2015) 0.130 0.241 0.899 0.875 0.933

Error (% of EFD) 9.936 -0.446 -0.242 -2.760 4.615

Table 5.9 Pitch transfer function in difference wave conditions TF5

Case 1 2 3 4 5

Present 0.010 0.225 0.724 0.971 1.067

EFD (Sadat-Hosseini,

et al., 2015) 0.017 0.146 0.748 0.966 1.119

Error (% of EFD) 42.000 -53.573 3.294 -0.578 4.652

Fig. 5.11은 부가저항 및 운동응답에 대한 전달함수의 크기를 파장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동일한 크기인 6.07m KCS 모형실험 결과 이외에도 4.37m KCS 모형실험 결과(Simonsen, et al., 2013)와 2.10m KCS 모형실험 결과(Sadat-Hosseini, et al., 2015)도 함께 표기하였다. 부가저항의 수치해석 결과는 대부분 동일한 크기의 모형실험 결과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값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다른 크기의 모형실험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모형실험 결과 범주 내에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하동요 및 종동요의 전달함수 수치해석 결과는 동일한 크기의 모형실험 결과와 대부분 일치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 5.6~5.7의 전 저항 그래프와 단파영역에서 상하동요와 종동요 응답 그래프는 실험 결과와 차이를 보이지만, 크기를 파장별로 나타내면 실험과 유사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부가저항을 해석하기 위해서는 크기를 파장별로 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확한 해석을 위해서는 시간에 따른 변화를 볼 필요가 있다.

(a) added resistance coefficient

(b) heave motion

(c) pitch motion

Fig. 5.11 Results of added resistance coefficient, transfer functions of heave and pitch motions in different wave conditions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0-5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