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보드게임 활용 만족도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5-49)

1) 보드게임 활용 만족도 기술통계 분석 결과

특수교사의 보드게임 활용 만족도를 5점 척도로 분석한 결과는 <표 Ⅳ-13>과 같다. 점수가 높을수록 활용 수준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분석 결과, ‘구입 편리 성’이 평균 3.7로 가장 높았으나 전반적으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Ⅳ-13> 보드게임 활용 만족도 기술통계 분석 결과

항목 N 최솟값 최댓값 평균 표준편차

종류 115 2.0 5.0 3.4 .8

품질 116 2.0 5.0 3.5 .8

활용성 116 2.0 5.0 3.4 .9

구입 편리성 115 2.0 5.0 3.7 .8

전체 116 2.00 5.00 3.5 .6

2) 보드게임 활용 만족도 집단 간 차이 분석 ①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 따른 차이 분석

배치 유형별로 보드게임 활용 만족도 수준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표 Ⅳ-14>와 같다. 분석 결과, 모든 항목 및 전체에서 집단 간에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직 경력(f) .146 .038 -.099 .003 .830** 1

** p < .01

<표 Ⅳ-14> 배치 유형별 보드게임 활용 만족도 차이 분석 결과

항목 소속 유형 평균 표준편차 t-값 p

종류 특수학교 3.4 0.8

.0 .98

특수학급 3.4 0.9

품질 특수학교 3.5 0.8

.1 .89

특수학급 3.5 0.6

활용성 특수학교 3.3 0.8

1.2 .23

특수학급 3.5 0.9

구입 편리성 특수학교 3.7 0.9

.5 .61

특수학급 3.6 0.8

전체 특수학교 3.5 0.6

.2 .83

특수학급 3.5 0.7

② 학교급에 따른 차이 분석

학교급별로 보드게임 활용 수준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 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Ⅳ-15>와 같다. 분석 결과, 품질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Scheffe를 통한 사후검증 결과, 초등학교와 중학교 간에 유의 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평균을 보면, 중학교가 초등학 교보다 높았다.

<표 Ⅳ-15> 학교급별 보드게임 활용 만족도 차이 분석 결과

항목 소속 유형 평균 표준편차 F-값 p 사후검증

종류

초등학교 3.3 0.8

1.2 .31

-중학교 3.6 0.8

고등학교 3.5 0.9 품질

초등학교 3.3 0.8

3.2 .04 초<중*

중학교 3.7 0.7

고등학교 3.5 0.7 활용성

초등학교 3.2 0.9

2.0 .14

-중학교 3.5 0.9

고등학교 3.6 0.8

③ 보조 인력 유무에 따른 차이 분석

보조 인력 유무에 따른 보드게임 활용 수준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표 Ⅳ-16>과 같다. 분석 결과, 종류에서 집단 간에 유의수준 .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평균을 보면, 보조 인 력이 있는 경우가 3.6으로 없는 집단 3.1보다 높았다.

<표 Ⅳ-16> 보조 인력 유무에 따른 보드게임 활용 만족도 차이 분석 결과

항목 소속 유형 평균 표준편차 t-값 p

종류 있음 3.6 0.8

7.7 .01

없음 3.1 0.9

품질 있음 3.5 0.7

0.7 .41

없음 3.4 0.8

활용성 있음 3.5 0.8

2.9 .09

없음 3.2 1.0

구입 편리성 있음 3.7 0.8

0.1 .78

없음 3.7 1.0

전체 있음 3.6 0.6

2.6 .11

없음 3.3 0.7

3) 보드게임 활용 만족도와 교사 변인 간 상관 분석

구입 편리성

초등학교 3.7 0.8

2.1 .12

-중학교 3.9 0.9

고등학교 3.5 0.9 전체

초등학교 3.3 0.6

2.4 .09

-중학교 3.7 0.6

고등학교 3.5 0.6

* p < .05

보드게임 활용 만족도와 교사의 나이, 교직 경력, 활용 수준과 관련성이 있는지 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Ⅳ-17>과 같다. 분석 결과, 나 이와 경력은 관련성이 없지만, 활용 수준은 만족도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예를 들어, 활용 수준과 활용성 간에 .508의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종류, 품질, 구입 편의성과도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표 Ⅳ-17> 교사 변인과 보드게임 활용 만족도 간 상관 분석 결과

a b c d e f g

종류(a) 1

품질(b) .608** 1

활용성(c) .602** .602** 1

구입 편리성(d) .326** .353** .262** 1

나이(e) .099 -.037 .025 -.051 1

교직 경력(f) .086 .005 .114 .040 .830** 1

활용 수준(g) .340** .413** .508** .225* -.051 .031 1

** p < .01, * p < .05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5-4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