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변수관련 설명 및 통계자료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6-79)





  

    

는 기술효율성 변화(

EC

), 즉, 기와   기 사이의 기술효

율성 변화를 나타낸다.

    

    

   





는 기와   기 사 이의 기술변화(

TC

)를 나타낸다. 는 기술효율성이 높아진 경우이며 최대효율성을 발휘하는 생산자와 기술효율성 측면에서 유사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 는 기와   기 사이에 기술발전이 있다는 것을 뜻하고,

 은 같은 시기에 기술의 퇴보가 발생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Malmquist 생산성 변화지수가 1이상이면 t기에 비해 t+1기에 생산성이 증가했다는 의 미이며, 1보다 작으면 생산성이 감소했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규모 이상의 문화 및 관련 산업 기업 단위 수114)를 기업규모의 변 수로 대체하였다. 산출물변수는 문화산업의 부가가치로 선정하였고, 더 합 리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 문화 산업의 영업수입도 산출물 변수로 같이 선정 하였다115). 문화산업 데이터의 출처는 <표 14>와 같다.

114) 규모 이상의 문화 및 관련 산업의 통계 범위는 문화 및 관련 산업분류 (2012)

명시된 산업 분야에서 연간 주요 영업수입이 2천만 위안 이상인 공업(工業)기업으로, 연간 주요 영업수입은 2천만 위안 이상인 도매기업 또는 주요 영업수입이 5 백만 위안 이상인 소매기업, 50인 이상의 종업원 또는 연간 영업수입이 1천만 위안 이상인 서비 스업에서 영업수입이 5백만 위안 이상인 문화 및 오락 서비스업이다.(2005-2016년 중국 전체의 문화산업의 영업수익 자료는 국가통계국이 발표하지 않았음)

115) 문화산업의 산출을 부가가치로 볼 것인가 아니면 영업수입으로 볼 것인가에 대해서 는 영업수입이 더욱 현실적인 의미가 있다. 왜냐하면 문화산업에서 중간재를 별도로 추출해 내 는 것이 현실적으로 많은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김상욱, 「중국의 문화제 조업과 문화서비스업의 지역별 상대적 효율성 비교」, 동북아경제학연구, 제28집, 제3호, pp.115-137.)

연구자 투입변수 산출변수

Hou Yanhong(2008)

종사자 수 자산총액

당해년도 고정자산 투자총액

부가가치 총산출 세금 Wang Jiating, Zhang Rong(2009) 자산총액

종사자 수

영업수입 부가가치 Ma Xuan, Zheng Shilin(2010) 자본스톡

종사자의 임금

총산출 부가가치 Jiang Ping, Wang Yong(2011)

자본총액 종사자 수 기업 수

부가가치 영업수입

Le Xianghai, Chen Xiaohong(2013) 자산

종사자 수 영업수입

Guo Shufen, Wang Yanfen, Huang Guiying(2015)

기업 수 종사자 수

영업수입 부가가치

김상욱(2016)

자산 종사자 수 문화사업비

영업수입

Guo Shufen, Guo Jinhua(2017)

종사자 수

규모이상의 기업 수 자본총액

영업수입

<표 13> 문화산업 효율성 분석 사용된 투입변수와 산출변수

D M U

변수 단위 출처

중 국 전 체

투 입 물

당해 연도 고정자산 투자

총액 억 위안 중국 문화 및 관련산업 통계

연감 2017

문화산업 종사자 명 중국 문화 문물 통계연감

2005~2017

문화산업 기업 수 개

산 출 물

부가가치액 억 위안 중국 문화 및 관련산업 통계

연감 2017

중 국 각 성 시

투 입 물

문화산업 자산총액 만 위안

중국 문화 및 관련산업 통계 연감 2016-2017

문화산업 종사자 명

규모 이상의 문화산업 기

업 수 개

산 출 물

부가가치액 억 위안

문화산업의 영업수입 만 위안

<표 14> 모형에 포함된 변수들

인플레이션 영향을 없애기 위해 2005-2016년 중국 문화산업의 효율성을 측정할 때 GDP디플레이터를 사용하여 2005년 기준으로 실질 고정자산 투 자액과 실질 부가가치액으로 변환해 사용했다. 또한 2015-2016년 중국 각 성시의 효율성을 추정할 때 GDP디플레이터를 기초로 하여 2015년 기준으 로 실질 자산총액, 실질 부가가치액과 실질 영업수입으로 변환해 사용했다.

제 5 장 분석결과 및 해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6-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