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향후 우리나라 밭농업 발전 가능성

문서에서 농업경영체 밭농업 인식 조사 (페이지 66-0)

(16.9) (23.1) (16.2) (18.4) (25.0) (31.5) (22.0) (10.3) (19.2) (19.9)

보통이다 117 20 35 42 4 26 80 12 8 344

(39.7) (30.8) (29.9) (30.9) (20.0) (29.2) (28.4) (30.8) (30.8) (32.2)

부정적이다 83 16 41 46 9 22 93 13 10 333

(28.1) (24.6) (35.0) (33.8) (45.0) (24.7) (33.0) (33.3) (38.5) (31.2)

매우 부정적이다 30 7 16 16 1 8 28 7 1 114

(10.2) (10.8) (13.7) (11.8) (5.0) (9.0) (9.9) (17.9) (3.8) (10.7)

전체 295 65 117 136 20 89 282 39 26 1069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표 3-22. 향후 밭농업 발전 가능성 - 영농형태별

단위: %

그림 3-12. 향후 밭농업 발전 가능성 - 영농형태별

4.2. 연령별 밭농업 발전 가능성

연령별로 향후 밭농업 발전 가능성에 대해 살펴본 결과 60대 이하의 경우 ‘부 정적이다’와 ‘보통이다’ 의견 비중이 높은 가운데 70대 이상에서 ‘보통이 다’(35.8%), ‘긍정적이다’(25.2%)라는 응답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70대 이상 다음으로 60대에서 ‘긍정적이다’ 응답한 비중이 높았으며, 모든 연령대에서 ‘긍 정적이다’라는 의견이 ‘매우 부정적이다’라고 응답한 비중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편 대체로 연령이 낮을수록 밭농업의 발전 가능성에 회의적으로 응답한 비 중이 높게 나타나 50세 미만에서 ‘매우 부정적’이 9.7%, ‘부정적’이 39.8%를 차 지한다.

영향력 정도 50세 미만 50대 60대 70대 이상 전체 매우 긍정적이다 (5.4)5 (6.8)22 (3.5)14 (9.4)24 (6.1)65 긍정적이다 (15.1)14 (14.8)48 (22.0)87 (25.2)64 (20.0)213 보통이다 (30.1)28 (32.7)106 (29.8)118 (35.8)91 (32.1)343 부정적이다 (39.8)37 (31.5)102 (34.1)135 (23.2)59 (31.2)333 매우 부정적이다 (9.7)9 (14.2)46 (10.6)42 (6.3)16 (10.6)113 전체 (100.0)93 (100.0)324 (100.0)396 (100.0)254 (100.0)1067

표 3-23. 농산물 시장 개방이 우리농업에 미칠 영향력 - 연령별 단위: %

그림 3-13. 농산물 시장 개방이 우리농업에 미칠 영향력 - 연령별

4.3. 소득 규모별 밭농업 발전 가능성

농업 소득 규모에 따라 밭농업 발전 가능성에 대해 다른 의견을 보이는데 3천 만 원 미만 농가의 경우 ‘보통이다’와 ‘부정적이다’ 순으로 응답 비중이 높고, 3천~7천만 원 미만 농가의 경우 ‘부정적이다’, ‘보통이다’ 순으로 응답 비중이 높다. 7천만~1억 원 미만 농가의 경우 ‘긍정적이다’, ‘보통이다’ 응답 비중이 29.8%로 동일하게 나와서 전체 구간 중 가장 낙관적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편

‘부정적이다’ 응답 비중은 전체 소득 구간 중에서 1억 원 이상 농가가 47.1%로 가장 높다.

영향력 정도 1천만 원 미만 만 원 미만1천∼3천 만 원 미만3천∼5천 만 원 미만5천∼7천 1억 원 미만7천만∼ 1억 원 이상 전체

매우 긍정적이다 21 22 10 4 2 4 63

(8.0) (5.4) (4.5) (5.3) (4.3) (11.8) (6.0)

긍정적이다 61 75 41 11 14 4 206

(23.2) (18.5) (18.6) (14.7) (29.8) (11.8) (19.7)

보통이다 84 142 67 22 14 5 334

(31.9) (35.1) (30.5) (29.3) (29.8) (14.7) (32.0)

부정적이다 75 120 78 29 9 16 327

(28.5) (29.6) (35.5) (38.7) (19.1) (47.1) (31.3)

매우 부정적이다 22 46 24 9 8 5 114

(8.4) (11.4) (10.9) (12.0) (17.0) (14.7) (10.9)

전체 263 405 220 75 47 34 1044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표 3-24. 밭농업 발전 가능성 - 소득 규모별

단위: %

그림 3-14. 밭농업 발전 가능성 - 소득 규모별

부록

1

설문조사표

농 업 경 영 체 밭 농 업 실 태 설 문 조 사 안녕하십니까?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우리나라 농업과 농촌의 발전을 위한 종합적 연구를 통해 농업‧농촌 정책 수립을 지원하는 정부출연 연구기관입니다. 본 설문은

<시장 개방 확대에 대응한 밭농업 경쟁력 제고> 연구의 일환으로 농업경영 체의 밭농업 실태 및 애로사항을 파악하기 위한 것입니다.

본 설문에서 밭농업이란 ① 노지채소, ② 벼를 제외한 식량작물, ③ 시설원 예(채소, 화훼), ④ 과수를 의미합니다.

※ 식량작물: 벼를 제외한 식량작물로 보리, 밀, 수수, 조, 콩, 고구마, 감자 등

※ 조사기간: 2015년 6월 11일 ~ 30일

【 일 반 사 항 】

성 명 성 별 □ 남 □ 여

출생연도 농사경력

주 소 ______________(도/시) _______________(군/구)

전화번호 통신원번호

노지 시설 총 면적

논 밭

( ) 평 ( ) 평 ( ) 평 ( ) 평 귀하의 농업경영 및 밭농업 일반사항입니다.

1. 귀하의 농업경영에서 연간 판매액이 가장 높은 작목은 무엇입니까? ( )

① 논벼 ② 벼를 제외한 식량작물 ③ 노지채소

④ 시설채소 ⑤ 시설화훼 ⑥ 특작

⑦ 과수 ⑧ 축산 ⑨ 기타( )

※ 식량작물: 벼를 제외한 식량작물로 보리, 밀, 수수, 조, 콩, 고구마, 감자 등 (맥류, 잡곡, 두류, 서류)

2. 귀하의 연평균 농가소득은 얼마나 되십니까? (농업소득의 경우 생산비 제외)

① 5백만 원 미만 ② 5백만 원~1천만 원 미만 ③ 1천만 원~2천만 원 미만

④ 2천만 원~3천만 원 미만 ⑤ 3천만 원~4천만 원 미만 ⑥ 4천만 원~5천만 원 미만

⑦ 5천만 원~7천만 원 미만 ⑧ 7천만 원~1억 원 미만 ⑨ 1억 원 이상

(2.1) 귀하의 연평균 농가소득 중 농업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은 어떻게 되십니까?

( )% ※ 농가소득 = 농업소득+농외소득+이전소득

3. 귀하의 현재 노지‧시설 재배면적을 기입하여 주십시오.

(3.1) 만약 ‘논’에서 벼 이외에 품목을 재배하신다면 주된 작목은 무엇입니까?

① 벼를 제외한 식량작물 ② 노지채소 ③ 시설채소

④ 시설화훼 ⑤ 특작 ⑥ 과수 ⑦ 기타( )

→ ‘논’에서 벼 이외 품목 재배 시 구체적인 품목명을 기입하여 주십시오(주요품목 기준).

( )

4. 귀하는 향후 밭작물 재배면적을 어떻게 하실 계획이십니까?

① 30% 이상 축소 ② 30% 미만 축소 ③ 현재 규모 유지 ④ 30% 미만 확대

⑤ 30% 이상 확대

(4.1) 귀하께서 재배하고 있는 밭작물 중 재배규모를 축소하고자 하는 품목은 무엇입니까?

① 벼를 제외한 식량작물 ② 노지채소 ③ 시설채소 ④ 시설화훼

⑤ 특작 ⑥ 과수 ⑦ 기타( ) → 해당 시 구체적인 품목명을 기입하여 주십시오. ( )

(4.1.1) 해당 작물 재배면적을 축소하고자 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높은 생산비

② 낮은 기계화율

③ 다른 고소득작물 재배를 위해

④ 노동력 부족

⑤ 해당 품목의 낮은 농산물가격

⑥ 기타( )

(4.2) 밭작물 중 재배면적을 확대하고자 하는 품목은 무엇입니까?

① 벼를 제외한 식량작물 ② 노지채소 ③ 시설채소 ④ 시설화훼

⑤ 특작 ⑥ 과수 ⑦ 기타( )

→ 해당 시 구체적인 품목명을 기입하여 주십시오. ( )

(4.2.1) 해당 작물 재배면적을 확대하고자 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향후 소비자 수요 증대 전망

② 작물 재배기술의 용이성

③ 높은 기계화율

④ 주변 지인의 추천

⑤ 해당 품목의 높은 판매소득

⑥ 기타( )

(4.3) 밭작물 중 새로 도입하고 싶지만 도입하지 못하는 품목은 무엇입니까?

① 벼를 제외한 식량작물 ② 노지채소 ③ 시설채소 ④ 시설화훼

⑤ 특작 ⑥ 과수 ⑦ 기타( )

→ 해당 시 구체적인 품목명을 기입하여 주십시오. ( )

(4.3.1) 해당 작물을 도입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높은 초기투자 비용

② 작물 재배기술의 고난도

③ 낮은 기계화율(손이 많이 감)

④ 시장 수요 전망의 불확실성

⑤ 투자 후 소득 발생 때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됨

⑥ 기타( )

(가장 중요한 순으로 3가지 선택) 1순위: _____ 2순위: _____ 3순위: _____

귀하의 밭농업 애로사항에 관한 것입니다.

1. 밭농업 경영에 있어 가장 큰 애로사항은 무엇입니까?

① 판로 확보의 문제

② 낮은 농산물가격

③ 노동력 확보의 어려움

④ 높은 생산비

⑤ 밭 기반정비 미흡

⑥ 낮은 기계화 수준

⑦ 기타( )

[세부문항] 귀하께서 1번 문항에서 1, 2, 3순위에 응답하신 애로사항에 한정하 여 응답하여 주십시오.

(1.1) 만약 밭농업에서 ‘낮은 농산물가격’이 귀하의 애로사항이라면 세부적인 가장 큰 문제는 무엇입니까?

① 농산물 저가정책

② 특정 품목 생산 과잉으로 인한 가격 폭락

③ 수입 농산물의 유입

(1.2) 만약 밭농업에서 ‘높은 생산비’가 귀하의 애로사항이라면 세부적으로 가 장 큰 문제는 무엇입니까?

① 높은 인건비

② 연료비, 종자, 자재비 상승

(가장 중요한 순으로 3가지 선택) 1순위: _____ 2순위: _____ 3순위: _____

(1.3) 만약 ‘밭 기반정비’가 귀하의 애로사항이라면 기반정비가 가장 필요한 부 문은 무엇입니까?

① 밭경지정리

② 밭관개시설정비

③ 밭경작로 정비

④ 종합정비

(1.4) 만약 밭농업에 있어 ‘낮은 기계화 수준’이 귀하의 애로사항이라면 가장 기계화가 필요한 단계는 무엇입니까?

① 경운‧정지 ② 파종‧이식 ③ 비닐피복 ④ 병해충 방제 ⑤ 잡초 방제 ⑥ 수확

2. 밭농업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향후 필요한 정책과제는 무엇입니까?

① 노동력 공급 원활화

② 고품질 농산물 품종‧생산기술 개발

③ 밭 기반정비사업 확대

④ 밭농업 기계화 품목 및 적용 단계 확대

⑤ 친환경농업 활성화

⑥ 농산물 생산량 조절을 통한 가격 안정화

⑦ 직거래 활성화

⑧ 수출농업 육성

⑨ 유통‧가공시설 확충

⑩ 지역농산물 홍보 및 브랜드화

⑪ 원산지표시제도 활성화

⑫ 밭농업 직접지불제 확대

밭경지정리 밭관개시설 밭경작로 정비

① 10% 미만

② 10~30% 미만

③ 30~50% 미만

④ 50~70% 미만

⑤ 70% 이상

밭경지정리 밭관개시설 밭경작로 정비

① 매우 필요하다

② 필요하다

③ 그저 그렇다

④ 필요하지 않다

⑬ 밭농업의 6차산업화

⑭ 기타( )

3. 귀하의 전체 밭 재배면적에서 기반정비가 되어 있는(또는 진행 중인) 밭 면적 의 비중은 어떻게 되십니까? 기반 종류별로 해당칸에 표시(√)하여 주십시오.

(3.1) 귀하의 기반정리가 이루어지지 않은 밭에 한정하여 기반정리의 필요성에 대해 표시(√)하여 주십시오.

(3.2) 밭 기반정비는 밭경지정리, 관개시설정비, 경작로 정비 등으로 농업활동 이 훨씬 용이해지는 대신 공사기간 휴경 및 토지 감보 등의 손실이 발생합니 다. 이러한 경우에 밭 기반정비사업에 참여할 의향이 있습니까?

① 예 ② 아니오 ③ 기타( )

(3.3) 밭 기반정비 시 보상 범위에 대한 귀하의 생각은 어떠하십니까?

① 필요에 의한 정비이므로 보상 필요 없음

② 토지 감보에 대한 보상

③ 영농보상

④ 토지 감보 및 영농 보상 모두 필요

⑤ 기타( )

4. 귀하는 수급조절을 목표로 주요 농산물의 생산 지역을 지정하는 주산지 조 성 정책 시행 시 참여하실 의향이 있습니까?

① 참여함 ② 참여하지 않음 ③ 기타( )

5. 한・중FTA 등 FTA 체결로 인한 농산물 시장 개방이 우리농업에 미칠 영향 력이 어느 정도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매우 크다

② 크다

③ 보통이다

④ 작다

⑤ 매우 작다

6. 향후 우리나라 밭농업 발전 가능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① 매우 긍정적이다

② 긍정적이다

③ 보통이다

④ 부정적이다

⑤ 매우 부정적이다

♧ 귀한시간 내어 답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부록

2

KREI 리포터 및 현지통신원 밭농업 현장 의견 조사

2015년 4월, 10월 두 번에 걸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리포터 및 현지통신원을 대상으로 온라인사이트, 이메일, 팩스, 우편을 통해 ‘밭농업 실태와 발전방안’에 관한 현장 여론을 조사하였다. 이에 주요 의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KREI리포터 는 전국 시・군당 1명 기준으로 구성된 오피니언 리더 그룹이며, KREI 현지통신 원은 약 3천여 명에 달하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표본농가로 설문답변 등을 통해 전국 각지에서 농업 생산 현장의 소리를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1. KREI 리포터 밭농업 현장 여론

2015년 10월 한 달간 농촌의 오피니언 리더 역할을 담당하는 KREI리포터를 대상으로 밭농업 실태와 경쟁력 제고 방안에 대해 의견을 조사한 결과 총 16명 이 응답하였다. 밭농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리포터들의 의견은 크게 3가지로 구분되는데 첫째 밭농업 기반정비・기계화 확대, 둘째 밭농업 투자 확대, 셋째

2015년 10월 한 달간 농촌의 오피니언 리더 역할을 담당하는 KREI리포터를 대상으로 밭농업 실태와 경쟁력 제고 방안에 대해 의견을 조사한 결과 총 16명 이 응답하였다. 밭농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리포터들의 의견은 크게 3가지로 구분되는데 첫째 밭농업 기반정비・기계화 확대, 둘째 밭농업 투자 확대, 셋째

문서에서 농업경영체 밭농업 인식 조사 (페이지 66-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