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방사선작업종사자 연도별 평균 피폭선량의 비교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4-57)

방사선 작업종사자의 표면선량 0.105 ±0.314 mSv보다 방사선 작업종사자가 아 닌 사람 0.117 ±0.578 mSv가 높았고, 심부선량은 방사선 작업종사자가 0.105

±0.316 mSv, 방사선 작업종사자가 아닌 사람 0.105 ±0.516 mSv으로 비슷한 선량 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8년과 2019년의 방사선작업종사자 표면선량은 각각 0.074 ±0.278 mSv, 0.086 ±0.245 mSv이며 방사선 작업종사자가 아닌 사람 표면선량을 각각 0.115 ±0.518 mSv, 0.119 ±0.625 mSv 으로 방사선 작업종사자에 비해 방사선 작업종사자가 아닌 사람의 표면선량이 높은 것으로 나 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p<0.001). 2015년 2016년 2017 년의 방사선 작업종사자 표면선량은 각각 0.125 ±0.383 mSv, 0.137 ±0.351 mSv, 0.166 ±0.381 mSv이며, 방사선 작업종사자가 아닌 사람 표면선량을 각각 0.102

±0.538 mSv, 0.120 ±0.592 mSv, 0.134 ±0.614 mSv 으로 방사선작업종사자의 평 균피폭선량이 높았다. 이 결과는 항상 방사선 작업종사자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항상 평균피폭선량이 높다고 할 수 없는 근거가 된다(Table 4.13)(Fig.

4.6).

year n Shallow dose

F deep dose

mean sd mean sd F

2015 Y 4,899 0.125 0.383

103.57 (p<.001)

0.126 0.395

54.43 (p<.001)

N 128,877 0.102 0.538 0.089 0.480

2016 Y 4,817 0.137 0.351 0.137 0.348

N 114,554 0.120 0.592 0.108 0.533

2017 Y 3,805 0.166 0.381 0.167 0.384

N 112,135 0.134 0.614 0.121 0.548

2018 Y 10,584 0.074 0.278 0.073 0.270

N 117,066 0.115 0.518 0.103 0.460

2019 Y 8,570 0.086 0.245 0.087 0.251

N 124,139 0.119 0.625 0.106 0.553

Table 4.13 Average exposure dose per year for radiation workers Unit: mSv

Fig 4.6 Average exposure dose per year for radiational workers

제3절 상대적위치(십분위수)를 이용한 피폭선량 분석

수집된 피폭선량의 히스토그램을 그리면(Fig. 4.7)이다. 분포는 왼쪽으로 치우 쳐 있고 오른쪽으로 꼬리가 기므로 피폭선량은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는다. 1절과 2절의 연구결과는 피폭선량이 정규성, 독립성, 등분산성을 따른다는 가정하에서 분석이 수행되었다. 하지만 피폭선량은 좌우대칭이 아니므로 정규성을 만족하지 못한다. 따라서 평균 피폭선량이 피폭선량의 대푯값으로 사용하는데 한계점이 존 재한다.

Fig. 4.7 Histogram of surface dose and depth dose

본 연구에서는 샘플링을 이용한 부스트랩과 사분위수를 이용하여 집단 간 차이 를 비교하였다. 부스트랩이란 표본의 resampling 방법의 일종으로 가설검정을 하 는데 있어 복원추출을 통해 확률변수를 생성하여 정확한 확률분포를 모르는 경우 통계적 가설검정을 수행할 수 있다. 관측된 n개의 데이터 중에서 중복을 허용하여 m개를 뽑고, 그것들의 평균과 사분위를 반복하면 평균과 중위수의 분포를 구할 수 있어 분포를 모르는 경우에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할 수 있다.

연구에서는 원 자료의 60 %를 샘플링한 자료를 5,000번 반복수행하여 생성된 5,000개의 십분위수의 분포를 통해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십분위수는 평균 에 비해 이상치의 영향이 적으므로 평균보다 이상치에 민감하지 않은 강건한 통계 량이다. 피폭선량이 높을수록 안전에 문제가 있으므로 본 연구는 50, 60, 70, 80, 90 분위수를 살펴보았다.

상대적 위치의 측도는 어떤 특정한 자료 값이 주어진 전체자료의 어떤 위치에 있는지를 알 수 있게 하며 사분위수, 십분위수, 백분위수, Z점수 등이 있다. 십분

위수는 관측자료를 10등분 하고, 그 가운데 번째의 값을 제 십분위수라고 한다.

이들 값은 자료의 10% 가 안에 20 %가 안에, , 90 %가 안에 들어 있다.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 보조지침 2에서도 참고 선량을 조사 데이터의 3/4 분위수 값을 사용하고 있어 피복선량 자료를 비교에 상대적 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4-5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