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참여 중학생의 신체적 자기 효능감이 학교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9-62)

운동의 심리적 효과는 행복감이나 즐거운 기분 자신감 등 다양한 심리적, 변인에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하며 상대적으로 불안 우울 스트레스 등 부정, , , 적 요인을 감소시키는 것이며 김석일( , 2004), 특히 자발적 스포츠 참여는 더 강한 관계를 보일 것으로 추측된다 이러한 점에서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참여 중학생의 심리적 상태는 상대적으로 긍정적 측면이 강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참여 중학생의 신체적 자기 효능감이 학 교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신체적 자기 효능감과, 학교생활만족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상관관계만으로는 변인들 간의 명확한 관계를 파악하기 어려우므로 본 연구가설을 중심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가설은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참여 중학생의 신체적 자기 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유능감과 자신감 매, 력감이 어떤 결과를 초래할 행동들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자신감으로 인해 학 교생활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했다 그 결과 신체적 자기. 효능감이 학교생활 만족의 하위 변인 중 전반적 만족과 인간관계 만족에 영 향을 주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뉴스포츠 참여 중학생들의 신체적 자기 효능감이 학교생활 에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전신옥(2008)의 연구와 중학교 스포츠

클럽 참여 중학생의 신체적 자기 효능감과 학교생활만족 고보미( , 2014), 방 과 후 체육특기적성활동이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을 보고한 신정현(2011)의 연구와 일치한다 이명자. (2005)에 의하면 청소 년의 신체적 자기 효능감의 증진은 체육활동 수행능력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는데 위와 같은 많은 연구에서와 같이 결국 운동을 통한 신체적 자 기 효능감의 개선은 체육활동 수행능력을 향상 시키고 이는 학교생활만족으 로 이어지는 시너지효과를 가져온다고 판단된다.

이는 과거 연구에서도 볼 수 있는데 홍선옥(1995)은 신체적 자기 효능감 을 높이는 방법으로 스포츠를 제시하였으며 신체활동은 신체에 대한 지각과, 자신감을 증진시키며 자신의 건강 및 행복감에 대한 긍정적 변화를 가져온, 다고 하였다(Gill, Kelly, William & Martin, 1994). 또한 이상희(2007)는 태권도 특기적성 교육집단과 비 교육집단의 신체적 자기 효능감에 대한 연구 에서 참여집단의 신체적 자기 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부분을 종합적으로 해석해보면 신체적 자기 효능감이 높아지면 학교생활만족 도에 상승효과가 있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고 신체적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스포츠 활동이 추천된다면 결국 학생들의 스포츠 활동이, 학교생활만족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는 결과를 도출할 것이다 특히 인관관. 계 만족에 높은 영향을 주었다는 것은 의미하는 바가 크다 현대 사회는 핵. 가족화로 인해 자녀들의 개인주의 성향이 강해지고 있고 이로 인한 사회성은 낮아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스포츠로 형성되는 인간관계. 만족은 교우관계에의 원만한 의사소통과 서로의 배려심을 키울 수 있는 수단 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하명남. (2006)은 체육수업 특성에 따른 체 육수업에 대한 만족도와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비교연구에서 신체적 자기효능 감과 체육수업 만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인 인지된 신체능력이 체육수업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따라서 학교현장에서 학생들에게 스포츠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확대하여 자발적 참여를 유도해야 할 것이다. 또한 임현철 의 연구에서 개인종목이 단체종목보다 학교생활만족에 긍정적인 것으 (2002)

로 나타나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종목 선정에 이런 부분이 고려된다면 학생들 의 학교생활만족을 높이는데 스포츠가 기여하는 부분이 높아질 것으로 사료 된다.

결론 및 제언 .

결 론 A.

본 연구는 방과 후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중학생들의 운동열정과 신체적 자기 효능감이 학교생활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여 일선의 지 도자에게 효율적인 수업 운영과 지도법의 지침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광주 전남 소재 중학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그 중 응답이 불성실한 25부를 제외한 275부를 연구 자료로 선정하였다 수집. 된 자료는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운동열정과 신체적 자기 효 능감이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p<.05 수준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첫째, 방과 후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중학생의 운동열정은 학교생활만족에 영향을 준다.

강박열정이 학교생활 만족도 중에 전반적인 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조화열정이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 다 인간관계에서 또한 강박열정이 부.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 고 조화열정이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방과 후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중학생의 신체적 자기 효능감은 학, 교생활만족에 영향을 준다.

유능감이 학교생활 만족도 중에 전반적인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자신감 또한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매력감에서도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능감이 학교생. 활 만족도 중에 인간관계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 고 자신감 또한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매력감.

에서는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을 종합해 보면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참여 중학생의 운동열정과 신체 적 자기 효능감은 학교생활 만족에 긍정적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으며 스포, 츠 활동이 운동열정과 신체적 자기 효능감을 증가시킨다고 연구를 통해 보았 을 때 매우 의미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 언 B.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와 진행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문제점을 기초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본 연구는 특정지역에 한정하였기 때문에 보다 다양하고 많은 지역에, 서 조사되어 일반화할 수 있는 자료가 후속연구가 이뤄져야 될 것이다.

둘째 운동열정이 수업만족과 물리적 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이유에 대, 해 보다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신체적 자기 효능감이 수업만족과 물리적 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이유에 대해 보다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참 고 문 헌

고보미(2014). 중학교 스포츠클럽 참여하는 중학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재미 학교생활만족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 , . 교육부(1997).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서․ . : .

강문영(2011). 체육전공 여대생의 운동열정에 따른 스트레스 강인성 및 심리 적 행복감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 . 권성호(2009). 운동몰입의 구성개념과 척도개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 .

대학교 대학원.

김경민(2009). 방과 후 스포츠활동 참여에 따른 남자 중학생의 신체적 자기 개념과 학교생활만족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대학원. . .

김경숙 외(2001). 학교체육과 지역사회체육의 협력을 통한 아동 및 청소년 체육의 발전방안 모색을 위한 연구(1). 한국사회체육학회지, 15(1), 9-33.

김문명(2011). 학교스포츠클럽활동이 학생건강 체력, 신체적 자기개면 및 학교수업 태도에 및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대구카톨릭 대학교. . 대학원.

김미자(2009). 일반계고등학생과 체육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만족 도 비교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대학원. . .

김석일(2004). 생활체육참여자의 목표성향에 따른 열정과 끈기 한국스포츠. 심리학회지, 20(4), 61-76.

김성배, 한상덕, 이상덕(2009). 골프참가자의 참가동기와 참가정도에 따른 몰입경험 및 정신 건강의 인과적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5, 1133-1142

김혜선(2009). 갬블링 열정척도를 통한 스포츠토토 이용객의 시장세분화

연구 미간. 행 석사학위 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

류동훈(1999). 초등학교 학생의 스포츠 활동 참여와 학교생활만족도 미간. 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배정숙(1998). 자아개념 및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적간의 관계 미간행 석사. 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신정현(2011). 방과 후 체육특기적성활동이 중 고등학생들의 신체적 자기· 효능감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중앙. , 대학교 대학원.

유진 정꽃님, (2008). 무용열정의 이원론적 모형 분석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 19(1), 163-175.

윤흥한(2005). 청소년의 체육활동 참가와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 미간행 석. 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

이명자(2005). 청소년의 체육목표성향, 귀인유형 및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체육활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대학. , 원.

이재관(1994). 청소년의 스포츠 참여와 스포츠 참여 장애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한국. 교원대학교 대학원.

이재관(1994). 청소년의 스포츠 참여와 스포츠 참여 장애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한국. 교원대학교 대학원.

이종원(2002). 운동기능이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미간. 행 석사학위논문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이현진(1992). 목표설정이 자기효능감 및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상명여자대학교 대학원. . .

임낙철(2008). 지체장애선수의 정서, 열정, 시합전략.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4), 111-127.

임명숙(1997).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

임종택(2015). 중학생이 자각하는 운동 행동변화단계가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체육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 대학원.

임현철(2002). 중학생의 체육특기적성 교육활동 참가와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 .

장상윤(2009). 중학생의 방과 후 자율체육활동과 신체적 자기개념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전신옥(2008). 뉴스포츠 참여 중학생들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체육수업 만족 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용인대학교 대. . 학원.

전환희(2013). 학교생활만족도가 학교폭력 경험유형과 학교폭력 태도에 미치 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 .

정상훈(2009). 중학생의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과 체육 수업 내적동기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대학원. , .

중부일보 2012, ‘학교폭력 가해자 3년간 高절반줄고 中3배늘어’, 2012년 월 일 검

07 18 색

http://www.joongboo.com/news/articleView.html?idxno=798743

천경민(2008). 청소년의 운동행동 변화단계 운동 자기효능감 자율성과 생활 만족도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 47(5). 299-308.

최재남(2015). 중학교 학교스포츠 클럽 참가자의 운동열정과 신체적 자기 효능감이 학교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 , 교 대학원.

하명남(2007). 체육수업 특성에 따른 체육수업에 대한 만족도와 신체적 자기 효능감의 비교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 한하나(2007). 중학생의 신체적 자아효능감이 체육수업태도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

홍선옥(1996). 운동 참여가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성역할 유형 변화에 미치 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 .

황준성(2014). 중학교 학교스포츠클럽 참여동기와 사회성 및 학교생활 만족 도와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 .

Alderfer, C. P. (1972). Existance, relatedness and growth: Human needs in organizational settings. New York: Free Press.

Bandura. A.(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Dishman, R. K.(1980). The influence of response distortion in assessing self-perceptioins of physical ability on attitude toward physical ability. Research Quarterlyf or exercise and sport, 51(2), 286-298.

Gill, D. L., Kelly, B. C., William, K., & Martin, J. J.(1994). The relationship of Self-efficacy andperceived well-being to physical activity andstair climbing in order adilts. Research Qo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65(4), 1115.

Jackson, P. W. (1968). Life in Classrooms. New York: Holt, Reinhart and Winston.

Mageau, G. A., Vallerand, R. J., Rousseau, F. L., Ratelle, C. F. &

Proven cher, P. J.(2005). Passion and Gambling: Investigating the Divergent Affective and Cognitive Consequences of Gambling.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35, 100-118.

Peterson, C., Seliman, M. E. P.(2004). Character stength and virtues :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NY: Oxford Univercity Press.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9-62)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