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민간자격 활성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및 자격 검정의 통합

■ 민간자격 활성화를 위해서는 사회적인 요구, 이를 관장 하는 기관, 체계적인 교육 기관 등이 필요함. 그러나 사 회적으로 교육훈련 기반 시설이 부실함에도 불구하고,

인증기준개발

직무수행표준 프로그램

기준 개발

프로그램개발 프로그램운영

직업능력인증

우수한 시설과 인적자원을 가지고 있는 실업계 고등학 교 및 전문대학의 활용 폭이 매우 제한적임.

■ 따라서 실업계 고등학교 및 전문대학이 사회적으로 기 여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목적을 가진 교육 프로그램들 을 운영할 필요가 있음. 따라서 민간자격 취득을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일선 학교들이 참여할 필 요가 있음.

■ 이를 위해, 본원에서 수행하고 있는 직무분석은 자격종 목 개발 및 출제 기준을 교육 프로그램과 통합적으로 개발하여 제시함으로써, 교육과 자격의 통합을 위한 노 력을 경주하고 있음.

■ 물론 본원에서 개발하고 있는 자격 종목이 현장과의 요

구와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으나 체계적인 의견 수렴을

바탕으로 이를 개선하여 나가고 있음.

토 론 3

「전문대학 및 실업계고등학교에서 직무분석 활용 방안」

에 대한 토론 : 직무분석에 의한 교육과정 개발 -허와

실-전문대학의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프로세스로서 DACUM을 기반으로 한 직무분석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직무분석에 의거하면, 산업체 전문 가의 의견이 교육과정 구축 및 수업 내용의 설계에 많이 반영됨으로써, 기존 의 교수 중심의 교육과정에 비해 산업체와 교육 현장과의 괴리감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필자도 역시 지난 4~5년간 이러한 프로세스로 교육과정을 개발하면서, 직 무분석에 의거한 교육과정 개발이 기존의 방법에 비해 많은 장점을 지니고 있음을 절실히 깨달았다. 그러나 반면, 기업체에서 사용하던 원래의 프로세 스를 최대한 충실하게 따르려고 하다보니, 장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리 많지는 않지만, 여러 가지 무리한 점이나, 개선되어야 할 사항도 발견하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필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직무분석에 의한 교육과정 개발 상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대하여 직무분석 각 단계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Process Process

Pre Pre--stepstep

Needs Needs analysis analysis Pre Pre--stepstep

Needs Needs analysis analysis

제11단 계단 계 Job &

Job &

TaskTask analysis analysis

제11단 계단 계 Job &

Job &

TaskTask analysis analysis

제22단 계단 계

Task Task verification verification

제22단 계단 계

Task Task verification verification

제33단 계단 계 Task/

Task/

Skill Skill Matrix Matrix

제33단 계단 계 Task/

Task/

Skill Skill Matrix Matrix

제44단 계단 계 Task/

Task/

Course Course Matrix Matrix

제44단 계단 계 Task/

Task/

Course Course Matrix Matrix

제55단 계단 계

Training Training Road Map Road Map

제55단 계단 계

Training Training Road Map Road Map

제66단 계단 계

IImplementationmplementation

& Revision

& Revision 제 제66단 계단 계

IImplementationmplementation

& Revision

& Revision

Verification & feedback Verification & feedback

방 법 방 법

l l자 료 조 사자 료 조 사

및및인 터 뷰인 터 뷰 l lConsensusConsensus

meeting meeting

l l1차1차panelpanel

Workshop Workshop

(1 (1일일))

l l설 문 조 사설 문 조 사

및 및분 석분 석

l l2차2차panelpanel

Workshop Workshop

(1 (1일일))

l l33차차panelpanel

Workshop Workshop

(1 (1일일))

l l33차차panelpanel

Workshop Workshop

(1 (1일일))

l l직 무 리 더직 무 리 더

Workshop Workshop

(1 (1일일)) l l설 명 회설 명 회 llRevisionRevision

Workshop Workshop

방 법 방 법

l l자 료 조 사자 료 조 사

및및인 터 뷰인 터 뷰 l lConsensusConsensus

meeting meeting

l l1차1차panelpanel

Workshop Workshop

(1 (1일일))

l l설 문 조 사설 문 조 사

및 및분 석분 석

l l2차2차panelpanel

Workshop Workshop

(1 (1일일))

l l33차차panelpanel

Workshop Workshop

(1 (1일일))

l l33차차panelpanel

Workshop Workshop

(1 (1일일))

l l직 무 리 더직 무 리 더

Workshop Workshop

(1 (1일일)) l l설 명 회설 명 회 llRevisionRevision

Workshop Workshop

Output

Output

llll직 무직 무SME SME 선 정선 정분 류분 류 l l추 진추 진계 획계 획

ll직 무직 무정 의정 의 l l인 력인 력분 류분 류 l l직 무직 무모 델모 델

llVVerificationerification

Sheet Sheet l lKey tasksKey tasks

llTask/Task/

Skill Skill Matrix Matrix

l l전 공 별전 공 별

필 요필 요 course course l lTask/Task/

Skill Skill Matrix Matrix

l l직 무 별직 무 별

Road map Road map l l직 무 별직 무 별

Course Course Profile Profile

l l세 부 전 공 별세 부 전 공 별

Road map Road map

l l세 부 전 공 별세 부 전 공 별

Course Course Profile Profile

Output

Output

llll직 무직 무SME SME 선 정선 정분 류분 류 l l추 진추 진계 획계 획

ll직 무직 무정 의정 의 l l인 력인 력분 류분 류 l l직 무직 무모 델모 델

llVVerificationerification

Sheet Sheet l lKey tasksKey tasks

llTask/Task/

Skill Skill Matrix Matrix

l l전 공 별전 공 별

필 요필 요 course course l lTask/Task/

Skill Skill Matrix Matrix

l l직 무 별직 무 별

Road map Road map l l직 무 별직 무 별

Course Course Profile Profile

l l세 부 전 공 별세 부 전 공 별

Road map Road map

l l세 부 전 공 별세 부 전 공 별

Course Course Profile Profile

먼저, 워크숍이 시작되기 전의 pre-step에서는 대상 직무 및 SME를 선정 하게 되는데, 실제로 이 과정이 전체 과정을 이끄는 데 있어 기초를 이루고 있다. 대상 직무의 선정은 다양한 산업체 인사와의 인터뷰를 통해 인력 수급 현황, 미래지향성 등의 여러 요소를 검토하여 판단하게 된다. 하지만, 거의 모든 전문가들은 전체적인 상황에 그리 밝지 못하기 때문에 정확한 인력 수 급 추이를 알기는 어렵다. 필자는 미국의 경우 매우 정교한 자료와 통계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한 바 있었으며, 실제로 이러한 작업은 국가나 공공기관 주도하에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하고 있다. 자체적 으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그나마 미진하지만 발표되고 있는 자 료들에 대한 분석, 국내외 신문이나 잡지 등에서 제시하고 있는 추이 분석, 다양하고 많은 산업체 인사와의 접촉 및 자료 수집 등이 아닐까 생각한다.

대상 직무가 정해진다 하더라도 SME 선정은 또 다른 어려움이다. 실제로 SME가 정해지면 3차례의 워크숍에 참여해야 하는데, 주로 대상이 되는 SME 는 현재 대학 입학생과 비슷한 수준에서 출발하여 성공한 전문가가 가장 좋

은 후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너무 높은 수준의 전문가를 초청하면, 실제로 우리가 교육현장에서 이룰 수 있는 것보다 너무 높은 목표를 제시하는 경우 가 많았다. 바람직한 SME 후보를 찾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앞서의 학 력적 조건과 대상 직무 분야에 대한 폭넓고 깊은 지식을 보유한 SME는 찾 는다해도 시간적인 제약이 있는 경우가 많았다. 인력 풀이 존재하고, 대상 산업체에 대한 양해를 쉽게 얻을 수 있는 길이 열렸으면 한다.

1차 워크숍부터 3차례의 워크숍을 제대로 이끌기 위해서는 진행자 (facilitator)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필자의 대학에서 여러 번 회의 진행을 맡아왔던 교수들에 의하면, 이는 매우 고통스러운 작업이라고들 한 다. 실제로 교수들은 진행자로서의 훈련을 받은 적이 없으며, 오히려 SME와 비슷하거나 더 뛰어난 전문적 능력을 갖춘 이들이므로, 워크숍 진행에 객관 성 유지를 위해 발언이 제한된다는 점이 그들을 괴롭히는 것이다. SME로서 의 역할을 원활이 수행할 수 있도록 훈련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설하거나, 전문 SME를 초청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면, 더욱 직무분석의 결과가 좋아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1차 워크숍의 결과로 작성된 직무 모델은 제한된 인원, 공간, 시간 내에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검증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 하다. 짧은 시간에 많은 사람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하여, 설문지를 작성하고 e-mail에 의해 결과를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설문에 응답하는 사람은 워크숍 에 참여한 SME에 비해 매우 적게 생각하기 때문에 실제로 그들의 판단이 정확하지 않은 경우도 많이 있었다. 가능하면, 직접 산업체 인사를 방문하여, 인터뷰 형식으로 설문에 대한 응답을 얻는 것이 더욱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다. 이러한 검증 작업에 있어서도 역시 인력 풀이 존재하며, 제도적 지원이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 든다.

2차 워크숍은 Key task를 결정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원래의 프로세스 에서는 앞선 단계에서의 설문지 분석을 통해 key task를 결정하는 것이지만, 설문응답자의 응답의 신빙성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한다면, 매우 위험한 결정 일 수 있다. 따라서, 설문응답을 권장사항으로 하여, SME들로 하여금 key task를 확정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 할 것으로 보인다. 일단 key task 가 확정되면, 각각에 대한 지식(k), 기술(s), 도구(t)를 추출하게 되고, 이로부 터 task-skill matrix가 구성된다. 이때, 각 k-s-t의 존재는 그 유무에 의해서만 판단되기 때문에 정보가 극히 제한된다는 단점을 가지게 되는 것으로 생각 된다. 따라서, 중요도 표시등의 개선을 통해 더 많은 정보를 포함하여, 뒤따 르는 작업에서 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좋지 않을까 한다.

3차 워크숍이 2차 워크숍과 분리되어 진행되는 이유는 2차 워크숍에서의 작업량이 매우 많고, 3차 워크숍 이전에 추출된 k-s-t로부터 이를 포함시킬 course들을 구상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2차 워크숍과 3차 워크숍 사이에 구성원들 사이에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지고 연이어 진행한다면, 힘들지만 두 워크숍을 하나로 합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실제로 산업체 전문가들에게 여러 번의 워크숍 시간을 요구하는 것은 매우 어렵기도 하기 때문이다.

최종적으로 road map과 course profile이 나오는데, road map의 경우는 대상 직무에 대한 단기강좌에 오히려 합당한 것이지, 이 자체가 대학의 커리 큘럼이 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커리큘럼이 되려면 여러 개의 road map이 합쳐지고, 다른 교육적 요소가 결합되어야 할 것이다.

Course profile 작성 시에는 특히 다음과 같은 점을 유의해야 한다.

첫째, Course는 반드시 한 학기 과목일 필요는 없다. 어쩌면 몇 시간 분량 일 수도 있고 두 학기 이상의 분량일 수도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