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을 가지고 있었다. ‘새문동 왕기설’에 의한 당대 광해군의 정치적 정당성

[그림 4-6] 경희궁의 권역 구분 자료: 필자 작성

서암

흥화문 인왕산

방공호

[그림 4-7] 경희궁지의 지형조건 자료: 필자 작성

궁궐정원은 그 시대 조경 또는 정원문화를 선도했던 것 중의 하나라 할 수 있다.63) 서궐도안에 정밀 묘사된 경희궁 궁궐 정원은 당대의 조영 기법을 보여준다고 볼 수 있으며, 경희궁 궁궐 정원은 조선시대 조경문 화를 대표하는 조경양식이라 할 수 있다. 현재는 사료적 가치가 있는 교 목들이 일부 남아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숭정전의 동남쪽 코너에 자리한 회화나무와 느티나무가 그것이다. 경희궁 궁궐정원의 식재원형을 추정할 수 있는 사료인 서궐도안과 궁궐지를 통해 살펴본 결과, 경희궁 의 식재 기법과 수종을 살펴보면 [그림 4-8], [표 4-1]와 같다. 조선시대 궁궐권역의 조경은 전통조경의 모든 기법이 집약되어 타 경관과는 다른 특수한 경관을 이루고 있으며, 이 또한 경희궁지의 중요한 보존 가치요 소가 된다.

[그림 4-8] 서궐도안에 나타난 경희궁의 식생 자료: 필자 작성

63) 진상철, “동궐도에 보이는 궁궐정원의 조영수법,” 『한국전통조경학회』 33호, 2015, pp.27

전각명 내용

2.2.2 경희궁지내 근현대 가구(街區) 특징과 역사건물의 고유언어

[그림 4-9] 경희궁지 일대 건축물 연도 조사 자료: 필자 작성

전매국관사 시설이 있던 경희궁지의 동측영역의 건축연도를 확인해본 결과 1950∼60년대 사이에 민간에게 토지가 불하됐을 것으로 판단된다.

경희궁지의 내에는 비교적 오래된 건축물들이 밀집되어 있지만 경희궁지 의 경계 밖으로는 대부분이 대규모 신축 아파트단지가 들어선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경희궁지의 북측영역에는 1950∼60년대 이후에 지어진 도시형 한옥들 이 밀집하고 있어 해방이후 근현대 도시주거문화의 변천과정과 당시의 거주민들을 모습을 연구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 라 판단된다.

2.2.3 경희궁지 일대의 소실 문화자원

경희궁지에는 경희궁의 전각들 외에도 다양한 소실 역사문화자원들이 존재한다. 기존의 지정문화재 및 등록문화재 외에도 경희궁지에서 소실 된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흔적을 전시하고 그 기억을 보존함으로써 경희 궁지에 존재하는 무형의 역사문화자원들을 활용한 역사도시경관의 가치 를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된 논의는 2008년 이코모스(ICOMOS)에서 발표한 에나메 헌장(Ename Charter)에서 찾아볼 수 있다. 에나메 헌장에서는 사적지의 해석과 전시(the interpretation and presentation of the heritage sites)에 대해 다루고 있다. 여기서 해석(interpretation)이란 ‘전반적으로 대중의 인식을 높이고 문화유산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것을 의미하며 전시 (presentation)는 사적지의 의미에 대한 정보, 물리적 접근 및 전시 인프 라의 개선을 통해 신중하게 계획된 문화유산의 정보의 소통을 강조한 다.67) 유형의 역사문화자원의 복원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는 창의적인 접 근을 통해 역사적 가치를 알리고 공유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의 활용이 가능하다.

67) 이코모스, 에나메 헌장, 2008, pp.4

육군무관학교 터 원각사 터

경희궁과 경운궁을 잇는 운교, 1902 강북 삼성병원 앞 돈의문 터 [그림 4-10] 경희궁지 일대 소실문화자원

중세시대 건물 발자취 전시, 영국 포장패턴의 활용, 아일랜드 더블린 대성당

중세시대 성벽 유적전시, 아일랜드 카탈리나 플라잉 보트 파빌리온, 호주

웨이파인딩 시설물, 아일랜드 보행데크, 아일랜드 포트 엘리자베스

지하철역 내부 유적전시, 그리스 중세시대 정원 전시, 아일랜드 로스하우스 [그림 4-11] 소실문화자원의 전시 사례

자료: Irish Walled towns Network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