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무기체계 사이버보안 강화방안 요약

IV. 무기체계 사이버보안 강화 방안

4.1. 무기체계 사이버보안 강화방안 요약

Ⅳ. 무기체계 사이버 보안 강화 방안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함으로써 사이버 공격에 따른 피해 가능성을 최대한 낮추 는 방안으로 무기체계 보안산업이라는 영역을 육성하여 보다 강력한 무기체계 사이버 보안영역을 구축하는데 이바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의 폐쇄적인 軍의 무기체계 환경에서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해 무기체계 보안취약점 식별 및 관리방안, 방산업체 보안관리 강화 방안, 무 기체계 전문인력 양성, 무기체계 악성코드 대응방안 및 ISMS-W 제안 등 총 5 개 항목으로 구분하여 무기체계 사이버 보안 정책을 제안한다.

1. 무기체계 보안취약점 식별 방안

Ÿ 무기체계 보안 관련 지침 및 제도 정비 Ÿ 무기체계 보안 전담기관 지정 운용 Ÿ 국방 버그바운티 제도 도입

Ÿ 무기체계 보안취약점 통합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운용 Ÿ 국제적 차원의 무기체계 보안취약점 관리 및 공유

2. 방산업체 보안관리 강화 방안

Ÿ 방산업체 보안관리 개선 Ÿ 공급망 보안관리체계 수립

3. 무기체계 전문인력 양성

Ÿ 무기체계 보안 전문 인력 양성

Ÿ 무기체계 보안 교육기관 지정 및 운용

4. 무기체계 악성코드 대응 방안

Ÿ 무기체계 전용 바이러스 백신 운용

Ÿ 무기체계 사이버 보안 테스트베드 구축 및 운용

5. 무기체계 사이버 보안 강화를 위한 기존 제도 융합 방안

Ÿ 기반시설 취약점 분석평가 기준 및 ISMS-P를 적용한 무기체계에 특화된 (Weapon system) 제안

[표 Ⅳ-1] 무기체계 사이버 보안정책 제안

본 논문에서 설계한 무기체계 보안영역의 상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무기체계 보안취약점 식별 및 관리 방안

무기체계 운용간 발생될 수 있는 무기체계 관련 지침을 재정비하여 무기체계 보안 강화하고, 무기체계 장비 도입 시 단계별 보안정책을 수립한다. 또한 무기 체계만 전담기관 지정을 통해 무기체계 사이버 인증 제도 시행 및 신뢰성 강화 한다. 그리고 사이버보안에 취약한 무기체계에 버그바운티 제도 적용을 통해 보 안취약점을 선재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민간영역의 우수 전문인력에 의한 무기체계 취약점 점검을 통해 잠재적 무기취약점을 제거하며 향후 해커들에게 금전적 지원을 통해 국방 사이버 인력으로 양성화 할 수 있을 것이다.

무기체계 보안취약점 통합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운용을 통해 무기체계 정비 및 도입부서에서 독립적으로 관리중인 무기체계에 대해 통합 관리함으로써 무기 체계별 효과적인 보안취약점 제거가 가능하며 보안이력 관리를 통해 체계적인 취약점 관리가 가능 할 것이다.

또한 통합데이터베이스를 내부 전용 온라인으로 구축하여 무기체계 운용 인력 에 의해 최신 보안취약점 확인 및 업데이트를 통해 보안약점 해소가 가능하다.

단, 모든 인원들에게 무기체계 보안 취약점 공유 시 해킹에 악용될 우려가 있어 통합데이터 베이스 접근은 체계별 실무자와 접속 가능하며, 전체적인 현황에 대 해서는 사이버사 및 군사안보지원사령부 등 보안전문기관에서 확인 및 통제 필 요하다.

마지막으로 국제적 차원의 무기체계 보안취약점 관리 및 공유를 통해 해외 무 기체계 도입시 계약 단계에서부터 무기체계 보안취약점 발생시 즉각 공유 및 유 지보수 우선 수행을 통해 구매 후 무기체계 보안 업데이트를 실시하지 않아 보 안취약한 상태에서 운용되지 않도록 선제적으로 조치가 가능할 것이다.

무기체계 보안 관제에 대해 개별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아니라 사이버사 등 통 합 관제체계 구축이 필요하며, 외국군 CERT와 교류 협력을 통해 북한 등 국가 를 배후로 하는 해커집단에 의한 무기체계 해킹 관련 기술 공유 및 협력체계 구 축을 통해 무기체계 보안 강화가 요구된다.

2) 방산업체 보안관리 강화 방안

방산업체에 대한 보안관리 기준을 수립하여 무기체계 정비 및 유지보수 단계 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무기체계 위협 요인 제거하며, 업체 출입인원에 의한 무기 체계 접근에 대한 보안 통제 강화한다.

그리고 미군처럼 방산업체 공급망 인증 제도 수립을 통해 공급망 단계에서 유 입될 수 있는 보안취약점을 선제적으로 수립하고, 軍의 보안정책에 적합한 무기 체계가 납품될 수 있도록 유도하며 무기체계에 안전한 제품 납품 여부에 대한 절차 수립 및 강구한다.

3) 무기체계 전문인력 양성

무기체계의 보안취약점을 진단할 수 있는 사이버 보안 전문 인력 양성한다. 또 한 무기체계 보안 교육기관 지정 및 운용을 해야 한다.

4) 무기체계 악성코드 대응 방안

무기체계에 적합한 전용 바이러스 백신을 구축하여 무기운용간 가용성 보장 하며, 무기체계에 적합한 백신 유포체계 구축 및 다양한 바이러스 백신에 의한 무기체계 점검으로 보안위협 제거한다.

무기체계의 가용성 보장을 위한 테스트베드 구축을 통해 운용단계 무기체계 보안위협 선제적 확인 가능하며 실전적 무기체계 보안 테스트가 가능해 레드팀 에 의한 보안위협 확인 여건 보장할 것이다.

5) 무기체계 사이버보안 강화를 위한 기존제도 융합방안

무기체계에 적합한 사이버 취약점 분석 및 평가 기준을 정립하여 무기체계에 특화된 점검 기준 및 자동화 점검툴 배포하며, 소프트웨어가 내장된 무기체계에 대한 점검 기준 정립한다.

무기체계별 ISMS 인증 방법을 적용하여 체계별 보안점검 기준에 의해 모든 장비에 대한 보안취약점 점검 후 안정성과 보안성에 대해 인증하는 무기체계 ISMS(가칭 ISMS-W) 시행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