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조선시대는 양반관료가 지배층인 중세봉건사회였다.과거제도는 새로운 인재의 등용을 위한 본질적 목적을 두고 있으나 지배층인 양반들이 자신의 세력을 유지 하기 위한 하나의 제도로도 사용되었다.당시 지배층이었던 사대부들은 무과(武 科)‧잡과(雜科)에 비하여 당시 사회 이념이었던 유학을 근본으로 하는 문과(文 科)를 중시하였다.사대부1)란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이 문과란 관료 선발에 있어 중요한 시험이었고,지배층의 이익을 대변하는 장치로서 활용되어졌다.2)따라서, 문과는 조선의 정치세력‧지배계층‧지배이념과 그 성격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연 구주제로 인식되어진다.

현재까지 조선시대 문과에 대한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진행되었다.하 나는 제도사적 측면에서의 연구이며,다른 하나는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을 이용한 문과 급제자에 대한 연구이다.지금까지 이러한 일련의 연구 성과들을 통하여 제도적․현실적 측면에서의 응시자격 조건,문과의 준비에 있어서 필요한 학제(學制)등 문과의 운영 실태와 급제자의 성분,급제자의 분관과 진출에 대해 서 대체적인 윤곽이 밝혀져 있다.3)

그런데 선행연구들의 경우,특정 시기의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중앙적

1) 사대부(士大夫)는 본래 5품이하의 관리인 ‘士’와 4품이상의 과리인 ‘大夫’라고 하는 문신관료의 의미를 갖 고 있다. 하지만 단순히 문신관료만의 의미하는 것이 아닌, 문신관료를 배출할 수 있는 독서인층(讀書人 層)과 나아가서 문‧무관료를 배출할 수 있는 가문이라는 뜻으로도 쓰였다.(李成茂, 「15세기 양반론」, 朝鮮 兩班社會硏究 , 一潮閣, 1995, 28쪽.)

2) 李成茂, 앞의 책, 26~60쪽.

3) 金町洛, 「朝鮮時代 科擧制度에 關한 一考」 論文集 第6輯(대구보건대학, 1983).

金昌鉉, 朝鮮初期 文科及第者硏究 (一潮閣, 1999).

朴弘甲, 「조선초기 문과 급제자의 분관과 진출」 사학연구 50권(한국사학회, 1995).

이원재, 「朝鮮前期 別試 硏究」 史學硏究 第50號(연세대학교 교육연구, 1998).

鄭時采, 「朝鮮王朝時代의 科學制度硏究」 論文集 第10輯(건국대학교, 1979).

車美姬, 「英‧正祖의 科擧改革政策 -科弊釐正綸音을 中心으로-」(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1985).

車長燮, 「朝鮮前期 文科及第者의 成分」 論文集 第27輯(三陟大學校, 1994).

, 「朝鮮後期 文科及第者의 成分」 大邱史學 第47輯(대구사학회, 1994).

한만봉, 정덕희, 김진욱 「조선왕조 과거제도 인사정책 연구」, 현대사회와 행정 15권(한국국정관리학회, 2005).

, 김진욱, 「朝鮮朝 科擧試驗 方式의 政策的 분석」 論文集 第23輯(혜전대학, 2005).

(이상 원창애, 「문과 급제자의 전력 분석」 조선시대의 과거와 벼슬 , 집문당, 2003, 60쪽.)

입장에서의 연구,응시자격에 관한 주된 관심,특정집단의 문과 급제자를 분석하 는 편중적 성향의 문제를 들어내고 있다.

특히,지방사적인 측면에서 문과연구는 미약한 상태이며,4)제주지역 역시 마찬 가지이나,양진건의 제주지역의 문과운영과 급제자의 실태 파악에 대한 연구인 제주교육행정사 5),「조선조 제주교육사 형성의 정책적 동인」6)과 김동전의 제주 유맥 육백년사 「조선조 제주의 과거운영과 입격자」7), 심재집 8)과 탐라실록 9) 등이 선행 연구로 시사점을 주고 있다.

우선,양진건의 제주교육행정사 ,「조선조 제주교육사 형성의 정책적 동인」에 서는 조선시대 제주의 유학교육을 설명하는데 있어,제주지역에서 치러진 문과운 영과 진신선생안(縉神先生案) 과 사마선생안(司馬先生案) 을 통하여 문과 급제 자의 명단을 제시하고 있다.하지만,연구의 주제가 ‘교육사’에 중점을 두어 문과 운영의 정책적 성향에 의한 문과설행과 급제자의 목록만을 나열하는 단편적 실 태분석만이 이뤄져 있다.

김동전은 제주유맥 육백년사 「조선조 제주의 과거운영과 입격자」에서 조선 시대 제주지역 과거의 운영실상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으며, 국조문과방목 과 탐라기년(耽羅紀年) , 진신선생안 에서는 급제자 명단을 제시하고 있다.그는 조 선시대 과거제도의 간략한 설명과 함께 문과급제증서인 백패식(白牌式)·홍패식 (紅牌式)을 제시하고,제주지방의 과거운영에 대하여 다양한 사료의 분석을 통해, 방목(榜目)과 과거답안지인 시권(試券)의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급제자의 분 석에 있어서는 사마선생안 ,‧ 진신선생안 ‧ 국조문과방목 ‧ 탐라기년 을 비교한 명단을 제시하여 자료의 정확성을 꾀하였으며, 사마선생안 과 진신선생안 에 대한 보완작업이 필요함을 주장하고, 국조문과방목 을 중심으로 제주지역 급제 인원수를 파악하고 있다.여기에는 다른 사료에 제시되는 고득종,고태필,고태정 에 대하여 이들이 제주지역 향시의 설행이전의 급제자인 관계로 제외시키며 급

4) 정훈, 「조선시대 남원지역 문과급제자에 대한 고찰」, 전북사학 제29호(전북사학회. 2007).

박노석, 「조선시대 전주출신 문과 급제자 현황」, 전북사학 제30호(전북사학회, 2007).

5) 梁鎭健, 濟州敎育行政史 (제주문화, 2001).

6) , 「朝鮮朝 濟州敎育史 形成의 政策的 動因」 韓國敎育史學 第21輯(한국교육사학회, 1999).

7) 金東栓, 「朝鮮朝 濟州의 科擧運營과 入格者」 濟州濡脈六百年史 (學文社, 1997).

8) 金錫益 저, 杏文會 편저, 心齋集 2(제주문화사, 1990).

9) 韓致文, 耽羅實錄 (韓進文化社, 1973).

제자의 시기별‧연령별‧전자(前資)‧역관(歷官)‧성씨별 분류를 통한 분석을 하고 있다.하지만,문‧무과 급제자를 통틀은 연구라는 점에서 문과 급제자의 분석에 서 다소 간략한 면이 있다.이외에 심재집 과 탐라실록 에서도 제주인으로 문 과에 급제한 인물들의 명단을 간략하게 소개하고 있다.

본고는 이렇게 선행되어진 연구들에 유의하면서,조선시대 제주지역의 문과운 영과 제주인으로 문과에 입격한 급제자들을 시기별‧지역별로 분석하고,그러한 분석을 통하여 나타나는 제주지역의 특징을 찾고자 한다.이에 문과 급제자들의 정확한 파악과 함께 문과운영 고찰에 중점을 두었음을 밝힌다.

본고에서는 급제자 인원 파악에 필요한 사료로서 국조문과방목 , 조선왕조실 록(朝鮮王朝實錄)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탐라지초본(耽羅誌草本) , 진신 선생안 , 사마선생안 , 탐라기년 , 탐라관풍안(耽羅觀風案) 을 중심으로 참고 하였으며,이들 사료와 선행연구들을 비교‧재확인하여 급제자의 인원수를 산정‧

분석해 보았다.10)

현재까지 조선시대 제주지역에서 파악된 문과 급제자의 인원수는 사료마다 차 이를 나타내고 있다.또한 조선 초기에 제주인으로서 문과에 급제한 제주 고씨 4 인의 경우,제주지역에서 향시(鄕試)가 치러지지 않았다는 점에 따른 급제의 포 함 여부와 국조문과방목 과 다른 사료에서 중복되지 않는 인물에 대한 포함 여 부가 문제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고의 조사에 따르면,제주지역의 문과 급제자의 인원은 총 58명으로 구분할 수 있다.기준에 따른 급제 인원수의 파악이라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지만,선 행연구와 각 사료에 나타난 인원수와 서로 다른 인물들의 기재방법에 따른 차이 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일차적으로 중심이 되는 기본사료로서 국조문 과방목 에 기록된 문과 급제자에 문제점이 있는 입격자를 조선왕조실록 과 다 른 사료의 비교확인 작업을 통하여 급제인원수를 산정하였음을 밝힌다.

이렇게 문과 급제자를 58인으로 산정한 이유는, 국조문과방목 에서 거주지에

10) 본고에서 인용한 조선왕조실록 은 2007년 12월 2일자 온라인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을 참조하 였고, 국조문과방목 과 사마방목 의 경우는 온라인 한국학 DB 조선문과방목과 사마방목을 참조하 였다. 또한 승정원일기 는 온라인 국사편찬위원회 승정원일기를 참조하였고, 탐라기년 의 경우 1993년 에 한국인문과 학원에서 편찬한 한국근대읍지 48권 전라도 15편을 참조하였다. 탐라관풍안 의 경우는 1992년 제주문화원에서 편찬한 심재집 2를 참조하였다. 탐라지초본 은 2007년과 2008년에 제주교육 박물과에서 편찬한 탐라지초본 상‧하를 참조하였다.

따라 제주‧정의‧대정의 인물을 구분하여 조선왕조실록 의 기록과 일치여부와 방목의 기록이 명확하지 않을시 다른 사료와 실록의 기록 비교를 통한 판단,마 지막으로 제주인인지에 대한 판단에 초점을 맞추었다.

우선 Ⅱ장에서는 선행되어진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사료를 재확인하는 차원에 서 조선시대 문과운영의 개괄적 내용설명과 제주지역의 문과운영양상을 살펴봄 으로써 제주지역에서 설행된 문과고시를 통하여 급제자가 배출된 원인을 알아보 도록 하겠다.Ⅲ장에서는 선행연구의 급제인원을 국조문과방목 을 중심으로 사 료의 재확인작업을 통해 산정된 제주지역의 문과 급제자 58명을 시기‧지역별 분 류를 통하여 급제자의 각 성관과 전자(前資)와 교육수준을 통한 실태 파악을 하 고 급제자의 인간관계를 통한 제주지역의 유력세력의 변동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Ⅳ장에서는 급제자의 향후 출사를 통하여 제주지역 문과 급제자의 특징을 살펴 보도록 하겠다.

이처럼 본 논문은 앞서 연구되어진 자료를 재검토하여 제주지역의 특징적인 문과운영과 급제자의 추이를 분석함으로써 제주지역만이 가지고 있던 특수성과 조선시대 제주지역 문과운영양상의 변화와 급제자들의 특징을 찾고,이를 통하여 조선시대 제주사회의 실상을 파악하는 실마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고 하겠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