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상 1827년(순조 27) 존호의례의 절차와 의식의 특징, 그리고 지식 활용 을 통해 존호에 대한 명분을 어떻게 강화했는지 살펴보았다. 조선시대 모든 국왕이 생전에 존호를 받은 것은 아니었다. 그 이유는 존호란 국왕을 찬미 하는 이름인데, 겸양을 국왕의 최고의 미덕으로 생각한 유교사회에서 국왕 에게 큰 부담을 주기 때문이었다. 그럼에도 국왕이 존호를 받은 이유는 왕 위의 정당성을 대내에 알릴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었다. 존호 를 올리는 주최자는 영의정에서 1776년(영조 52)을 기점으로 대리청정 중 인 동궁으로 변화되었고, 효명세자는 이 때 사례를 준거로 삼아 순조와 순 원왕후의 존호의례를 기획하였다.

효명세자가 의례를 주도하게 되면서 국왕과 왕비는 같은 공간에서 존호 를 받게 되었는데, 내외의 구별이 엄격한 조선사회에서 영의정이 왕비에게 직접 책보를 전달할 수 없었지만 세자가 의례를 주도하게 되면서 왕비에게 도 직접 책보를 올릴 수 있게 되었던 것이다. 이에 따라 의식은 내연의 성격 으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고종대에도 이어졌다.

국왕에게 존호를 올리는 이유 중 하나는 왕실의 경사였다. 1827년(순조

27) 효명세자가 순조와 순원왕후에게 존호를 올린 대외적 명분은 원손의 탄생이었고, 한편으로는 1776년(영조 52) 대리청정을 시작하며 정조가 영 조에게 존호를 올린 사례를 근거로 삼은 것이었다. 효명세자는 원손의 탄생 을 순조와 순원왕후의 공으로 돌리며 뺷중용뺸․뺷서경뺸․뺷시경뺸에 나오는 역대 제왕들의 치세와 비교하며 순조를 높였고, 순원왕후에 대해서도 주 문 왕의 어머니인 太任과 비교하며 존호에 대한 명분을 강화해 나갔다. 또한 효명세자는 세자시강원에서 영․정조대 편찬 된 제왕학 교재들로 교육을 받았다. 이 교재들은 역대 국왕들의 업적을 교훈 삼고 이를 이어 간다는 계 지술사의 의미를 강조한 책들로서, 효명세자는 존호의례 역시 역대 선왕들 이 존호를 받았던 예에 따라 순조가 존호를 받는 것은 선왕의 사업을 잇는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나아가 요순으로 표현된 순조의 이미지는 그 뒤를 잇 는 효명세자가 그 권위를 물려받아 자신도 요순의 될 수 있다는 의미를 가 진다. 이는 존호를 올려 순조의 권위를 높이면서 효명세자 역시 후계자로서 의 입지를 견고하게 할 수 있는 명분도 될 수 있었으며, 그 근거는 조선시대 지식을 대표하는 유교경전에서 찾았다.

참고문헌 1. 자료 뺷詩經集傳뺸 뺷書經集傳뺸 뺷中庸뺸 뺷說苑뺸 뺷宋史뺸 뺷宣祖實錄뺸 뺷肅宗實錄뺸 뺷英祖實錄뺸 뺷正祖實錄뺸

뺷純祖實錄뺸 뺷哲宗實錄뺸 뺷高宗實錄뺸 뺷承政院日記뺸 뺷日省錄뺸 뺷國朝續五禮儀뺸

뺷肅宗仁敬王后仁顯王后仁元王后尊崇都監儀軌뺸(奎13267) 뺷仁元王后英祖貞聖王后尊崇都監儀軌뺸(奎13286)

뺷仁元王后英祖貞聖王后尊崇都監儀軌뺸(奎13292) 뺷仁元王后淑嬪英祖貞聖王后尊崇都監儀軌뺸(奎13269)

뺷顯宗明聖王后英祖貞聖王后貞純王后上號都監儀軌뺸(奎13265) 뺷景慕宮儀軌뺸(奎13632)

뺷純祖純元王后上號都監儀軌뺸(奎13344) 뺷慈慶殿進爵整禮儀軌뺸(奎14535) 뺷代廳時日錄뺸(奎12842)

뺷高宗神貞王后孝定王后明成王后加上尊號都監儀軌뺸(奎13475) 뺷文苑黼黻뺸(奎古378)

뺷列聖朝繼講冊子次第뺸(奎3236)

2. 저서 및 논문

강영민, 「조선시대 上尊號의 정치․의례적 기능 연구」,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국립국악원, 뺷(역주)己巳進表裏進饌儀軌뺸.

김종수, 뺷조선시대 궁중연향과 여악연구뺸, 민속원, 2001, 82면.

______, 「조선시대 大殿․中殿 尊號儀禮의 변천과 用樂 고찰」, 뺷한국음악사학 뺸 49, 한국음악사학회, 2012, 146면~163면.

______, 「왕대비 加上尊號儀의 의례와 음악 -정조대(1776∼1800) 뺷尊號都監儀 軌뺸를 중심으로」, 뺷韓國音樂史學報뺸 47, 한국음악사학회, 2011.

______, 「조선시대 대왕대비․왕대비 尊號儀禮의 정비과정과 用樂 변천」, 뺷한국 음악연구뺸 52, 한국국악학회, 2012.

김문식, 뺷정조의 제왕학뺸, 태학사, 2007, 183면.

______, 「영조의 제왕학과 뺷御製自省篇뺸」, 뺷藏書閣뺸 27, 한국학중앙연구원, 2012, 258~259면.

김미라, 「朝鮮後期 玉冊 內函 硏究」,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김백철, 「조선의 유교적 이상국가 만들기」, 국학연구 17, 한국국학진흥원, 2010, 279~280면.

______, 뺷두 얼굴의 영조- 18세기 탕평군주상의 재검토뺸, 태학사, 2014.

김형찬, 「조선시대 지식생산체계 연구방법과 지식사회의 층위」, 뺷民族文化硏究뺸 65, 민족문화연구원, 2014, 14~18면.

육수화, 뺷조선시대 왕실교육뺸, 민속원, 2008, 175면.

정호훈, 「18세기 君主學 학습서의 편찬과 뺷羹墻錄뺸」, 뺷韓國思想史學뺸 43, 한국 사상사학회, 2013, 234~246면.

조항범 외, 뺷역주 어제자상편(언해)뺸, 도서출판 역락, 2006.

Abstract

The Progression and Its Meaning of Eulogistic Title Offering Ritual in 1827

*

112)

Examining the Strengthening of Justification by Applying Knowledge -Park, Na-ye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dure and meaning for the bestowment of honorable titles done by King Sunjo and Queen Sunwon in September 9, 1827 (27th year of King Sunjo). The ritual was led by Prince Hyomyeong who was managing the state affairs on behalf of the king. Exceptionally, King Sunjo and Queen Sunwon got Eulogistic Title Offering Ritual together in Jagyeongjeon and the form of ritual became more similar to palace banquet. Such changes continued in King Gojong times.

Prince Hyomyeong’s bestowment of honorable titles to King Sunjo and Queen Sunwon was justified by the birth of his son. Also, the bestowment was supported by the case where King Jeongjo Eulogistic Title Offering Ritual to King Youngjo as he started state affairs in behalf of King Youngjo in 1776 (52th year of King Youngjo).

King Sunjo and Queen Sunwon were credited for the birth of Prince Hyomyeong’s son. Prince Hyomyeong also praised the achievements of King Sunjo by referring to the peaceful reign of ancient kings including King Yo, King Sun in 뺷The Mean뺸․뺷Book of Documents뺸․뺷Book of Songs뺸.

Prince Hyomyeong also justified eulogistic title offering ritual to Queen Sunwon by comparing her with King Wen of Chu’s mother and wife. In addition, Prince Hyomyeong was educated in the special institute for prince with the leadership textbooks written during King Youngjo and King

*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2017S1A6A3A01079180)

** Ph.D. candidate, Department of History, Dankook University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