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호주 영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은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관점에서 생태 적 자연 환경 역량을 추구하고, 영유아를 둘러싼 환경, 가족, 다양한 인종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교육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교육은 놀이 를 기반으로 실행하고 있었다. 이는 그들이 살고 있는 호주의 지역 특성과 문화적 적합성을 살리는 교육으로 EYLF에서 제시한 내용과 실제에 근거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환경을 이용한 체험적인 교육 과 영유아들의 현재, 그리고 미래의 삶의 문제에 지속가능성의 원칙 을 반영한 교육을 실천하고 있었고 무엇보다 그들의 발달과 인권을 존중한 아동친화적인 교육이 이루어짐을 발견할 수 있었다. 호주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관점으로 살펴 본 EYLF 교육실제가 한국의 영 유아교육에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호주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은 교육과정에 내포되어 있으며 환 경교육으로 한정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국가실행원칙의 첫 번째 는 모든 학교의 교육과정에 환경교육을 비롯한 지속가능발전교육과 관련된 교과를 계획하고 교육내용을 정립하고 실천하는 것이다. 이 는 영유아기 부터 시작해야 함을 강조하고 호주의 EYLF 교육내용과 실제에도 지속가능발전교육이 도출되어 있다. 한편, 한국의 경우는 영유아교육과정에 지속가능발전교육이 포함되어 있긴 하지만 양적으 로 미비할 뿐 만 아니라 핵심가치인 사회, 경제, 환경영역도 불균형 하게 구성되어 있다(신은수, 박은혜, 2012; 유영의 외, 2013). 지속가 능발전교육은 넓은 의미에서 환경교육, 생태교육이 아니라 지속가능 한 사회를 만들고 변화시키기 위한 가치, 태도, 사고에 관한 교육이

므로 지속가능한 삶에 대한 전체성이 담겨져 있어야 한다. 따라서 한국 영유아교육과정 내용에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핵심내용인 사회, 경제, 환경적 개념의 균형은 물론 기존 교육과정의 재정향 관점을 반영하여 통합적이고 삶에 대한 태도와 변화를 추구할 수 있는 교육 과정으로 구성해야 한다.

둘째, 한국의 영유아교육에서 실행은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내용을 실제 상황에 직접 연관 시킬 수 있는 실천적 교수법이 필요하다. 호 주 EYLF 교육실제에는 교사들의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근거한 뚜렷한 교육철학이 존재한다. 그것은 영유아의 권리를 인정해 주고 스스로 의 자율성을 부여하면서 그들이 미래사회에 지속가능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자연을 체험하고 다루게 하는 것, 자신들과 관련된 다양 한 문화를 이해하도록 하는 것, 그럼으로써 지식, 신념, 삶의 태도를 변화시키는 교육으로 놀이를 통해 실천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비 해 한국의 교사들은 지속가능발전교육이 필요하다고 느끼면서 스스 로가 전문성이 부족하다고 생각하고 있고 교수방법에 있어서도 매체 나 강의에 의존하고 있어(정기섭, 2010), 이는 마치 ‘지속가능발전교 육’이 아니라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교육’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 다. 따라서 앞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은 영유아의 흥미와 그들의 권 리인 놀이를 통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교수법으로 출발하여 능동적 으로 문제해결을 키우고 그 문화에 적응하고 다양한 가치를 지닐 수 있는 교수법이 필요하며 변화되는 삶속에 적용해야 하는 교육의 실 제, 현실적으로 유용하고 가능한 교육과정의 적용을 실천하고자 하 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끝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행하기 위해 무엇보다 지속가능교육

의 진정한 의미와 개념인식이 필수적이다. 이는 현재 우리가 살아가 고 있는 사회 뿐 만 아니라 잎으로 지향하고 도달해야 하는 미래사 회에 관계되어 지기 때문에 지식위주의 교육이 아니라 의식, 사고, 태도의 변화가 강조되어야 하는 것이다. 지속가능발전교육은 일반적 으로 알고 있는 학습의 유형 -알기위한 학습, 행동하기 위한 학습, 존재하기 위한 학습, 함께 살아가기 위한 학습- 과 더불어 자신과 사 회를 변화시키기 위한 학습이 요구된다(조우진, 2012). 이는 외적인 부분을 강조하는 보여주기 식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이 아니라 실제 필 요함을 인식함으로써 주인의식을 함양하고 사고능력을 배양하여 생 활양식의 변화하고 그것이 외부로 도출되어 실천적 모습을 보이는 교육인 것이다.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조사한 정기섭(2010)은 지속가능발전교육 개념에 대한 인지도가 낮으며 그 의미 파악이 안 되기 때문에 대부분 현장에서 환경교육으로 치우쳐 있거나 능동적인 교육법을 행하지 못하고 있다고 하였다. 지속가능 한 삶을 추구하고자 한다면 삶이 변화해야 하고 그 삶은 교육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교육 또한 변해야 한다. 교육의 변화 중심 에는 당연히 교사, 교수법의 변화가 존재한다. 따라서 교사의 인식변 화는 매우 중요하다. 앞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인식 재고찰, 개념 이해를 위한 연수 프로그램은 꾸준히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종합하자면, 지속가능발전교육은 오늘날 인식하게 되는 환경문제 들, 사회현상들의 변화들로 인한 인간과 자연, 인간과 인간관계가 깨 지지 않고 건강한 관계로 유지하고 인간이 보다 나은 삶을 영위한 노력의 시작으로 일어난 교육으로 한 나라에서만 이루어지는 교육이 아니라 서로가 연동되어 전 지구적인 교육으로 행해져야 한다. 또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은 학교교육이전인 영유아기 부터 시작되는 평생교 육이어야 한다. 영유아기는 인간 삶의 초기과정으로 기초적인 가치 관, 삶의 이해, 태도, 행동양식 등이 발달하는 시기로 지속가능성의 인식을 증진시키고 교육적 경험이 제공되어 습관화를 이루도록 할 수 있는 중요한 시기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의 영유아교육에 지 속가능발전교육의 성공적인 실현을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호주의 지속가능발전교육 관점에서 살펴 본 EYLF의 교육과정내용과 실제에서 시사하고 있는 바를 기초하여 영유아의 발달, 인권을 존중 하고 인정해주고 이들이 미래시회에 적응하고 잘 살아가도록 이끌어 주는 실천적 교육으로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지속 가능발전교육의 명확한 정의 규정과 실천적, 통합적, 간 학문적 접근 이 함께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는 호주의 지속가능발 전교육을 실행하고 있는 교육현장을 살펴보면서 이를 적용하고 있는 EYLF의 교육과정을 접목시켜보았다. 현장에서 살펴보지 못한 지속가 능발전교육에 대한 다양한 가치를 드러내지 못한 한계가 있으며 호 주의 EYLF로만 한정되어 연구한 아쉬움이 있으므로 추후 지속가능 발전교육을 유아교육현장에서 잘 행해지고 있는 타국가와의 비교연 구나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내용이 다양한 측면에서 실현되고 있는 폭 넓은 현장연구가 요구된다.

참고문헌

곽노의, 박원순, 이상원(2013). 유아를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8(4), 419-436.

김규수(2012). 아동존중 교육과 교직원의 자질. 홀리스틱교육연구, 16(2), 1-18.

Australia Government Department of Education(2009). Early Years Learning Framework.

Commonwealth of Australia.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Education(2010). Educator's Guide to the Early Years Learning Framework of Australia. Commonwealth of Australia.

Elliot, S. (2010). Essential, not optional: Education for sustainability in early childhood centres. Exchange, 2, 34-37.

Campbell, C. & Sherington, G.(2006), “A Genealogy of an Australian System of Comprehensive High Schools: The Contribution of Educational Progressivism to the One Best Form of Universal Secondary Education(1900–1940)”.

Paedagogica Historica, 42(1-2), 191-210.

DEH(2005). Education for sustainable future. Canberra: Curriculum Corporation.

Johnson, J. E., Christie, J. F.,& Wardle, F.(2006). 놀이, 발달, 유아교육(이진희, 손원경, 안효진, 유연옥 공역).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OECD(2012). Starting Strong : Quality toolbox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aris: OECD.

Porter, T. B.(2005). Identity subtext in the discursive construction of sustainability, Electronic Journal of Radical Organization Theory, 9(1), 102-115.

Race, R.(2011), Multiculturalism and Education. London & NewYork: Continuum.

UNESCO(2005). United Nations Decad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005-2014: International implementation scheme. Paris, France: UNESCO.

UNESCO(2008). The Contribu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a sustainable society.

Unesco.

Virdee, S. & Cole, M.(2000). “Race and racism and resistance”, M. Cole(ed.), Education, Equality and Human Rights, London and New York: Croon Helm.

Abstract

Australia’s EYLF educational content and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