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맺음말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1-89)

교육 과정에서 교과서가 차지하는 비중과 영향은 매우 광범위하고 중요하다. 학 습에 있어 교과서를 배제하고 교육 과정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이다. 이 에 본고에서는 변화된 교육 과정과 새로운 교과서에 수록된 고전문학의 개괄적 특 징을 살펴보았고, 특히 상소문은 수록된 교과서의 학습 활동을 중심으로 분석하였 다.

Ⅱ장에서는 2007년 개정 중학교 국어 교육과정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급변하게 변하는 사회와 문화의 환경 속에서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변화 요구에 따라 다 매체, 다문화와 같은 언어적 · 사회적 환경 변화에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향으로 변화되었음을 살펴보았다. 또한 개정된 7학년의 검정 교과서 23 종을 대상으로 수록된 고전문학 작품의 특징을 알아보고 장르별로 나누어 분석하 였다. 1종이었던 국정교과서가 23종의 검정교과서로 바뀌게 된 후 고전문학의 수 록 또한 많은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작가로는 박지원의 작품이 다수 수록 되었고, 다양한 장르의 작품들이 수록되었다.

Ⅲ장에서는 7학년의 ‘건의하는 글’의 내용 요소, 글의 수준과 범위에 대해 살펴 보았다. ‘건의하는 글’을 통해 살면서 직면하게 되는 문제들을 합리적이고 원만하게 해결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는 것이 강조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고전문학 중에서 도 상소문은 ‘건의하는 글’의 제재로 활용되어 여러 교과서에 다양하게 수록되었는 데 이를 토대로 수록된 작품이 각 교과서에서 어떻게 구성되었고 학습 활동은 어 떤 내용인지 분석하였다. 그리고 상소문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2007년 개정 국어 교육과정에서 7학년이 학교 현장에 적용된 것은 채 2년도 되 지 않는다. 그러므로 실제로 수업에 적용되어 나타나는 각각의 국어 교과서나 제 재, 학습 내용에 대한 평가는 아직 이르다. 하지만 학습자나 교수자의 입장에서는 자신들이 배우고 가르치는 교과서 뿐만 아니라 다른 교과서의 내용에 대해서 전혀 무관심할 수는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고에서 분석한 고전문학과 상소문에 대한 연 구가 이러한 요구의 충족에 작으나마 보탬이 될 수 있음에 의의를 둔다.

앞으로 이 연구에서 분석된 자료를 바탕으로 수업의 실제적인 학습 방안과 같은 구체적인 논의와 연구가 계속되기를 바란다.

<참고 문헌>

1. 교과서 및 지도서

제7차 중학교 국어 · 생활국어 교과서

교육 인적 자원부, 중학교 국어 1-1 , 대한 교과서 주식 회사, 2006.

교육 인적 자원부, 중학교 국어 1-2 ,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2006.

교육 인적 자원부, 중학교 국어 2-1 , 대한 교과서 주식 회사, 2006.

교육 인적 자원부, 중학교 국어 2-2 , 대한 교과서 주식 회사, 2006.

교육 인적 자원부, 중학교 국어 3-1 , 대한 교과서 주식 회사, 2006.

교육 인적 자원부, 중학교 국어 3-2 , 대한 교과서 주식 회사, 2006.

교육 인적 자원부, 중학교 생활 국어 1-1 , 대한 교과서 주식 회사, 2006.

교육 인적 자원부, 중학교 생활 국어 1-2 ,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2006.

교육 인적 자원부, 중학교 생활 국어 2-1 , 대한 교과서 주식 회사, 2006.

교육 인적 자원부, 중학교 생활 국어 2-2 , 대한 교과서 주식 회사, 2006.

교육 인적 자원부, 중학교 생활 국어 3-1 , 대한 교과서 주식 회사, 2006.

교육 인적 자원부, 중학교 생활 국어 3-2 , 대한 교과서 주식 회사, 2006.

교육 인적 자원부, 중학교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 , 대한 교과서 주식 회사, 2006.

2007년 개정 7학년 국어 · 생활국어 교과서 김대행 외, 중학교 국어 1-1 , 천재교육, 2010.

김대행 외, 중학교 국어 1-2 , 천재교육, 2010.

김상욱 외, 중학교 국어 1-1 , 창비, 2010.

김상욱 외, 중학교 국어 1-2 , 창비, 2010.

김종철 외, 중학교 국어 1-1 , (주)도서출판 디딤돌, 2010.

김종철 외, 중학교 국어 1-2 , (주)도서출판 디딤돌, 2010.

권영민 외, 중학교 국어 1-1 , 새롬교육, 2010.

권영민 외, 중학교 국어 1-2 , 새롬교육, 2010.

남미영 외, 중학교 국어 1-1 , (주)교학사, 2010.

남미영 외, 중학교 국어 1-2 , (주)교학사, 2010.

노미숙 외, 중학교 국어 1-1 , 천재교육, 2010.

노미숙 외, 중학교 국어 1-2 , 천재교육, 2010.

박경신 외, 중학교 국어 1-1 , 대교, 2010.

박경신 외 중학교 국어 1-2 , 대교, 2010.

박영목 외, 중학교 국어 1-1 , 천재교육, 2010.

박영목 외, 중학교 국어 1-2 , 천재교육, 2010.

방민호 외, 중학교 국어 1-1 , 지학사, 2010.

방민호 외, 중학교 국어 1-2 , 지학사, 2010.

송하춘 외, 중학교 국어 1-1 , (주)박영사, 2010.

송하춘 외, 중학교 국어 1-2 , (주)박영사, 2010.

왕문용 외, 중학교 국어 1-1 , 대교, 2010.

왕문용 외, 중학교 국어 1-2 , 대교, 2010.

오세영 외, 중학교 국어 1-1 , 해냄에듀, 2010.

오세영 외, 중학교 국어 1-2 , 해냄에듀, 2010.

우한용 외, 중학교 국어 1-1 , 두산동아, 2010.

우한용 외, 중학교 국어 1-2 , 두산동아, 2010.

윤여탁 외, 중학교 국어 1-1 , (주)미래엔컬처그룹, 2010.

윤여탁 외, 중학교 국어 1-2 , (주)미래엔컬처그룹, 2010.

윤희원 외, 중학교 국어 1-1 , (주)금성출판사, 2010.

윤희원 외, 중학교 국어 1-2 , (주)금성출판사, 2010.

이남호 외, 중학교 국어 1-1 , (주)미래엔컬처그룹, 2010.

이남호 외, 중학교 국어 1-2 , (주)미래엔컬처그룹, 2010.

이삼형 외, 중학교 국어 1-1 , (주)도서출판 디딤돌, 2010.

이삼형 외, 중학교 국어 1-2 , (주)도서출판 디딤돌, 2010.

이숙 외, 중학교 국어 1-1 , (주)유웨이 중앙교육, 2010.

이숙 외, 중학교 국어 1-2 , (주)유웨이 중앙교육, 2010.

이숭원 외, 중학교 국어 1-1 , 좋은책 신사고, 2010.

이숭원 외, 중학교 국어 1-2 , 좋은책 신사고, 2010.

이용남 외, 중학교 국어 1-1 , (주)지학사, 2010.

이용남 외, 중학교 국어 1-2 , (주)지학사, 2010.

이충우 외, 중학교 국어 1-1 , 웅진씽크빅, 2010.

이충우 외, 중학교 국어 1-2 , 웅진씽크빅, 2010.

조동길 외, 중학교 국어 1-2 , 비유와 상징, 2010.

조동길 외, 중학교 국어 1-2 , 비유와 상징, 2010.

김대행 외, 중학교 생활 국어 1-1 , 천재교육, 2010.

김대행 외, 중학교 생활 국어 1-2 , 천재교육, 2010.

김상욱 외, 중학교 생활 국어 1-1 , 창비, 2010.

김상욱 외, 중학교 생활 국어 1-2 , 창비, 2010.

김종철 외, 중학교 생활 국어 1-1 , (주)도서출판 디딤돌, 2010.

김종철 외, 중학교 생활 국어 1-2 , (주)도서출판 디딤돌, 2010.

권영민 외, 중학교 생활 국어 1-1 , 새롬교육, 2010.

권영민 외, 중학교 생활 국어 1-2 , 새롬교육, 2010.

남미영 외, 중학교 생활 국어 1-1 , (주)교학사, 2010.

남미영 외, 중학교 생활 국어 1-2 , (주)교학사, 2010.

노미숙 외, 중학교 생활 국어 1-1 , 천재교육, 2010.

노미숙 외, 중학교 생활 국어 1-2 , 천재교육, 2010.

박경신 외, 중학교 생활 국어 1-1 , 대교, 2010.

박경신 외, 중학교 생활 국어 1-2 , 대교, 2010.

방민호 외, 중학교 생활 국어 1-1 , (주)지학사, 2010.

방민호 외, 중학교 생활 국어 1-2 , (주)지학사, 2010.

송하춘 외, 중학교 생활 국어 1-1 , (주)박영사, 2010.

송하춘 외, 중학교 생활 국어 1-2 , (주)박영사, 2010.

왕문용 외, 중학교 생활 국어 1-1 , 대교, 2010.

왕문용 외, 중학교 생활 국어 1-2 , 대교, 2010.

오세영 외, 중학교 생활 국어 1-1 , 해냄에듀, 2010.

오세영 외, 중학교 생활 국어 1-2 , 해냄에듀, 2010.

우한용 외, 중학교 생활 국어 1-1 , 두산동아, 2010.

우한용 외, 중학교 생활 국어 1-2 , 두산동아, 2010.

윤여탁 외, 중학교 생활 국어 1-1 , (주)미래엔컬처그룹, 2010.

윤여탁 외, 중학교 생활 국어 1-2 , (주)미래엔컬처그룹, 2010.

윤희원 외, 중학교 국어 1-1 , (주)금성출판사, 2010.

윤희원 외, 중학교 국어 1-2 , (주)금성출판사, 2010.

이남호 외, 중학교 생활 국어 1-1 , (주)미래엔컬처그룹, 2010.

이남호 외, 중학교 생활 국어 1-2 , (주)미래엔컬처그룹, 2010.

이삼형 외, 중학교 생활 국어 1-1 , (주)도서출판 디딤돌, 2010.

이삼형 외, 중학교 생활 국어 1-2 , (주)도서출판 디딤돌, 2010.

이숙 외, 중학교 생활 국어 1-1 , (주)유웨이 중앙교육, 2010.

이숙 외, 중학교 생활 국어 1-2 , (주)유웨이 중앙교육, 2010.

이승원 외, 중학교 생활 국어 1-1 , 좋은책 신사고, 2010.

이승원 외, 중학교 생활 국어 1-2 , 좋은책 신사고, 2010.

이용남 외, 중학교 생활 국어 1-1 , (주)지학사, 2010.

이용남 외, 중학교 생활 국어 1-2 , (주)지학사, 2010.

이충우 외, 중학교 생활 국어 1-1 , 웅진씽크빅, 2010.

이충우 외, 중학교 생활 국어 1-2 , 웅진씽크빅, 2010.

조동길 외, 중학교 생활 국어 1-1 , 비유와 상징, 2010.

조동길 외, 중학교 생활 국어 1-2 , 비유와 상징, 2010.

2. 단행본

김대행, 『국어교과학의 지평 ,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김민환, 『한국언론사 , 사회비평사, 1996, p.85.

김한식,『실학의 정치사상 , 일지사, 1985.

교육과학기술부,『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Ⅱ 국어, 사회, 도덕 , 2008.

남미영 외,『중학생을 위한 옛글 교과서 , 일지사, 2010.

신두환,『선비, 왕을 꾸짖다 , 달과소, 2009.

이호선,『왕에게 고하라 , 평단, 2010.

정병선 외,『고전문학의 향기를 찾아서 , 돌베개, 2007.

최인자,『국어교육의 문화론적 지평 , 소명, 2001.ui 홍서여,『삼가 전하께 아뢰옵니다 , 창조사, 2005.

3. 논문

경일남, 「고전소설에 삽입된 상소문의 양상과 기능」,『한국어문학회 제49집, 한언 어문학회, 2002.

성당제, 「약천 상소문의 문예미와 현실대응」,『인문과학 제36집, 성균관대학교 인 문과학연구소, 2005.

성현창, 「율곡의 사회개혁사상: ‘상소문’과 ‘동호문답’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1989.

송성채, 「면암 최익현의 척사위정사상에 관한 고찰: 상소문에 나타난 민족의식을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신두환, 「‘상소문’의 문예미학 연구」,『한국한문연구 제33집, 한국한문학회, 2004.

염은열, 「상소문의 글쓰기 전략 연구-‘간타위소’를 중심으로」,『국어교육 제3권,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1996.

오인환 · 이규완, 「상소의 설득구조에 관한 연구: 시무상소문을 중심으로」,『한국언

론학보 제47권 3호, 한국언론학회, 2003.

이규완, 「상소에 인용된 고사의 설득 용도에 관한 연구: 태조~명종실록의 상소기사를 중심 으로」, 한국언론학보 , 제48권 4호, 한국언론학회, 2004.

유석영, 「조선 중종조 상소문에 관한 고찰: 상류문신의 분석을 중심으로 」,『논문 집 9, 수원대학교, 1991.

윤하나, 「상소문을 활용한 화법 교육 방안 연구: ‘강경-제술 논쟁’을 중심으로 」, 성신여대 석사학위논문, 2009.

장덕순, 「붓의 힘, 그 힘의 문학: 고발문학으로서의 상소문」,『문학사상 16, 문학 사상사, 1974.

조정옥, 「고전 문학 제재 활용 방안 연구: 중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고려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장영만, 「고전소설의 효과적 교육방법」,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최장원, 「허생전의 현대적 의미와 교육적 가치」,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최병선, 「최만리 상소의 국어학사적 의의」,『한국언어문화 제40집, 한국언어문화 학회, 2009.

최인자, 「조선시대 상소문에 나타난 설득방식과 표현에 관한 연구: 간폐비소와 간 타위소를 중심으로」,『선청어문 24,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1996.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1-8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