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마무리하며

문서에서 문제 (페이지 33-36)

수업의 주체는 결국 학생과 교사이다. 수없이 많은 교육내용에 대 한 논의, 교수학습방법들이 제시되고 있지만 이를 수업에서 실제 실 현하는 것은 교사이고 따라서 교사의 관점이 중요하다. 세계시민교 육의 구체적 교육내용과 지향점을 찾기 위해 수업 전문가인 교사의 충분한 개념 이해와 주체적인 관점 정립이 강조되는 이유이다. 현장 교사들의 수업을 돕기 위한 많은 자료들이 개발․배포되고 있다. 그 러나 이를 수업에 적용하려면 각 교사만의 스타일로 더욱 구체화·재 구성되는 절차를 거쳐야 하며, 많은 수업시수와 학교 업무를 처리하 는 상황에서 이를 적극 활용하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수업에 실제 적용한 사례들이 널리 공유되고 현장 교사들이 적절히 참고할 수 있 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시민교육의 패러다임 변화를 크게 세 가지로 확인하고 이를 반영한 지구촌 문제 주제에 대한 실행연구를 실시하 였다. 각 영역별 수업 진행에 따라 학생들의 평가지와 소감문, 수업 중 발화 내용에서 패러다임의 변화 내용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물론 모든 학생들이 성취 목표를 달성하거나 적극 참여한 것은 아니 지만 사회과의 흥미를 높이고 지구촌 문제에 대한 관심을 높인 것은 분명해 보인다. 실행연구가 학생들과 함께 수업하는 과정에 대한 분 석으로 이루어져 여러 요건들을 고려해야 하고 특히 학생들이 학습 하는 데 피해가 가지 않도록 실시하는 과정에서 많은 불편함과 문제 점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행연구는 교육의 현장을 가장 잘 아는 교사가 교육활동을 탐색해보는 의미 있는 과정으로 교사 자신

에 대한 수업 반성과 고찰 이외에도 해당 분야의 수업을 진지하게 진행해보고자 하는 후행 연구자와 교사들에게 실질적 도움이 되는 중요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결과, 세계시민교육의 패러다임 변화를 반영한 수업을 위해서는 풍부한 사례와 함께 학생 중심의 탐구 학습 이 이루어지기 위한 충분한 수업 시수의 확보가 중요한 조건임을 확 인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학생들이 수업 내용을 자신의 삶과 연 결 지어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도록 구체적 개념 이해를 바탕으로 한 활동 중심의 수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주제에 관한 내용의 구체적 범위 설정과 이를 체계적으로 반영한 교과서 구성이 필요하다. 또한, 상황에 맞는 변화의 흐름과 학습 내용을 인지하고 적절한 교수학습방법을 활용하는 교사들의 전문성이 필요할 것이다.

참고문헌

강순원(2014). 국제이해교육 맥락에서 한국 글로벌시민교육의 과제. 국제이해 교육연구 9(2). 1-31.

교육부(2015a). 2015 개정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교육부(2015b).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6학년 사회교과서.

교육부(2016). 2016년 교육부 업무계획(2016.1.25.).

김용신(2013). 글로벌 시민교육론. 파주: 이담.

김진희(2015). Post 2015 맥락의 세계시민교육 담론 동향과 쟁점 분석. 시민 교육연구 47(1). 59-88.

김현덕(2014). 국제이해교육의 방향설정을 위한 국가 간 최근 동향 비교연구 –영국․미국․일본을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24(6). 117-139.

남호엽(2016). 글로벌 교육의 내용과 방법. 서울: 학지사.

명지원(2016). 홀리스틱 교육의 시각에서 바라본 교육패러다임의 변하와 교

육적 인간상. 홀리스틱교육연구 20(4). 1-18.

박환보․조혜승(2015). 한국의 세계시민교육 연구동향 분석. 교육학연구 54(2). 200-227.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역(2014). 글로벌시민교육: 21세기 새 로운 인재 기르기. UNESCO(2013),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eparing learners for the challenges of the 21st century.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2015). 유네스코가 권장하는 세계시 민교육 교수학습 길라잡이.

은지용(2009). 사회과 교사의 수업 전문성 제고를 위한 멘토링 체제 개발. 시 민교육연구 41(3). 113-138.

이성회 외(2015). 세계시민교육의 실태와 실천과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15-25.

정우탁(2015). 유네스코는 어떠한 교육을 추구하는가? 모두를 위한 국제이해 교육.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서울: 살림터.

최종덕(2014). 글로벌 시민교육의 쟁점과 과제. 시민교육연구 46(4), 207-227.

한경구․김종훈․이규영․조대훈(2015). SDGs 시대의 세계시민교육 추진 방 .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홍미화(2005).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이론적 논의. 사회과교육 44(1).

101-124.

(2010). 초등 사회과 수업 전문성 재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0(3), 599-618.

Davies, Harber & Yamashita(2005).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 Needs of Teachers and learners. Centre for International Education and Research(CIER). University of Birmingham.

Kniep, W. M.(1986), Defining A Global Education By Its Content, Social Education 50(6). 437-446.

Schön, D. A. (1983), Reflective Practitioner. New York: Basic books.

UNESCO(2013).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역, 세계시민교육:

학습 주제 및 학습 목표(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opics and Learning Objectives)

Abstract

문서에서 문제 (페이지 33-3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