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Ⅱ. 이론적 배경

2) 운동과 항산화

활성산소에 의한 세포손상은 세포막의 인지질 분자의 손상을 의미하며, 지질과 산화 단계과정을 통해 지방산 조성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유동성과 기능을 저하시 킨다. 활성산소에 의해 생체막에 생성된 지질과산화는 세포막 성분들을 비특이적 으로 공격하여 세포막의 생물학적 기능을 상실하게 하고, 활성산소의 작용에 의한 세포손상의 부산물인 MDA는 근 조직 세포막 손상시 그 유출이 증대된다(Zima et al., 1997). 많은 연구자들은 장기간의 지속적 유산소성 운동이 활성산소에 대한 신체방어 능력을 개선시켜 운동에 의해서 증가된 지질과산화를 감소시키며, 이러

한 결과는 산화제거 효소체계의 활성증대를 의미하며, 적응의 결과로 생각된다고 하였다(Reznick et al., 1992). McArdle 등(2002)은 규칙적인 운동이 항산화계를 향 상시킨다고 하였으며, 더 나아가 운동은 산화적 손상에 의한 복구시스템을 자극하 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Radak et al., 1999). Powers 등(1992)은 10주간의 트레 드밀 지구성 운동이 골격근 항산화 효소의 증대를 유도할 수 있다고 하였고, Kanter 등(1986)은 9주간 수영 훈련 후 쥐의 간과 심장, 그리고 혈중의 SOD, CAT, GPx 활성에 변화가 있으며, 21주 훈련 후에도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고 보고하였다. Kim 등(1996)은 식이 제한과 운동이 항산화효소에 미치는 영향을 연 구한 결과 식이 제한은 항산화효소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18.5개월 간의 지구 성 운동이 항산화효소를 증가시켰다고 보고하고 있다. 또한 Parkhouse 등(1995)은 마우스에게 유산소운동을 실시한 결과 GPx, CAT 수준이 증가하였다고 보고하고 있고, Somani 등(1995)도 쥐를 대상으로 7.5주간 트레드밀 운동을 실시한 결과 대 조군에 비해 SOD가 130% 증가됨을 보고하였다. 이와 같이 지구성 운동은 조직의 항산화 능력을 향상시키며(Ji, 1995), 이러한 항산화 능력의 적응은 심한 운동 시 산소 섭취량의 증대에 의해 발생하는 free radical에 대한 세포의 중요한 보호 작 용을 의미한다(Leewenburgh et al., 1997). 반면, 항상 지구성 훈련이 항산화 방어 능력에 긍정적인 결과만을 보고한 것은 아니다. Laughlin 등(1990)은 지구성 운동 이 항산화 방어능력의 증가를 가져오지 않는다고 하였으며, Tiidus 등(1996)은 8주 간 유산소 운동이 항산화 적응 능력을 향상시키기에 충분하지 않다고 보고하고 있다. 한편, 일시적인 격심한 운동 중에는 과산화 수준이 증가되며, 이에 따라 인 체방어 시스템은 증가된 지질과산화 반응을 더 이상 조절할 수 없다(Davies et al., 1982). Brady 등(1979)은 탈진운동이 지구성 훈련을 하지 않은 동물에서 지질 과산화물의 증대를 보고하고 있으며, 단시간의 심한 운동에 의한 스트레스는 골격 근의 항산화효소와 항산화 방어체계에 의해 보상을 받지 못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Ji et al., 1992). Tiidus 등(1999)은 일반적으로 radical은 훈련에 적응되지 않은 상태에서 1회성 운동은 조직에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한다고 보고하고 있고,

Alessio 등(1988)은 45m/min로 1분간 고강도 운동 후 근조직 내 백근 섬유에서 약 157%, 적근 섬유에서 약 167% 정도의 MDA 수준이 상승한다고 하였으며, Ko 등(1998)은 7일간 수영운동을 시킨 결과 radical 생성계인 잔틴 산화효소가 유의하 게 증가하였다고 보고하고 있어, 단기간 또는 일회적인 격렬한 운동은 과잉 radical을 생성하여 지질과산화를 촉진시킨다고 보고하고 있다(김현태 등, 2002).

이렇듯, 휴식 시 인체는 ROS의 유해한 작용에 대항하기 위한 비효소적, 효소적 항산화 기능을 갖추고 있는데(Ji, 1994), 산화적 반응과 항산화 능력 사이에 생리 학적 균형은 심한 신체적 활동에 의해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를 종합해 볼 때, 신체활동량이 적은 생활패턴에서 운동 또 한 혈중 지질조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어 심혈관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도움이 되는 반면, 과도한 운동은 산소소비량을 증가시켜 과잉의 자유라디칼과 지질과산 화물이 생성되어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조직의 손상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경우 항산화제의 도입은 산소소모량의 증대로 발생하는 자유라디칼로부터 세포의 손상 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므로, 산화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천연 항산화물질의 연 구와 활용이 적극 요구되고 있으며(윤군애, 2006), 혈중지질저하와 항산화 효과를 지닌 마늘과 함께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은 운동영양학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가치 가 있다고 사료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