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도시농업의 의의와 필요성

제1절 도시농업의 발전 배경

베버(Weber)는 도시란 경제적으로 정의할 때 “농업보다는 주로 교역을 통해 살아가는 사람들이 모여사는 정주공간”이라고 말했다.1) 그러나 도시와 농업의 관계는 명확하게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도 인정하고 있다. 베버가 주장하는 것과 같이 도시가 성장하 면 할수록 도시 내 토지를 자체 식량 공급용으로 이용할 기회가 줄어든다면 도시농업은 베버의 명제에 반하는 현상이 될 것이다. 멈퍼드(Mumford)는 유럽 중세도시의 주민들은 집 뒤뜰에 채원이 있었으며 도시 내에서 농업적 직업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도 많았다고 적고 있다.2) 월터스(Walters)는 “수렵채취에서 농업으로의 전이는 직접적으로 일어났다 기보다는 최초의 농업은 텃밭과 같이 어쩌면 원예의 형태였을 것이다”고 주장하고 있 다.3) 제이콥스(Jacobs)는 도시농업이 농촌농업보다 앞섰다고 주장한다. 도시에서 곡식을 생산하고 가축을 기르고 있을 때 아직 전문적으로 농업으로만 살아가는 농촌은 나타나 지 않았다는 것이다.4) 이렇게 볼 때, 도시농업은 농촌지역에서 행해지고 있는 일반적인 농업형태보다 훨씬 자연적이고 오래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서울에서 광의의 도시농업은 조선왕조 성립 이후 수 백 년 동안 내려오던 전통적인 것이었다. 친잠 또는 양잠 권장을 목적으로 하는 잠실은 서잠실(연희동), 동잠실(현재의 잠실), 남잠실(잠원동) 등이 서울 근교에 있었다. 권농동에서는 조선시대에 내농포가 있 었는데 내농포는 궁중에 공급하는 채소를 가꾸는 밭으로 내시들이 이를 맡았다. 지금 연희동 근처도 내수용의 논밭이 있었던 듯 1456년에 세조가 이곳에서 모내는 것을 시찰 하였다고 하며 고추를 심었다는 고초전(苦草田)도 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지금의 방송통 신대학 자리는 서울배추의 산지로 유명했다. 의주로 1가에는 미나리골, 을지로 5가에는 미나리논이 있었다고 하며, 이로 미루어 보아 저습지대에는 미나리밭이 상당히 있었다 고 짐작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서울 곳곳에서 채소가 경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5)

한편 도시농업이 발전한 배경에는 지구온난화 문제가 있다. 기후위기 시대를 맞아 이 산화탄소 저감을 통한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해 도시농업이 전 세계적으로 크게 주목받 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는 2004년 불량 만두소 파동, 2010년 배추 파동 등을 거치며 도 시농업에 대한 시민의 관심이 증가하기 시작했다.

약식동원, 오소렉시아 너보사(Orthorexia Nervosa) 등의 말이 나오는 가운데 건강과 음 식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싹트고 있다. 이제 농촌의 도시화시대가 가고 도시의 농 촌화시대가 오고 있는 가운데 전 세계에서 도시농업이 커다란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

제2절 도시농업의 의의

연자원과 도시폐기물을 (재)사용한다.

CAST(Council on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02)에 따르면, 도시농업은 생산, 가공, 판매, 유통, 그리고 소비와 관련한 전통적 농업활동에서부터 다원적 효용을 제공하는 서비스까지, 광범위한 관심영역을 관통하는 복잡한 체계이다. 다양한 관심영 역은 휴양과 여가, 경제적 활력과 기업가 정신, 개인의 건강과 복리, 공동체의 건강과 복리, 경관의 미화, 그리고 환경복원과 개선을 포함한다.

RUAF(Resource centres on Urban Agriculture and Food security: 2007)에 따르면 도시 농업은 도시 안과 주변에서 식물이나 동물을 기르는 행위로 도시경제와 생태의 한 부분 을 차지하며 도시체계 중 식량체계로 기능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도시농업을 “도시 행정구역 내와 근교를 포함한 도시공간에서 이루어 지는 모든 농사활동”으로 정의한다(<그림 2-1> 참조). 하지만 이 연구에서는 여가 및 공 익형 도시농업만을 다루고 영리 목적의 상업농은 다루지 않기로 한다.

<그림 2-1> 도시농업과 식량체계

자료: Kimberley Hodgson, Marcia Caton Campbell and Martin Bailkey, 2011, Urban Agriculture: Growing Healthy,

2. 도시농업의 유형 분류

구분 형태 내용

Growing Healthy, Sustainable Places,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p14

<표 2-1> 도시농업의 형태

제3절 도시농업의 필요성

1) 환경보전

5) 환경교육

도시농업 경작지는 흙과 같이 하는 생활을 잃어버린 시가화지역 시민에게 흙과 접촉하는 장소로 서, 자연적 체험의 기회를 제공한다. 작물의 재배를 통하여 사람들에게 교육적인 기능을 발휘한다.

6) 여가활동

도시농업 경작지는 재배의 즐거움과 수확의 기쁨을 이용자에게 주면서 가족에게 레크리 에이션 공간을 제공하는 동시에 참여자들에게 여러 가지 여가활동을 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7) 보건휴양

햇볕과 녹색이 풍부한 도시농업 경작지는 여러 이용자가 자신의 능력이나 처지에 맞 는 규모로 경작하면서 땀을 흘림으로써 건강증진 기능을 가지며, 허브 등을 이용하는 등으로 원예요법 기능도 기대할 수 있다.

8) 사회복지

고령화가 진전되는 가운데, 도시농업 경작지는 고령자의 활력 있는 활동공간을 제공한다. 심 신장애자의 야외생활공간으로 또는 요양자의 재활의 장으로서 사회복지적 기능이 기대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