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도금사업장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17-123)

Ⅳ. 결과 및 고찰

4.2 사업장별 악취물질의 기여도 평가

4.2.2 도금사업장

데하이드, 폼알데하이드, VOCs 물질이 소량 검출되었으며, 생산 및 처리공정을 Fig. 4.33에 나타내었다.

원 료 탈지제

(계면활성제) ➜ 탈 지

수 세

염산 ➜ 산처리 가스상

물질발생 ➡ 흡수 시설

수 세 ZnO, NaCN

Na2S, CrO3

➜ 도 금

(아연바렐)

염산 ➜ 산처리

(칼라) 가스상

물질발생 수 세

건조시설

포 장

출 하

Fig. 4.33. Ha-PL-1 factory produce and handling process.

Ha-PL-2 사업장은 냉장고 도어부품을 니켈․크롬 도금 처리하여 출하하는 사업장으로 작업장 안에서는 약품냄새가 약하게 감지되었으나, 사업장 부지경계에서는 냄새가 감 지되지 않았고, Ha-PL-3 사업장은 백색가전 부품, 자동차 부품, 기타 부품들을 전기아 연도금 처리하여 출하하는 사업장이다. 두 사업장 모두 방지시설은 흡수시설을 운영하

고 있으며, 배출가스를 분석한 결과 암모니아가 0.8 ~ 2 ppm 정도 검출되었고, 아세트 알데하이드, 폼알데하이드, VOCs 물질들이 미량 검출되었다.

Ha-PL-4 사업장은 소구경 강관을 제조하는 사업장으로 원재료인 강판을 조관하여 황 산아연 도금처리와 도장처리를 거쳐 출하하는 사업장으로 부지경계선에서는 냄새를 감 지 할 수 없었다. 방지시설은 세정시설로, 배출가스를 분석한 결과 폼알데하이드가 2 ppm 정도 검출되었고, 이산화황, 황화수소, 암모니아, 알데하이드류, VOCs 물질이 미 량 검출되어 나머지 사업장과 약간 다른 양상을 보였다.

도금사업장의 공정은 대부분 유사하며, 주로 사용되는 약품으로는 탈지제인 계면 활성제, NaOH, 산처리제인 염산, 황산, 질산, 도금약품인 황산니켈, 염화니켈, 황산 아연, 기타약품으로 NaCN, Na2S, CrO3, ZnO 등이 있다.

1. 악취발생원

가. 산․알칼리 처리시설에 의한 악취발생

작업장에서 발생되는 악취는 주로 공정에서 다량 사용되는 염산, 황산, 가성소 다 등의 사용 약품에서 발생되는 산․알칼리 물질에 의한 냄새이며, 산․알칼리 처리 작업 조가 덮개시설 없이 방치되고 있어 작업장 내로 약품냄새가 그대로 배출되고 있 었고, Fig. 4.34에 산처리, 화성처리, 도금공정의 모습을 나타내었다.

(a) acidizing (b) chemical

conversion treatment (c) plating process Fig. 4.34. Photographs of acidizing(a) and chemical conversion treatment(b) and plating process(c).

2. 이론희석배수

Fig. 4.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금사업장의 주요 악취물질의 농도 비율은 암모 니아가 57.9 %를 차지하고, 다음으로 폼알데하이드가 30.4 % 〉톨루엔 4.3 % 로 나타났다.

그러나 Table 4.10의 이론희석배수로 살펴보면 농도비율이 가장 높았던 암모니아 는 전체 이론희석배수의 19.16 %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농도비율은 1.8 % 해당하는 아세트알데하이드가 이론희석배수에 대한 비율은 59.0 %로 가장 높게 나 타났다. 그리고 황화수소는 농도 비율은 0.1 % 이었으나 희석배수 비율은 13.1 % 로 세 번째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도금사업장에서 발생되는 악취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은 알데하이드류 중 아세트알데하이드와 질소화합물 중 암모니아, 황 화합물 중 황화수소로 추정된다.

Mean Concentration

NH3

57.9 % F-Alde

30.4 %

Toluene 4.3 %

Theoretical Dilution rate

H2S 13.1 %

A-Alde 59.0 %

NH3 19.1 %

Fig. 4.35. Percentage of odor material concentrations and theoretical dilution rate in plating facilities

Table 4.10. Odor material concentrations and theoretical dilution rate of prevention facilities outlet in plating facilities

Odorous Compounds

Mean concentration

(ppb) (n=4)

Percent (%)

Odor threshold

(ppb)

Theoretical Dilution

rate

Percent (%) Hydrogen sulfide 2.32 0.1 0.50 4.6 13.1 Methyl mercaptan 0.00 0.0 0.12 0.0 0.0 Dimethyl sulfide 0.00 0.0 0.12 0.0 0.0 Dimethyl disulfide 0.00 0.0 0.28 0.0 0.0 sulfur dioxide 19.05 1.1 55 0.3 1.0 Ammonia 1012.42 57.9 150.00 6.7 19.1 Trimethyl amine 0.04 0.0 0.11 0.3 0.9

Acetaldehyde 31.28 1.8 1.50 20.9 59.0 Propionaldehyde 0.00 0.0 1.50 0.0 0.0

Butylaldehyde 0.00 0.0 0.32 0.0 0.0 I-Valeraldehyde 0.00 0.0 0.19 0.0 0.0 n-Valeraldehyde 0.00 0.0 0.71 0.0 0.0 Formaldehyde 531.30 30.4 500 1.1 3.0 Acrolein 0.00 0.0 3.6 0.0 0.0 Acetone 6.18 0.4 42000 0.0 0.0 Crotonaldehyde 0.00 0.0 23 0.0 0.0 Benzaldehyde 6.22 0.4 - 0.0 0.0 o-Tolualdehyde 0.00 0.0 - 0.0 0.0 m.p-Tolualdehyde 10.31 0.6 - 0.0 0.0 Hexaldehyde 0.00 0.0 - 0.0 0.0 Stylene 0.80 0.0 33 0.0 0.1 Toluene 74.55 4.3 920 0.1 0.2 Xylene 18.27 1.0 110 0.2 0.5 Methyl ethyl ketone 8.50 0.5 440 0.0 0.1 Methylisobutylketone 5.21 0.3 170 0.0 0.1 Butylacetate 7.68 0.4 8 1.0 2.7 Isobutylalcohol 0.45 0.0 11 0.0 0.1 Benzene 3.87 0.2 2700 0.0 0.0 Chlorobenzene 0.32 0.0 68000 0.0 0.0 Ethylbenzene 8.75 0.5 170 0.1 0.1

3. 악취세기

Fig. 4.36과 같이 도금사업장에서 배출되는 악취물질 중 악취세기가 3도 이상인 것은 없었고 암모니아, 아세트알데하이드, 황화수소가 악취로 인식되지 않는 보통 수준의 냄새를 나타내는 2도 정도(1.6~2.4)를 나타냈다.

이는『업종 ․ 시설별 악취관리』79)에서 제시한 도금공장 악취세기 조사결과(1~2) 와 일치한다. 도금사업장 배출악취는 사업장 근처에서는 암모니아 냄새 등이 악취 로 감지될 수는 있으나 기상조건에 의해 멀리까지 악취를 유발하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P l a t i n g F a c i l i t i e s

A c e t a l d e h y d e

2 . 3

A m m o n i a 2 . 4

H y d r o g e n s u l f i d e

1 . 6

1 - T h r e s h o l d 2 - M o d e r a t e 3 - S t r o n g 4 - V e r y s t r o n g 5 - O v e r s t r o n g

Fig. 4.36. Main odor inducer materials by odor intensity index inplating facilities.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17-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