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실험에 참가한 모든 대상자들은 반바지를 착용하고 요추(lumbar)에 고정된 벨 트에서 발바닥까지 고정된 스트랩에 대항하여 고관절 중립 자세와 내전 자세에서 동일한 조건하에 다리를 미는 실험을 하였다. 실험실의 환경 및 운동 방법에 대한 적응을 위하여 10분 이상 익숙화 과정을 진행한 후 실험하였다.

근전도 신호의 정확한 수집을 위하여 실험 전 비오는 날과 습한 날, 또는 실험 실 외부의 소음이 심한 날을 피하여 각별한 주의 하에 실험을 진행하였다. 벽에 등을 기대고 나무판 위에 다리를 얹어 놓고 앉은 자세에서 요추(lumbar)를 벨트 로 고정하고 발바닥에서 벨트까지 스트랩으로 다리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 후 실험하였다. 발바닥의 고정된 스트랩에 대항하여 다리를 미는 운동을 수행하였다 (그림 3). 대퇴사두근 닫힌 사슬 중립 자세와 내전 자세에서 각각 1회당 5초씩 5 회 측정하였다(그림 4). 측정에 의한 근 피로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측정 사이에 1분의 휴식 시간을 주었다.

그림 3. 고관절 중립 자세

그림 4. 고관절 내전 자세

2.3.1 표면 근전도 전극 부착

내측광근과 외측광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해 오른쪽 다리(우세다리)에 총 2개 채널의 이중표면전극을 부착하였다. 표면 근전도 신호의 저항을 최소화 하 기 위하여 피부 표면에 부착 시 전극 사이의 거리는 2cm 간격을 유지하였고 측 정하고자 하는 근육 부위를 촉진한 후, 근육의 위치를 파악하여 근육 수축 시 저 항을 주어 근섬유 방향과 평행하게 근육힘살(muscle belly)의 위치가 변하는 것 을 고려하여 부착하였다(Cram et al. 1998).

내측광근은 상 내측 슬개골 면에서 수직선과 55도 위치한 4cm, 내측으로 3cm 위치에 부착하였다. 외측광근은 상외측 슬개골 면에서 수직선의 15도 위치 에 상부로 10cm, 외측으로 7cm 에 부착하였다(Gilleard et al. 1998). 단일기준전 극(single reference electrode)은 슬개골 아래 경골돌출 부위에 부착하였다.

부착 부위는 면도기를 사용하여 제모를 한 후 가는 사포로 3~4회 문질러 피 부 각질 층을 제거하고 소독용 알코올 솜으로 닦은 후 알코올이 증발 될 때까지 기다린 후 인체에 무해한 소량의 전해질 겔을 첨가하여 피부 표면에 전극을 부착 하고 근전도 신호를 확인한 후 실험을 하였다.

2.3.2 수의적 최대 등척성 수축(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

2.3.5 고관절 내전 자세(닫힌 사슬 운동)

고관절 내전 자세는, 중립 자세와 같이 나무판 위에 우세다리와 반대쪽 다리를 모두 올려놓고 양쪽 다리의 무릎 사이에 두꺼운 종이를 넣고 무릎을 붙이고 앉아 서 실험을 하였다. 중립 자세와 동일하게 고안된 스트랩을 이용하여 고정한 후, 무릎 사이에 끼워진 종이가 떨어지지 않도록 우세다리로 무릎 안쪽 종이를 누르 는 동시에 스트랩에 대항하여 다리를 전방으로 밀어 주었다. 5초 동안 총 5회 측 정 하였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