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연구 대상

가. 대상 환자

1996년 1월부터 2001년 6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세 브란스병원에서 말기신부전증으로 진단받고 최소한 6개월 이상 안정적으로 혈액투석이나 복막투석을 시행받고 있는 환자 328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나. 제외기준

(1) 부갑상선절제술을 받은 병력이 있는 경우

(2) 간경변증을 진단받았거나 치료받은 병력이 있는 경우 (3) 악성 신생물로 진단받았거나 치료받은 병력이 있는 경우 (4) 연구 기간 내에 동종 신이식 수술을 받은 경우

(5) 투석을 시작한 지 6개월 이내에 투석 방법을 전환한 경우

2. 연구 방법

본 연구는 후향적인 연구로 진행하였으며 대상 환자들의 의무기

록을 검토하여, 말기신부전증의 원인 질환, 동반 질환 및 혈중 부갑 상선호르몬 농도와 생화학적 검사를 조사하였다.

가. 연구의 시작

말기신부전증으로 진단받고 복막투석 또는 혈액투석을 시행받은 환자의 의무기록을 참고로 하여 투석을 시작한 때를 연구의 시작으 로 하였고 이 후 혈중 부갑상선호르몬 농도를 3~6개월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나. 연구의 종료

(1) 부갑상선기능항진증으로 진단받은 환자의 경우 부갑상선기능 항진증으로 진단 받은 시점을 연구의 종료 시점으로 하였다.

(2) 연구 기간 동안 부갑상선기능항진증이 발생되지 않은 환자의 경우는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마지막으로 혈중 부갑상선호르몬 농 도를 측정한 시점으로 하였다.

다. 부갑상선기능항진증의 정의

부갑상선기능항진증의 정의는 연구마다 다르나, 본 연구에서는 Salem13와 Billa 등5 많은 연구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혈중 부갑상 선호르몬 농도가 정상범위(10~65 pg/ml)의 3배이상(≥195 pg/ml)으

로 증가된 경우로 정의하였다.

라. 신대체술을 받은 기간(duration of renal replacement therapy) 말기신부전증으로 진단을 받고 복막투석 또는 혈액투석을 시작 한 시점으로부터 연구가 종료되는 시점까지의 기간을 기록하였다.

마. 생화학적 검사

투석을 시작한 후 최초 3개월 이내에 시행한 혈중 부갑상선호르 몬 농도와 이 때 시행한 혈청 칼슘(calcium), 인(inorganic phosphorus), alkaline phosphatase, 알부민(albumin), 중탄산염 (bicarbonate), 혈중요소질소(blood urea nitrogen), 크레아티닌 (creatinine), 크레아티닌 청소율(creatinine clearance)을 기록하였 다. 이 후 외래에서 추적관찰 하면서 3~6개월 간격으로 부갑상선호 르몬의 농도를 측정하여 최초로 부갑상선호르몬의 농도가 정상의 3 배 이상으로 증가한 시기의 혈중 부갑상선호르몬 농도와 생화학 검 사 결과를 기록하였으며, 경과 관찰 기간 중 부갑상선호르몬의 농도 가 정상의 3배 이하로 유지된 경우는 가장 최근에 시행한 혈중 부 갑상선호르몬 농도와 이 때 시행한 다른 생화학 검사 결과를 채택 하여 기록하였다.

바. 통계학적 처리

모든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for Windows 10.0을 이용하여 수 행하였으며 p 값이 0.05 미만인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 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모든 기술적 자료(descriptive data)는 평균

± 표준편차 및 백분율(%)로 나타내었고, 각 투석환자들 간의 임상 적 특징 및 생화학적 지표의 비교에는 Students’ t-test, chi-square test(or Fishcer's exact test)를 사용하였으며, 혈중 부갑상 선호르몬농도에 대한 생화학적 지표들간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각 투석유형에 따른 이차성 부갑상선기능항진증의 유병률을 비교하기 위해 Cox-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였고 이를 Kaplan-Meier curve로 도 식화하였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