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대상자 만족도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2-85)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의 70 %가 미술활동이 즐겁고 기다려지고 시간도 잘 가 고 손 움직임에 도움이 된다고 답변하였다. 이는 초기 노인성 치매 환자들에게 오감체험 미술활동이 효과적이고 긍정적으로 작용되었음을 의미한다고 생각되어 진다.

제 5 장 결 론 및 제 언

본 연구는 오감체험 미술활동을 통해 초기 노인성 치매환자들에게 인지적, 정 서적, 운동감각적 영역에서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G광역시 서구에 위치한 'S'주간 보 호센터를 이용하는 초기 노인성 치매환자들을 대상으로 오감체험 미술활동을 주 1회 60분씩 총 25회기의 오감 체험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그 중 17 회 기를 선정하였다.

오감 체험 미술 활동이란 인간이 지닌 오 감각을 최대한 활용하여 사물을 직 접 관찰하고, 만지고, 느끼는 활동과정으로 아동에 있어서 오감 체험 미술활동의 효과성에 관한 보고가 있었다. 따라서 초기 노인성 치매 환자들에게도 오감체험 미술활동을 실시함으로써 미술 활동을 더욱 재미있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는 경험과 믿음을 가지고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오감체험 미술활 동이 초기 노인성 치매 환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기 위해 초기 작 품들과 후기 작품들을 비교 분석하고 수업태도의 변화를 관찰하는 것으로 연구 를 진행하였다. 이에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초기 노인성 치매 환자들에게 오감체험 미술활동을 실시한 결과, 인지적 영역의 변화는 초기에 비해 후기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오감체험 미술 활동이 초기 노인성 치매 환자들에게 인지적 영역의 변화를 주는데 효과가 있음 을 의미한다. 인지적 영역의 하부 영역인 형태감각, 색채 감각, 매체의 활용능력, 집중력의 평균값이 상승하여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K-MMSE의 점 수 클수록 CDR점수가 작을수록 인지적 영역의 변화가 큰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치매가 초기 단계일수록 인지적 변화가 잘 나타나는 것으로 보여 진다. 국내에서 도 초기 노인성 치매 환자들에게 집단 미술치료나 미술 활동들이 인지적 변화에 영향을 준다는 선행 연구 결과들 (정명화, 2016; 강현주, 2016; 조순천, 2015)이 제시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인지적 영역만을 국한한 것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정서적 변화와 운동 감각적 영역의 변화도 보고자 하였다.

둘째, 오감 체험 미술활동 실시 초기와 비교하여 후기의 변화를 보면, 인지적 영역과 더불어 정서적 영역에서도 유의미한 변화가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는 오 감체험 미술 활동이 초기 치매 환자들에게 정서적인 영역의 하부 영역인 자기표 현력, 창의력, 미술활동의 즐거움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운동 감각적 영역의 변화의 점수에서는 가장 작은 변화의 차이이 지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오감체험 미술활동이 하부 영역인 대근육 소 근육 운동, 언어능력, 협응력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오감 체험 미술활동을 초기 노인성 치매 환자들에게 실시한 결과 세부적인 영역들에 있어서는 유의미하지 않은 영역들이 다소 나타났지만 합계를 통한 결과에서는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오감체험 미술활동은 초기 노인성 치매 환자에 있어 인지적, 정서적, 운동 감각적 영역의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여 진다.

이제까지 치매는 정상적인 노화과정에서 일어나는 병의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불치병이나 ‘망령’으로 여기고 적극적인 치료나 예방에 소홀히 하여 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고령화에 따른 노인질환의 하나로 인식되며 초기 진단과 동시에 예방 하기 위한 노력들이 점차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치매노인과 가족들을 돕기 위 한 방법들도 정부차원에서 다각적인 면에서 지원되고 시도되고 있다. 이에 미술 치료도 충분히 치매 노인들을 돕기 위한 일환이 될 수 있다고 보여 진다.

연구를 진행하면서 한계점에 따른 제언을 하고자 한다.

주간 보호센터에 입소하는 노인들의 장기요양 등급은 거의 4등급이나 치매 등급이 완전하게 같다고 보기 어렵고 매주 새롭게 입소한 사람들이 있어 일정집 단만의 지속성에 어려운 부분이 있었고 열린 공간에서 수업을 하다 보니 집중력 을 좀 더 높일 수 없었던 부분이 아쉬운 부분으로 생각되어진다.

따라서 치매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미술치료에 대한 연구에 접근 할 때, 치 매 환자의 개선에 적극적으로 도와줄 수 있고 치매 등급이 잘 나누어져 있는 요 양 병원에서 미술치료 대상을 찾는 것이 좋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또한 현재 치 매 노인을 대상으로 미술치료를 현장에서 하는 사람들이 미술치료를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들보다 일반인들이 하는 경우가 많아 그에 따른 인정을 받지 못하는 있는 듯하다. 앞으로는 보다 전문적으로 치매 환자들을 대상으로 미술치료를 연

구하는 사람들이 많아져야 하고 끊임없는 연구와 결과가 보고됨이 필요 할 것으 로 보인다.

이것이 미술치료가 현장에서 제대로 인정받는 길이라 생각이 든다.

【참고문헌】

1. 국내 문헌

Lynn Kapitan지음, 장연집, 손승아, 안경숙, 장윤정, 최호정 옮김 (2012). 미술 치료학 연구법: 시그마프레스

Rebeca .C.Perry Magniant엮음, 최외선. 조용태. 이근매 옮김 (2009). 노인미술 치료: 시그마프레스

권돈, 고효진, 이성희, 임성은, 장우심, 이유진 (2002). 치매와 가족. 서울: 학지 사.

김동연, 공마리아, 최외선 (2002). HTP와 KHTP심리 진단법. 서울: 동아 문화 사

김숙 (2002). 치매에 대한 통합접근법. 서울: 교육과학사.

김태연 (2007). 노년학. 서울; 교문사.

대한노인 정신의학회 편 (2003). 한국치매평가 검사. 서울: 학지사.

대한노인 정신의학회 편 (2004). 노인 정신의학, 서울: 중앙 문화사.

신옥 (2005). 치매예방 그리고 미술치료. 서울: 미술세계.

오병훈・차경렬 (2007). 노인성치매, 우울증의 성공 치료. 서울: 하나의학사 정여주 (2003). 미술치료의 이해, 서울: 학지사

정현희. 이은지 공저 (2007). 실제 적용 적용 중심의 노인 미술치료: 학지사 주디스 아론 루빈지음, 고빛샘 옮김 (2010). 아동 미술치료: 지와 사랑 주리애 (2015). 미술심리 진단 및 평가: 학지사

최외선. 이근매. 김갑숙. 최남선. 이미옥 공저 (2006). 마음을 나누는 미술치료:

학지사

2. 학위 논문

권재룡 (2003). 우리나라 치매연구동향에 한 연구. 서울신학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김길자 (2017).집단 미술 치료가 치매 노인의 인지 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영

향. 서울 불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미경 (2008). 오감체험에 기초한 집단 미술치료가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민정 (2007). 집단미술치료가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의 시공간 능력에 미 치는 영향. 가천의과학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선 (2006). 통합의학에서의 미술치료 역할에 관한 연구 :한· 독· 미· 일 미술 치료 프로그램 비교 연구를 중심으로. 한양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숙 (2005). 회상을 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 울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영리 (2012). 집단 미술치료가 치매 노인의 신체, 인지, 정서에 미치는 효과.

한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재원 (2010). 치매노인 미술치료 프로그램개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형희 (2008). 색채경험을 통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와 정서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노은진 (2009). 오감활동을 통한 미술과 교수. 학습활동의 효과 연구, 진주교 육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단정와 (2006).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의사소통 증진을 한 집단미술치료 프 로그램 효과에 한 연구. 대구가톨릭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류정자 (2000).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학습된 무기력 우울정서에 미치는 효 과.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상훈 (2001). 집단미술치료가 시설노인의 고독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 과. 대구대학교 재활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상희 (2005). 한국화 매체를 이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우울과 자 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선민 (2005).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성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개선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정 (2004). 치매노인 장기요양보호 정책 방향에 한 연구–가족부양부담경감 을 중심으로-.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방지원 (2006).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행동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백경실 (2007). 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뇌기능지수에 미치는 영향. 경기학교 대체의학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성숙자 (2014).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치매 노인의 인지, 정서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관한연구. 중앙신학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현민 (2011). 노인성 치매 미술치료 프로그램적용사례 연구: s복지센터의 치 매노인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명희 (2016). 집단 미술치료가 치매 노인의 인지 장애에 미치는 영향 연구, 중앙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선영 (2011). 집단 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시각적 자기표현 및 언어적 자기 표현과 사물 기억력에 미치는 효과. 가천의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조순천 (2015). 감각활동 중심 집단 미술치료가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 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조연숙 (2012). 오감을 활용한 놀이 미술활동 프로그램 개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조영숙 (2009). 감각활동 중심의 집단 미술치료가 치매 노인의 기억력과 문제 행동에 미치는 효과.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조은희 (2007). 오감을 활용한 아동 미술교육 방안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학술지

김동연・공마리아 (1999). 인물화 집· 나무· 사람 그림에 의한 심리진단법. 구:

한국미술치료학회.

김동연・신옥 (1999). 치매노인의 미술치료 사례. 한국 미술치료학회 학술발표 회 Vol . 6p.141~160. 한국미술치료학회.

김선・안소연 (2009). 주간보호시설이용 치매노인의 집단미술치료 효과성 연 구.임 상미술치료학연구,4( 1) ,p. 25~31.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2-8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