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환자안전문화는 6개의 하위영역으로 되어 있으며,분석 결과는 <표 2>와 같다.

환자안전문화를 측정한 결과 총 평균 평점은 5점 만점에 점수는 3.49±0.37이었으며, 하부영역별로 보면 환자안전에 관련된 관리자의 태도가 3.89±0.56으로 가장 높았으 며 환자 안전과 관련된 병원 환경 3.55±0.51,환자안전에 관련된 의사소통절차와 과 정 3.48±0.60,사고보고의 빈도 3.46±0.77,환자안전문화 3.39±0.33,환자안전수준 3.12±0.65순으로 나타났다.

<표 2> 대상자가 지각한 환자안전문화 정도

(N=137)

환자안전관리 활동 평균 표준편차 최소값 최대값

전체 3.65 0.54 2.48 4.61

환자확인 3.86 0.47 2.86 5.00 구두처방 3.74 0.79 1.00 5.00

투약 3.17 0.57 1.86 4.86

안전한 환경 3.61 0.78 1.67 5.00

감염 3.82 0.83 1.67 5.00

낙상 3.49 0.70 2.00 5.00

욕창 3.86 0.75 2.00 5.00

응급상황 3.64 0.66 2.14 5.00 C.대상자가 지각한 환자안전관리 활동

환자안전관리 활동은 환자확인,구두처방,투약,안전한 환경,감염,낙상,욕창,응 급상황 등 8개 하위영역으로 되어 있으며,분석 결과는 <표 3>과 같다.환자안전관 리 정도를 측정한 결과 총 평균 평점 5점 만점에 3.65±0.54이었으며,하부영역별 환 자안전관리 활동을 보면 욕창예방이 3.86±0.75로 가장 높게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자확인 3.86±0.47, 감염 3.82±0.83, 구두처방 3.74±0.79, 응급상황 3.64±0.66,안전한 환경 3.61±0.78,낙상 3.49±0.70순으로 환자안전관리 활동 중에서 비교적 활발한 활동으로 나타났고,반면에 투약은 3.17±0.5로 가장 낮게 나왔다.

<표 3> 대상자가 지각한 환자안전관리 활동 정도

(N=137)

환자안전관리 활동 r(p) 환

자 안 전 문 화

환자안전문화 .469(p<.001) 관리자의 태도 .491(p<.001) 의사소통 절차 .634(p<.001 사고보고의 빈도 .555(p<.001) 환자안전수준 .659(p<.001) 병원 환경 .622(p<.001) 총점 .787(p<.001) D.환자안전문화와 환자안전관리 활동 간의 상관관계

본 연구에서 환자안전문화 하위영역과 환자안전관리 활동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 한 결과는 <표 4>와 같다.환자안전문화 모든 하부영역에서 환자안전관리 활동 간 에는 순 상관관계(r=.787,p=.001)를 보여 노인 요양병원 간호사가 지각한 환자안전 문화 점수가 높을수록 환자안전관리 활동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 환자안전문화와 환자안전관리 활동 간의 상관관계

(N=137)

E.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문화와 환자안전관리 활동

1.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지각 차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문화 지각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다음

<표 5-1>과 같다.총 임상경력(F=3.605,p=.015)에 따라 환자안전문화가 유의한 차 이가 있었다.사후검증 결과 총 임상경력이 10년 이상 20년 미만인 대상자가 3년 이상 10년 미만 대상자보다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지각이 더 긍정적이었다.연령,결 혼상태,교육정도,근무병동,침상 수,현재 근무병원 경력,직급,근무시간에 따라서 는 환자안전문화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특성 구분 실수 평균±표준편차 torF

2.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관리 활동 정도의 차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관리 활동 정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표 5-2>와 같다.대상자의 연령,결혼상태,교육정도,근무병동,침상 수,총 임상 경력,현재 근무병원 경력,직급,근무시간에 따른 환자안전관리 활동 지각은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특성 구분 실수 평균±표준편차 torF(p)

Ⅴ. 논의

본 연구는 노인 요양병원 간호사가 지각한 환자안전문화와 환자안전관리 활동 정 도를 조사하고,환자안전문화와 환자안전관리 활동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실시 되었다.

A.대상자의 환자안전문화

본 연구 결과 노인 요양병원 간호사가 지각한 환자안전문화 점수는 5점 만점에 3.50(±0.45)이었다.이 결과는 병원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한 제우영(2007)의 연구에 서는 3.58점,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박소정(2009)의 연구에서도 평균 3.41점, 이유정(2011)의 연구에서는 3.40으로 보고된 결과와 유사한 정도라고 볼 수 있으며, 노인 요양병원 간호사들이 환자안전문화에 대해 ‘보통’수준이상으로 지각하고 있음 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환자안전문화를 영역별로 비교해 보면,관리자의 태도 3.89±0.56점으로 가장 높 게 나왔다.이는 김영남(2008)의 연구에서 평균 3.75점으로 보고 된 것과 유사한 결 과로 노인 요양병원 간호사들의 직속상관/관리자들은 안전사고 예방 등 환자 안전 문제 발생에 적극적인 관심과 해결 의지를 가진다고 해석할 수 있겠다.이와 관련 하여 이금옥(2009)은 안전한 의료 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리더의 역할이 중요하며 환자안전중심의 적절한 역할과 기능을 위해서 실무관리자들의 효과적인 리더십 배 양의 중요함을 강조하였다.또한 하부영역에서 병원 환경 영역은 평균 3.55(±0.51)점 으로 대체로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이 영역의 구체적 문항을 보면 ‘우리병원의 간 호사 교대근무는 환자안전에 문제가 있다’문항(역문항 처리)에서 3.89(±0.77)점,‘병 동들은 서로 협조가 잘 되지 않는다’문항(역문항 처리)에서 3.79(±0.84)점,‘다른 병

동에서 파견 온 직원과 일하는 것이 불쾌한 경우가 종종 있다’문항(역문항 처리)에 서 3.79(±0.83)점 ‘대상자가 근무하는 환자안전과 관련된 병원 환경 중 세부 항목 인 간호조직의 안전관리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문항에서 3.12(±0.66)점으로 보고 하였 다.이는 간호조직 간에는 비교적 긍정적으로 잘 협조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병원 경영진은 잘못된 사고가 일어난 후에야 환자의 안전에 관심을 가진다’라는 문 항에서 3.08(±1.05)점으로 점수가 대체로 낮게 나왔다.이는 환자안전문화 하위영역 중 가장 높은 평균을 얻은 환자안전과 관련된 관리자의 태도와 상반된다.직속 상 관은 환자안전문제에 관해 긍정적이나 병원 경영진은 의료사고나 과오에 부정적인 것으로 보여진다.

의사소통 절차와 과정 영역에서는 3.48점으로 평균 점수보다 조금 낮았다.문항 분석 결과 사고나 문제 발생시 ‘자유롭게 의문을 제기한다’와 ‘자유롭게 이야기 한 다’문항에서 비교적 평균 이상의 점수로 보아 직원간 부서내 의사소통이 원할히 이루어짐을 짐작할 수 있다.긍적적인 안전문화 조직은 상호신뢰에 기초를 둔 의사 소통을 하며(Cooper,2000)효과적인 협조체계와 의사소통은 의료팀의 사기를 진작 시키고 직무만족도외 효율성, 안전성을 증가시킨다고 하였다(Davis, Nutley, &

Mannion,2000).정준(2006)은 교대 근무시 간호업무의 인수인계,담당 의료진과의 의사소통,간호 관리자에 대한 보고와 지시사항 수령 등 다양한 방식의 의사소통에 있어 부정확하고 부주의한 의사소통을 예방하는 것이 환자안전사고 예방에 매우 중 요하다고 하였다.

사고보고의 빈도 영역은 점수 3.46점으로 평균보다 조금 더 낮게 나왔는데 이는.

다른 선행연구(조성숙,2012;이유정,2011)에서는 사고 보고의 빈도 영역에서 높은 점수를 보인 결과와는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 연구 대상자들이 지난 1년 동안 사고보고 횟수를 누적해 본 결과 낙상이 248건,투약이 107건,채혈이 16건,혈액 관련이 5건 이었는데,이와 같이 병 원마다 자발적인 환자안전 보고 시스템이 형성되어 있기는 하나 오류가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음을 항상 인식하고 보고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도록 하는 비처벌적 인 조직문화가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환자안전문화 영역은 3.39점으로 나와 다른 영역에 비해 낮게 인식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으며,조성숙(2012),이유정(2011)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문항별 분 석 결과 ‘병동에서 직원들은 서로를 도와준다’는 문항에서 4.18점으로 역시 직원들 간에는 서로 상호작용을 잘 하면서 잘 돕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직원들은 실수가 용납되지 않는다고 느낀다’문항에서 2.60점,‘사고가 보고될 때는,문제 그 자체가 아니라 문제와 관련된 직원이 초점이 된다’문항에서 2.62점으로 낮게 지각하고 있 었다.이는 사고 발생의 근본원인을 개인에게 초점을 맞추거나 사후에 대응하는 방 식으로 근본원인을 찾으려는 노력을 하지 않는 안전관리의 문제점을 안고 있어 환 자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대책 마련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는(김정은 등,2004)연구 와 일치하는 내용이다.병원 경영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영진이 부서‧

직종 간의 의사소통을 증진시킴으로써 업무 협조를 원활하게 하는 지원체계를 통해 상호신뢰의 조직문화를 업무 협조를 원활하게 하는 지원체계를 통해 상호신뢰의 조 직문화를 구축하고 환자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경영마인드가 필요하다(조성숙, 2011).

환자안전문화의 하부영역 중 가장 낮게 지각한 영역은 근무지에서의 환자안전수 준 3.12점이다.본 연구 대상자들은 자신이 근무하는 부서의 환자 안전도가 보통 수 준에 머무른다고 응답하였는데 이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양혜용(2009)의 연구에 서 2.62점,이유정(2011)의 연구에서도 3.05점으로 전체 환자안전문화 중 가장 낮은 결과를 나타내어 본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노인 요양병원 간호사가 환자안전문화를 지각하는데 있어 직속상관/

관리자의 태도,병원 환경은 긍정적으로 인식하나,의사소통,사고보고,환자안전문 화,근무지에서의 안전수준 영역에서는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분석 되었는데,이는 노인 요양병원 간호사들이 요양병원의 시스템적인 문제로 인해 환자 안전도가 위협

받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즉 환자안전은 간호사의 개인의 실수에 책임을 돌리는 것이 아니라 병원 차원의 문제 파악으로 시작하여,시스템적으로 개선하려고 하는

받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즉 환자안전은 간호사의 개인의 실수에 책임을 돌리는 것이 아니라 병원 차원의 문제 파악으로 시작하여,시스템적으로 개선하려고 하는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