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업인의 농업․농촌 생활에 대한 의식변화

○ 농업인의 농업․농촌 의식변화와 농촌생활 수준 변화에 대한 평가 및 기대 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음.

○ 또, 농사와 관련해 어떤 요인이 경영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써 당해 연도의 농업 여건을 가늠하고, 차기 연도 농업정책이 어떤 분야에 관심을 두어야할 지 방향을 설정하는 데 참고토록 하였음.

○ 이와 함께, 농업인 의식의 연도별 변화추이를 분석함으로써 여건 변화에 따 른 농업정책 연구 및 정책 수립에도 참고가 되도록 하였음.

5.1. 농업인 25.7%, “농촌생활 5년전보다 나아졌다”

○ 현재의 농촌 생활수준을 5년 전과 비교한 질문에서, 농업인 25.7%는 2007년 농촌의 생활수준이 ‘5년 전보다 좋아졌다’(약간, 매우 좋아짐 합산)고 응답하 여 긍정적인 인식이 전년(24.6%)수준을 유지하는 등 25%대의 긍정적인 인식 을 보이고 있음.

○ ‘마찬가지다’라는 응답은 35.2%로 나타났으며, ‘나빠졌다’(약간, 매우 나빠

짐 합산)는 응답률은 38.9%로, 전년(40.9%)에 비해 2.0%p 낮아졌음.

  매우좋아졌다 약간좋아졌다 마찬가지다 약간나빠졌다 매우나빠졌다 무응답/모름 계

○ 농업인이 느끼는 과거(5년 전, 전년)와 비교한 2007년 농촌 생활수준 인식

표 2-34. 5년 전 비교 농촌생활수준 인식 연도별 변화(’94-’07)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852(100.0)

* ’98년 조사 항목 신설(1994년~2005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인 의식구조 변화 조사 결과).

 구 분

현재보다 살기 좋을 것

현재와 마찬가지일 것

현재보다

악화될 것 무응답/모름 계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연령별

60세 미만 74 22.8 96 29.6 153 47.2 1 0.3 324 60세 이상 120 23.8 183 36.2 199 39.4 3 0.6 505 모름/무응답 3 13.0 7 30.4 12 52.2 1 4.3 23 연평균소득

2천만원 미만 119 22.7 189 36.1 212 40.5 4 0.8 524 2천만원 이상 77 24.8 92 29.7 140 45.2 1 0.3 310 모름/무응답 1 5.6 5 27.8 12 66.7 . . 18

계 197 23.1 286 33.6 364 42.7 5 0.6 852 표 2-35. 2007년과 비교한 5년 후 농촌생활 수준 전망

단위: 명, %

5.3. 농촌생활 불만족요인 “주거 및 생활환경 여건”

○ 현재의 농촌생활 수준이 5년 전과 비교해 나아진 것으로 인식하는 농업인은 UR 협상 타결 직후인 1994년 60%선에서 출발해 1998년 외환위기 이전 20~

50%선을 유지했으나, 2000년 이후 20%선을 밑돌다가 점차 회복해 2007년 25%선을 웃도는 것으로 나타남.

○ 5년 후 현재보다 향상되리라는 기대감도 1998년 외환위기 직후부터 지속적

으로 하락하여 10%선을 밑돌다가 2006년 13.4%에서 2007년 23.1%로 상승

해 20%선을 회복하였음.

 구 분 매우 만족 약간 만족 그저그렇다 약간 불만 매우 불만 무응답/모름 계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5년 전보다 향상 (현재기준) 5년후 현재보다 향상

구 분 빈도 비율

주거 및 생활환경 열악 85 24.6

자녀 교육 여건 열악 73 21.2

복지시설 미흡 65 18.9

일반인의 부정적인 인식 41 11.5

문화여가시설 미흡 27 7.8

기타 55 16.0

계 346 100.0

○ 농업에 종사하는 것에 대하여 불만족스럽게 생각하는 응답자(41.7%)는 불만 족 요인으로 ‘주거 및 생활환경 여건’(24.6%)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다음으로

‘자녀교육 여건 열악’(21.2%), ‘복지시설 미흡’(18.9%) 등 순으로 응답하였음.

표 2-37. 농촌생활에 대한 불만족 요인

단위: 명, %

5.4. 농업인 80.8% ‘농촌에 계속 거주’의향

○ 앞으로 농촌에 계속 거주하겠느냐는 질문에 ‘계속 살겠다’는 농업인은 80.8%로 집계되었으며, ‘떠나겠다’는 응답은 5.2%에 그쳤음.

○ 이 밖에 12.3%는 농촌을 떠날지 결정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

으며, ‘떠났다가 다시 농촌으로 돌아올 생각이다’는 응답자는 1.3%로 조사

되어 전년도 조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음.

구 분  계속 살겠다 떠날 생각이다 다시 돌아올 생각 잘 모르겠다 무응답/모름 계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연령별

60세 미만 251 77.5 25 7.7 4 1.2 44 13.6 . . 324 60세 이상 421 83.4 17 3.4 4 0.8 59 11.7 4 0.8 505 모름/무응답 16 69.6 2 8.7 3 13.0 2 8.7 . . 23 연평균소득

2천만원 미만 423 80.7 26 5.0 5 1.0 67 12.8 3 0.6 524 2천만원 이상 253 81.6 16 5.2 4 1.3 36 11.6 1 0.3 310 모름/무응답 12 66.7 2 11.1 2 11.1 2 11.1 . . 18 계 688 80.8 44 5.2 11 1.3 105 12.3 4 0.5 852

표 2-38. 농촌에서의 거주 여부

단위: 명, %

5.5. ‘농자재 가격’관심 크게 증가

○ 2007년 농업인들의 농사와 관련한 관심 사항은 ‘농산물 가격변동’이 25.9%

로 전년(30.0%)에 이어 가장 높은 관심을 보인 분야로 나타남.

○ ‘추곡수매’는 8.3%로 전년(12.7%)보다 4.4%p 감소하였으며, ‘농산물 수입개 방’도 16.8%로 전년(26.9%)보다 10.1%p나 떨어져 관심도가 낮았음.

○ 반면,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농기계, 비료, 사료 등 농자재 가격’에 대한 관심도는 17.3%로 전년도 3.0%의 5배에 달하는 14.3%p나 증 가한 것으로 나타남.

○ 최근 12년간 농업인의 관심사에서 수위를 유지했던 ‘농산물 가격 변동’은

2003년 이후 꾸준히 증가해오다 2007년 다시 25.9%로 떨어지고 있지만, 여

전히 높은 관심도를 보이고 있음.

구분/년도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농산물 가격변동 19.3 27.5 31.1 31.6 27.8 28.8 35.4 33.3 28.0 18.9 25.2 25.0 30.0 442(25.9)

추곡수매 21.5 16.2 20.2 7.3 6.6 6.1 8.5 25.4 15.9 9.6 17.7 26.9 12.7 142(8.3) 영농자금․농가부채 11.7 13.0 7.9 9.6 23.1 18.9 22.7 13.2 16.6 18.0 12.3 9.5 9.6 173(10.1) 농산물 수입개방 20.7 14.9 16.4 17.3 5.7 10.1 14.6 17.4 21.7 26.0 26.9 25.8 26.9 286(16.8) 농촌지역개발 6.4 6.1 4.8 15.0 3.7 3.3 2.2 1.3 1.3 1.7 2.0 0.8 1.7 55(3.2) 농촌 인력 8.1 9.6 9.2 16.2 4.0 6.7 4.3 3.0 6.4 7.3 7.4 5.3 8.4 120(7.0) 농작물병충해,기후 6.0 7.3 3.1 2.5 20.4 19.2 8.6 4.0 7.2 14.3 2.6 1.8 3.7 108(6.3) 농자재 가격 1.3 1.1 1.2 0.2 4.3 2.2 1.4 0.3 0.5 0.7 2.5 1.8 3.0 295(17.3) 영농시설 현대화* - - 2.0 0.1 1.4 1.9 0.3 0.4 0.2 0.7 1.0 0.5 0.7 20(1.2) 농지문제 5.6 5.5 4.1 0.2 3.0 2.8 2.0 1.8 2.2 2.9 2.4 2.4 3.1 52(3.1) 기타 - - - 0.1 11(0.6)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704(100.0)

○ 이밖에도 ‘농촌인력’(7.0%)과 ‘농지문제’(3.1%)는 지난해 수준을 유지하는 추 세를 보였으며, ‘영농자금․농가부채’(10.1%), ‘농촌지역개발’(3.2%), ‘농작물 병충해, 기후’(6.3%) 등은 지난해에 이어 계속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표 2-39. 농사와 관련한 관심 사항 연도별 변화(복수 응답)

단위: 명, %

* ’96년 이후 조사 반영(1994년~2007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인 의식구조 변화 조사 결과).

○ 농사와 관련한 관심 사항 변화를 연도별로 종합하여 정리하면, ‘농산물 가격’에 대한 농업인의 관심도는 1995년부터 2002년까지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 하지만, 2003년부터는 ‘농산물 수입개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농산 물 가격’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음.

○ ‘농산물 수입개방’에 대한 관심도는 1998년 이후 매년 4~5%씩 꾸준히 증가하여

2003년 26.0%, 다시 2004년에는 26.9%로 가장 높은 관심을 갖고 있는 분야로

부상하다가 2007년(16.8%)에는 관심도가 점차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추곡수매’에 대한 관심은 2004년부터 정부 수매제 폐지가 공론화되면서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농산물 가격 변동 추곡수매 영농자금‧농가부채 농산물 수입개방

구 분 빈도 비율

농산물 가격 256 15.0

추곡수매 80 4.7

영농자금․농가부채 137 8.0

농산물 수입개방 162 9.5

농촌지역개발 33 1.9

농촌인력 302 17.7

농작물병충해, 기상조건, 가축질병 319 18.7

농기계, 비료 등 농자재 305 17.9

영농시설 현대화 33 1.9

농지문제 40 2.4

기 타 37 2.2

계 1,704 100.0

5.6. 농사와 관련한 애로사항 ‘농작물병충해․기상조건․가축질병’가장 많이 꼽아

○ 농사와 관련한 애로 사항을 조사한 결과, ‘농작물병충해, 기상조건, 가축질 병’(18.7%), ‘농기계, 비료 등 농자재 가격’(17.9%), ‘농촌인력’(17.7%), ‘농 산물 가격’(15.0%) 등의 순으로 나타남.

○ 이를 연도별로 살펴보면, 2000년에 이어 2001년에는 ‘농산물 가격 불안정’

을, 2002년에는 ‘수입개방’을 꼽았고, 2003년에는 다시 ‘농작물 병충해, 기 상․기후 조건’을, 2004년에 이어 2006년에는 ‘농촌인력’을 꼽았음.

○ 2007년에는 그동안 수년간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꼽았던 ‘농촌인력’문제에 서 ‘농작물병충해, 기상조건, 가축질병’과 ‘농자재 가격’으로 애로사항이 변 화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라고 보임.

표 2-40. 농사와 관련한 애로 사항(복수 응답)

단위: 명, %

구 분  매우 만족 약간 만족 그저 그렇다 약간 불만 매우 불만 무응답/모름 계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연령별

60세 미만 13 4.0 65 20.1 125 38.6 90 27.8 30 9.3 1 0.3 324 60세 이상 15 3.0 80 15.8 220 43.6 126 25.0 61 12.1 3 0.6 505 모름/무응답 . . 6 26.1 11 47.8 3 13.0 3 13.0 . . 23 연평균소득

2천만원 미만 10 1.9 70 13.4 227 43.3 144 27.5 71 13.5 2 0.4 524 2천만원 이상 18 5.8 78 25.2 120 38.7 72 23.2 20 6.5 2 0.6 310 모름/무응답 . . 3 16.7 9 50.0 3 16.7 3 16.7 . . 18 계 28 3.3 151 17.7 356 41.8 219 25.7 94 11.0 4 0.5 852

5.7. 농업 종사에 대한 직업 만족도 21.0%로 전년수준 유지

○ 농업인이 농업이라는 직업에 종사하는 것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감을 갖 고 있는지 살펴본 결과, ‘만족한다’(약간, 매우 만족 합산)는 응답은 21.0%

로 전년(21.2%) 수준을 유지하였음.

○ 농업종사에 대한 만족도 인식에서 ‘매우 불만족’ 이라고 강한 불만을 표시 한 계층은, 연령대로는 60세 이상, 연소득 2천만원 미만인 계층에서 상대적 으로 높게 나타남.

표 2-41. 직업으로서의 농업에 대한 만족 정도

단위: 명, %

○ 농업인들의 직업만족도에 대한 변화 추이를 ‘만족한다’는 긍정적인 결과만 을 놓고 보면, 1999년 21.4%에서 2002년 7.6%까지 지속적으로 낮아지는 추 세를 보이다가 2003년부터 15.8%로 다시 회복하기 시작하였음.

○ 2004년도에는 20.5%로 집계됨으로써 1999년 이후 처음으로 20%대를 넘는

등 최근 만족도가 상승하는 경향을 뚜렷이 보였다가 2005년에 17.1%에 이

구분/년도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852(100.0)

* ’95년 신설항목(1994년~2005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인 의식구조 변화 조사 결과).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

○ 농업에 종사하는 것에 대해 불만족스럽게 생각하는 응답자(36.7%)는 불만 족 요인으로 ‘노력에 비해 낮은 보수’를 가장 많이(54.3%) 꼽아, 전년과 동 일하게 나타남.

○ 다음으로 ‘농산물 수입개방 등으로 장래 불안’(22.7%), ‘타 분야에 비해 정

부의 관심과 지원 부족’(12.3%), ‘힘든 육체 노동’(6.0%), ‘좋지 않은 일반인 의 인식’(2.8%) 순으로 응답하였음.

표 2-43. 농업종사의 불만족 요인

단위: 명, % 구 분 

소득보장

미흡 힘든

육체적노동 정부의 관심과

지원부족 장래불안 일반인의 좋지

않은 인식 기타 무응답/

모름 계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비율 빈도 연령별

60세미만 75 62.0 2 1.7 12 9.9 29 24.0 1 0.8 1 0.8 1 0.8 121 60세이상 97 51.1 15 7.9 26 13.7 42 22.1 7 3.7 2 1.1 1 0.5 190 모름/무응답 . . 2 33.3 1 16.7 1 16.7 1 16.7 . . 1 16.7 6 연평균소득

2천만원미만 115 53.0 15 6.9 28 12.9 47 21.7 6 2.8 3 1.4 3 1.4 217 2천만원이상 57 60.6 2 2.1 10 10.6 23 24.5 2 2.1 . . . . 94 모름/무응답 . . 2 33.3 1 16.7 2 33.3 1 16.7 . . . . 6 계 172 54.3 19 6.0 39 12.3 72 22.7 9 2.8 3 0.9 3 0.9 31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