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논 의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3-57)

B. 체력의 변화

Ⅴ. 논 의

본 연구는 남자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12주간 탄력밴드 운동이 신체조성과 체력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 분석을 통해 대학생들의 체력향상 에 저항성운동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 고, 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효과를 준다고 하였고, 권인창 등(2002)은 12주간 복합운동이 비만 초등 학생들에게 체지방율의 감소와 성장에 좋은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김디귿(2005)의 탄력밴드 운동이 중년 비만여성의 신체구성 및 혈중 지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나타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탄력 밴드운동을 실시하였으나 체중과 체지방율의 감소를 보이지 않았다.

소위영 등(2008)은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12주간 탄력밴드 운동을 참여 시킨 결과 체중, 체질량지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했다고 보고하 였다. 이는 본 연구의 결과와 일치하는 의견으로 체중과 체지방율에서 약간 의 증가를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대학생들의 탄력밴드 저항성 트레이닝은 체중감량과 체지방 율의 개선이 미비하게 나타났지만 신체조성에는 긍정적인 변화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12주간의 저항성 운동으로 원하는 결과를 도출하지는 못했지 만 12주가 아닌 장기적으로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고 대상자들에게 운동 강도를 높여 시행 한다면 신체조성에서 원하는 결과를 도출 할 수 있을 것 으로 사료된다.

B. 기능체력의 변화

밴드 운동을 하면 웨이트 트레이닝 보다 손으로 밴드를 직접 쥐고, 당기기 때 문에 손에 섬세하게 발달되어 있는 근육과 신경에 더 좋은 자극을 준다. 그렇기 때문에 섬세하게 발달되어 있는 근육과 신경에 더 좋은 자극을 준다고 할 수 있 다.

근력이란 신체활동의 출력을 좌우하는 요소로서 근수축에 의하여 발생되는 장력의 총합을 의미한다. 근력이 크면 클수록 큰 힘을 낼 수 있으며, 큰 힘을 요 구하는 활동을 해낼 수 있다. 일상생활에서 신체활동능력은 근력의 정도에 따라 크게 좌우한다(한준식, 2003).

황봉연(2007)의 탄력밴드 저항운동이 고령여성의 활동체력 및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의 결과에서도 악력이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으며, 나재철, 서해근 (2003)의 연구도 비만 여성들에게 12주간 런닝과 근저항 복합운동이 근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8주간 탄력밴드 저항운동을 실 시한 이재문 등(2003)과 중년비만여성을 대상으로 12주간 탄성밴드 저항운동 을 실시한(남미선, 2008) 연구와 일치한다. 이는 본 연구의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보이며, 악력의 증가는 탄력밴드 운동 시 손으로 밴드를 쥐고 잡아 당기 고 감고 푸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서 손의 악력에 근육과 신경에 많은 자극을 주 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심폐지구력(cardiorespiratory endurance)은 상대적으로 긴 시간 동안 중 간 정도에서 높은 정도까지의 운동강도 범위(최대하 운동 강도)내에서 대근 활 동이나 전신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 정의된다. 김영준 등(2007)의 연구에 서도 규칙적인 운동으로 민첩성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고 보고하였으며, 이 승범(2003)은 댄스스포츠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노인여성에게 심폐지구력 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여 본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 이는 탄력밴드 운동프로그 램이 순환운동으로 구성하여 유산소성 운동의 특징이 있어 심폐지구력에 긍정 적인 결과를 나타냈다고 생각한다.

유연성은 일반적으로 한 관절 또는 다관절의 가동범위나 특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 나아가 들어감에 따라 관절의 경직으로 관절 운동범 위가 감소하게 되고, 관절의 유연성 저하는 신체 활동의 독립성과 안전성을 저 하시킨다. 박은영과 이종하(2005)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12주간 주3회 복합운 동을 실시한 결과 유연성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고 보고하였으며, 전연진 (2002)은 세라밴드를 이용한 스트레칭이 유연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결과 유연성의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나괄(2010)은 탄력밴드 트레이닝이 노인여성의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연성에서 향상되었다고 보 고하여 본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한경숙(2007)과 황봉연 (2005)은 노인들의 탄력밴드 운동 참여집단의 운동전·후에서 모든 체력요인

이 향상되었지만 유연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고 하여 본 연구와 상 반된 결과를 나타냈다. 이는 탄력밴드 운동 전·후 스트레칭과 탄력밴드를 이용 한 여러 가지 동작으로 인하여 유연성에서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고 생각한다.

민첩성(agility)은 몸의 위치한 방향을 빠르고 정확하게 바꿀 수 있는 통제된 능력이며, 다시 말해 재빠른 동작을 할 때 신체를 잘 조정하고 부드럽게 반응할 수 있는 능력 혹은 신체 동작에 있어서 전신적인 동작이나 부분적인 동작을 신 속하게 변경한다든지, 운동방향을 재빠르게 바꿀 수 있는 능력이라 할 수 있다.

김영준 등(2007)의 연구에서도 규칙적인 운동으로 민첩성에서 유의하게 감소 하였다고 보고하였으며, 김현수, 김남정(2003)은 9주간 탄력밴드 운동을 통한 뇌졸중 노인환자의 일상 활동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민첩성에서 향 상되는 결과를 나타냈으며, 황봉연(2007)도 탄력밴드를 이용한 저항성 운동프 로그램을 실시한 후 실험집단에서 민첩성에서 유의하게 향상된 결과를 나타냈 다. 이는 체력요인들의 향상을 기반으로 민첩성 향상에도 긍정적으로 나타냈다 고 볼 수 있다.

순발력(muscular power)은 단위 시간당 수행한 일의 양으로 정의되며 힘과 속도에 의해 표시된다. 거의 모든 운동경기에서 순발력은 운동능력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인의 하나이며 동적상태에서 순간적인 근수축에 의해 발휘되는 힘이라는 의미에서 ‘근 파워’라고도 한다. 김명일(2006)은 대학생 남·여를 12주간 태권도 수련 후에 제자리 높이뛰기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고 보고하였 고, 김기진 등(1994)은 서킷 웨이트 트레이닝이 근력, 파워, 유연성, 평형성이 향상되었다고 보고가 있으며, 또한 나찬일(2010)은 세라밴드 트레이닝이 테니 스 선수의 순발력 향상이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이는 본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 를 보였다. 이는 탄력밴드 운동시 하지 근력과 근지구력의 향상으로 제자리 멀 리뛰기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고 생각한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3-5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