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논 의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4-68)

본 연구는 태권도 도장의 수련생이 지각하는 태권도 지도자의 멘토링이 수련생의 대인관계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그 과정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함으로써 태권도 도장 수련생의 대인관계 만족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만들고 향상시키기 위한 미래지향적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으며 요인별 차이와 관련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사회·인구학적 특성별 변수의 변이 중 독립변수인 지도자 멘토링 중 경력개 발기능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변수별 변이를 살펴봤을 때 학년, 태권도 수련기간, 현 급, 태권도 수련시간, 태권도 수업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반 면, 성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학 년은 4학년, 5학년 대비 1학년, 3학년, 6학년이 높게 나타났다. 태권도 수련기간은 10개월 미만, 20개월 이상 30개월 미만보다 10개월 이상 20개월 미만이 높게 나타 났고 현급은 유급자, 1품, 2품 대비 3품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태권도 수련시간은 1시간, 1시간 30분 이상 대비 2시간 이상이 높게 나타났고 태권도 수업 만족도는 보통, 만족 대비 매우 만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사회·인구학적 특성별 변수의 변이 중 독립변수인 지도자 멘토링 중 심리·사회적 기능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변수별 변이를 살펴봤을 때 성별, 학년, 태권도 수련기 간, 현급, 태권도 수련시간, 태권도 수업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 다. 남아가 여아보다 더 높게 나타났고 학년은 2학년, 4학년 대비 1학년, 3학년, 6 학년이 높게 나타났다. 태권도 수련기간은 10개월 미만, 20개월 이상 30개월 미만 보다 30개월 이상이 높게 나타났고 현급은 유급자, 1품, 2품 대비 3품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태권도 수련시간은 1시간, 1시간 30분 이상 대비 2시간 이상이 높게 나타 났고 태권도 수업 만족도는 보통, 만족 대비 매우 만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사회·인구학적 특성별 변수의 변이 중 독립변수인 지도자 멘토링 중 역할모형기능 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변수별 변이를 살펴봤을 때 학년, 태권도 수업 만족도에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성별, 태권도 수련기간, 현급, 태권도 수련시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학년은 2학년, 4학년, 5학년 대비 6학년

이 높게 나타났고 태권도 수업 만족도는 매우 만족, 만족, 보통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지도자 멘토링에 차이를 보인 이진우(2011)의 연구결과와는 다른데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와 달리 고등학생 및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 문에 다른 결과가 나온 것으로 추론된다. 그러나 학력에 따른 지도자의 멘토링 차이 가 나타난 본 연구와 달리 이진우(2011), 김봉갑(2014)의 연구에서는 학력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위의 이유와 동일한 것으로 추론된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특성별 변수의 변이 중 매개변수인 자아존중감에 대한 사회·

인구학적 변수별 변이를 살펴봤을 때 자아존중감은 성별, 학년, 현급, 태권도 수련시 간, 태권도 수업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반면, 태권도 수련시간 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성별은 여자 의 경우 높게 나타났고, 학년은 1, 4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현급은 3품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태권도 수련시간은 1시간 이상 1시간 30분 이하가 가장 높게 나타 났으며, 태권도 수업만족도는 매우 만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장완성(2013)의 연구결과와 동일하게 성별이 여자인 경우 자아존중감이 더 높게 나타나 선행연구를 뒷받침 할 수 있었으며 성별, 학년에 대한 차이는 이진우(2011) 의 연구결과가 동일하게 나타나 선행연구의 결과를 뒷받침 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한 원삼(2016)에서는 성별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태권도 수련 기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났는데 그의 연구에서는 25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연 구를 하였기 때문으로 추론된다.

셋째, 사회·인구학적 특성별 변수의 변이 중 종속변수인 대인관계 만족 중 일반적 대인관계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변수별 변이를 살펴봤을 때 성별, 학년, 태권도 수업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태권도 수련기간, 현급, 태권도 수련시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여아가 남아보다 더 높게 나타났고 학년은 5학년 대비 2학년, 4학년, 6학년이 높게 나타났고 태권도 수업 만 족도는 보통, 만족 대비 매우 만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사회·인구학적 특성별 변수의 변이 중 종속변수인 대인관계 만족 중 부모와의 관 계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변수별 변이를 살펴봤을 때 성별, 학년, 현급, 태권도 수업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태권도 수련기간, 태권도 수련시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여아가 남아보다 더 높게 나타났 고, 학년은 2학년, 3학년, 5학년 대비 4학년, 6학년이 높게 나타났다. 현급은 유급 자, 1품, 2품 대비 3품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태권도 수업 만족도는 매우 만족, 만 족, 보통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인구학적 특성별 변수의 변이 중 종속변수인 대인관계 만족 중 교사와의 관계 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변수별 변이를 살펴봤을 때 학년, 현급, 태권도 수련시간, 태 권도 수업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성별, 태권도 수련기간 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학년은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5학년 대비 6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현급은 유급자, 3품이 대비 1품이 가장 높 게 나타났다. 태권도 수련시간은 2시간 이상보다 1시간, 1시간 30분 이상이 높게 나 타났고 태권도 수업 만족도는 보통, 만족 대비 매우 만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사회·인구학적 특성별 변수의 변이 중 종속변수인 대인관계 만족 중 친구와의 관 계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변수별 변이를 살펴봤을 때 성별, 학년, 태권도 수업 만족 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태권도 수련기간, 현급, 태권도 수련 시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학년은 3학년, 5학년 대비 1학 년, 6학년이 높게 나타났다. 태권도 수련시간은 1시간, 1시간 30분 이상 대비 2시간 이상이 높게 나타났고 태권도 수업 만족도는 만족, 매우 만족 매우 보통이 가장 높 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와 달리 장완석(2013)의 연구에서는 성별, 학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태권도 수련기간, 현급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선행연구를 뒷받침 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에서 성별, 학년에서 결과값이 다른 것은 본 연구에서는 성별과 학년의 비중을 고르게 선정한 것과 달리 장완석(2013) 의 연구에서는 남자와 저학년의 비중이 높기 때문으로 추론된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지도자 멘토링,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만족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으며 각 변인들은 모두 유의미한 수준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멘토링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선행연구(김홍석, 이진우, 2011; 원형진, 2013), 자아존 중감과 대인관계 만족에 관한 선행연구(박윤진, 2011; 장완석, 2013; 허한형, 2017), 멘토링과 대인관계 만족에 관한 선행연구(오승은, 이주영, 2017; 이지은, 류

민정, 2019)를 뒷받침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또한 지도자 멘토링, 자아존중 감, 대인관계 만족 간의 유의한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선행논문들의 주장을 뒷받침 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태권도를 지도하는 멘토의 멘토링과 태권도 수련생의 대인관계 만족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지도자 멘토링 중 경력개발기능은 대인관계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존중감을 통해서도 대인관계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자아존중감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4-68)

관련 문서